증권사들이 올해 국내 기업에 대한 투자의견을 제시한 종목 보고서 대부분이 ‘매수’ 의견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매도’로 제시한 보고서는 단 2건에 불과했다.
23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이달 20일 기준 올해 발행된 기업 보고서 8662건 중 투자의견을 ‘매수’로 제시한 보고서는 8012건으로, 92.5%의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했다. ‘보유’ 의견은 636건(7.34%), ‘강력매수’는 8건(0.09%)을 기록했다.
반면 투자의견이 ‘매도’인 보고서는 2건으로, 전체의 0.02%에 그쳤다. 매도 의견과 비슷한 ‘비중 축소’는 4건(0.05%)으로 집계됐다.
특히 올해 기업 분석 보고서를 발행한 국내 증권사 30곳 중 28곳은 매도 의견을 단 한 번도 내지 않았다. 대형 증권사인 미래에셋증권, 한국투자증권, NH투자증권, 삼성증권, KB증권, 하나증권, 메리츠증권, 신한투자증권, 키움증권 등이 대표적이다.
한화투자증권과 BNK투자증권이 올해 매도 의견을 제시한 보고서를 발행했다. 비중 축소 의견을 낸 유진투자증권까지 더해도 단 3곳에 불과하다. 한화투자증권의 경우 올해 2월 카카오뱅크 매도 의견을 냈다가 지난 4월 ‘보유’로 투자 의견을 상향 조정했다. BNK투자증권은 지난달 한진칼에 대해 매도 의견을 냈다. 유진투자증권은 올해 1월부터 이달까지 발행한 4개의 에코프로비엠 관련 보고서에서 비중 축소 의견을 제시했다.
반면 국내 증권사와 달리 외국계 증권사는 같은 기간 대체로 10% 넘는 매도 의견을 제시했다. 금융투자협회 전자공시서비스에 따르면 골드만삭스증권 서울지점은 올해 제시한 투자 의견 중 매도가 16.7%를 차지했다. 매수와 보유 의견은 각각 48.2%, 35.2%였다.
이외에도 매도 의견 비중은 메릴린치증권 서울지점 22.8%, 모건스탠리증권 서울지점 16.4%, 노무라금융투자 15.6%, JP모건증권 13%, 맥쿼리증권 9.1% 등으로 집계됐다.
국내 증권사들이 매수에 집중된 보고서를 내는 것은 매년 지적받는 문제다. 금융감독원은 작년 7월 증권사 최고경영자들과 간담회를 갖고 올바른 리서치 문화 정착을 위한 증권업계의 자정 노력이 필요하다고 공개 지적하기도 했다. 하지만 약 1년이 지난 지금도 관행 개선에는 별다른 진전이 없는 분위기라는 평가가 나온다.
증권사들은 기업 정보에 대한 접근이 제한적이라는 점을 매수 편향 보고서의 원인 중 하나로 꼽는다. 국내 기업은 실적 가이던스(예상치)를 거의 내지 않는데, 가이던스를 직접 산출해야 하는 애널리스트 입장에서는 기업과 척지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기업에 대한 부정적인 보고서를 낼 경우 기업설명회(IR) 등에 참여 제한이 생기거나 기업 분석 과정에서 해당 기업으로부터 불이익을 받는다는 의견도 있다. 부정적 의견을 낼 경우 관련 애널리스트의 연락을 해당 기업이 전혀 받지 않거나 기업 방문을 허용하지 않는 사례도 있다는 전언이다.
이와 함께 소속 증권사의 법인영업본부가 자사 애널리스트의 보고서를 기반으로 국내외 기관 투자자 등에게 세일즈하는 환경도 매수 의견에 집중된 보고서를 낼 수밖에 없게 만든다고 지적받는다. 애널리스트는 기업 분석 업무 외에 법인영업이나 국제영업을 돕는 일도 병행하는데, 이는 애널리스트에 대한 성과 평가로도 이어진다. 매도 의견을 내는 것은 사실상 증권사의 수익 기여도를 낮추는 것으로 받아들여지는 것이다.
분석 대상이 되는 기업 대부분이 증권사 고객이라는 점도 부담으로 작용한다. 증권사는 기업금융(IB), 신용공여, 기업공개(IPO) 등의 업무도 맡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리서치부서의 분리 독립, 보고서 제공 유료화, 애널리스트의 성과 평가 방식 개선 등이 제시된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