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미국 정치 뒤덮는 ‘돈의 쓰나미’…역대 대통령 80%가 백만장자

이투데이 조회수  

막대한 대선 자금에 부유한 정치인 늘어
블루칼라 계층 정계 진출 가로막는 장벽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워싱턴 국회의사당 상·하원 합동회의에서 연설하고 있다. 워싱턴/AP뉴시스

돈의 천장이 미국 정치를 가로막고 있다.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최근 현 미국 정치를 이렇게 표현했다.

금융정보업체 ‘24/7 월스트리트’가 역대 미국 대통령 45명의 순자산을 추산한 결과 100만 달러(약 14억 원) 이상의 백만장자는 36명으로 80%에 달했다. ‘격차 대국’ 미국에서 정치에 입문할 수 있는 계층도 특정돼 있다는 게 닛케이의 진단이다.

미국은 상위 1%의 부유층이 소득의 21%, 순자산의 35%를 차지하고 있다. 정치인도 부자가 대다수다. 미국 정치자금 감시 단체 오픈시크릿츠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상·하 양원 연방의원의 평균 순자산은 100만 달러 이상이다. 백만장자는 50%가 넘는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37억 달러로 역대 대통령 중 가장 재산이 많았다. 조 바이든 현 대통령은 900만 달러로 27위다.

11월 미국 대통령 선거와 연방의회 선거에 드는 비용은 각각 57억 달러와 89억 달러를 넘어서 모두 사상 최대치를 기록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이렇다 보니 돈이 많이 드는 선거는 부유한 정치인들의 등장을 늘리고, 선거 자금을 조달하는 또 다른 부유층의 개입을 강화한다는 지적도 있다. 닛케이는 독일 사회학자 막스 베버의 말을 빌려 ‘플루토크라시(금권정치)’라고 표현했다.

금권정치는 ‘돈의 천장’을 만들어 다양한 계층의 미국 정치인을 양성해내지 못하고 있다. 닛케이는 미국 듀크대학교 니콜라스 칸스 교수의 저서를 인용해 “블루칼라 노동자 계층의 정계 진출을 가로막는 장벽”이라고 설명했다.

블루칼라 계층 출신 의원 비중. 단위 %. 왼쪽부터 일본 독일 이탈리아 영국 캐나다 미국 프랑스 경제개발협력기구(OECD) 평균. 출처 니혼게이자이신문

선거는 결과가 불확실하고 비용이 따를 수밖에 없다. 경제적으로 여유가 없는 사람은 낙선의 위험을 감수하면서까지 시간과 노력, 특히 자금을 투입할 수 없기 때문이다. 정당이나 지원 기업도 이를 알기 때문에 영입에 신중을 가한다. 출마하는 쪽과 영입하는 쪽의 이해관계가 겹쳐 블루칼라의 진입을 막는 ‘돈의 천장’을 형성했다는 게 닛케이의 진단이다.

또 하나의 문제는 선거 자금 마련에 혈안이 된 정치인들을 ‘막대한 자금’에 의존하기 쉽게 만든다는 점이다. 닛케이는 이를 ‘돈의 쓰나미’라고 표현했다. 선거 자금을 모아야 하는 정치인은 부유층과 기업이 쏟는 거액 지원금에 의존하기 쉽다. 그러면서 이런 세력의 이해관계가 정치에 반영되면 일반 국민의 목소리는 묻힐 수밖에 없다고 꼬집었다.

닛케이는 ‘금권정치’, ‘돈의 쓰나미 병폐가 일본에서도 일어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일본의 ‘엘리트 위주 정치’가 성이나 인종적 다양성을 중시하지 못하게 되는 원인이라는 것이다. 일본 세이케이대학교의 노구치 마사히로 교수는 “정치에서 소외되어 사회에 증오를 품은 계층과 그들을 이해하지 못하는 통치 양극화가 심화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정치인 확대를 위한 육성·지원 프로그램 강화, 정치 지원금 소액 분산과 공적 보조금 확대 등 정치개혁이 필요하다. 닛케이는 그 나라의 실정에 맞는 방안을 냉정하게 모색해야 한다며 돈의 상한선이나 돈의 쓰나미 폐해를 막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투데이
content@newsbell.co.kr

댓글0

300

댓글0

[경제] 랭킹 뉴스

  • “와주세요” 연이은 하늘父 요청에 네티즌 반응, 심상치 않다
  • “원심 형량 너무 무겁다” 2심서 선처 호소한 김호중이 전한 ‘한마디’
  • 여야 당쟁까지 번진 헌재 문형배 판사의 ‘음란물 카페’ 논란
  • “한국이 일본 밀어낸 방식이었는데”…삼성전자·SK하이닉스 ‘초비상’
  • “자수성가는 인정이지”…백종원 제친 1조 주식 부자, 누구?
  • “또 나온다?”, “1인 최대 35만 원”…민생회복 쿠폰, 어떻게 주나 봤더니

[경제] 공감 뉴스

  • “월 300 우습게 보는 놈들…” 온라인서 화제된 직장인 월급에 네티즌 반응
  • 계열사 지분 인수한 ‘리틀 김승연’의 한 수…지배구조 이렇게 달라졌습니다
  • “유재석, 아이유 등 포함돼” ‘빨갱이 명단’ 확산, 야권 정치인 반전 반응
  • “이재명도 추진했던…” 지자체들이 앞장섰던 공공 배달앱 사업, 지금은?
  • 탄핵 정국에도 유일하게 4억 뛴 이 동네…”앞으로 더 오를 수 있다구요?”
  • 닭장 원룸인데 “월세가 무려?”…허리 휘는 부모들 ‘눈물’

당신을 위한 인기글

  • “팰리세이드로 오프로드를?” 험로 주행 특화 패키지 국내 출시되나 주목
  • “4천만 원대 아빠차 대전” 팰리세이드 깡통 VS 싼타페 풀옵, 둘 중에 뭐 살까?
  • “가성비 따져도 이건 못 놓쳐” 아이오닉 9, 깡통 트림추천 옵션 패키지
  • “차량 안전 기능보다 낫네” 운전자 93% 찬성, 전국도입 시급한 ‘이것’의 정체
  • “현대차 진짜 오열할듯” 미국 역대급 갑질, 상상초월 피해 초비상!
  • “기아, 아빠들 덕분에 살았네” 쏘렌토, 카니발, 스포티지 역대급 기록 달성
  • “기아가 전기차 시장 다 먹는다” 공개된 EV4, 콘셉트와 얼마나 달라졌을까?
  • “7천만 원 주고 샀는데 결함 투성이?” 출고 시작한 팰리세이드 결함 논란

함께 보면 좋은 뉴스

  • 1
    마이클 코어스, 뉴욕에서 펼쳐진 2025년 가을·겨울 컬렉션 런웨이 쇼 공개

    뉴스 

  • 2
    ‘내란 수사’ 증인만 150명인데 헌재는 단 14명…‘위법·불공정한 심리’ 주장 尹측 대리인단 “중대한 결심” 꺼내드나

    뉴스 

  • 3
    “결혼 3년 만에” … 박군, ♥아내 한영과 ‘각자’

    연예 

  • 4
    현직 검사장의 충격 발언! '헌재, 일제 치하 일본인 재판관보다 못하다' 이영림 검사장 프로필

    뉴스 

  • 5
    리오넬 메시 아니다...전 세계 스포츠 선수 '수입 1위' 차지한 축구 스타

    스포츠 

[경제] 인기 뉴스

  • “와주세요” 연이은 하늘父 요청에 네티즌 반응, 심상치 않다
  • “원심 형량 너무 무겁다” 2심서 선처 호소한 김호중이 전한 ‘한마디’
  • 여야 당쟁까지 번진 헌재 문형배 판사의 ‘음란물 카페’ 논란
  • “한국이 일본 밀어낸 방식이었는데”…삼성전자·SK하이닉스 ‘초비상’
  • “자수성가는 인정이지”…백종원 제친 1조 주식 부자, 누구?
  • “또 나온다?”, “1인 최대 35만 원”…민생회복 쿠폰, 어떻게 주나 봤더니

지금 뜨는 뉴스

  • 1
    이산가족 3만 명 넘게 남았는데… 북한, 수상한 움직임 포착됐다

    뉴스 

  • 2
    '연기대상'까지 정복… 커리어 하이 찍은 장나라, 또 축하받을 소식 전해졌다

    연예 

  • 3
    윤 대통령 "제가 질문하게 해달라"… 문형배 "안 된다" 불허

    뉴스 

  • 4
    KBS, 부진 딛고 재도약 각오…"이영애→마동석까지 등장할 것 공 많이 들였다" [ST현장]

    연예 

  • 5
    이슈메이커 박유천, 마약 사건·은퇴 번복에도 여전히 인기? 일본에서 활동 재개한 충격적인 이유

    연예 

[경제] 추천 뉴스

  • “월 300 우습게 보는 놈들…” 온라인서 화제된 직장인 월급에 네티즌 반응
  • 계열사 지분 인수한 ‘리틀 김승연’의 한 수…지배구조 이렇게 달라졌습니다
  • “유재석, 아이유 등 포함돼” ‘빨갱이 명단’ 확산, 야권 정치인 반전 반응
  • “이재명도 추진했던…” 지자체들이 앞장섰던 공공 배달앱 사업, 지금은?
  • 탄핵 정국에도 유일하게 4억 뛴 이 동네…”앞으로 더 오를 수 있다구요?”
  • 닭장 원룸인데 “월세가 무려?”…허리 휘는 부모들 ‘눈물’

당신을 위한 인기글

  • “팰리세이드로 오프로드를?” 험로 주행 특화 패키지 국내 출시되나 주목
  • “4천만 원대 아빠차 대전” 팰리세이드 깡통 VS 싼타페 풀옵, 둘 중에 뭐 살까?
  • “가성비 따져도 이건 못 놓쳐” 아이오닉 9, 깡통 트림추천 옵션 패키지
  • “차량 안전 기능보다 낫네” 운전자 93% 찬성, 전국도입 시급한 ‘이것’의 정체
  • “현대차 진짜 오열할듯” 미국 역대급 갑질, 상상초월 피해 초비상!
  • “기아, 아빠들 덕분에 살았네” 쏘렌토, 카니발, 스포티지 역대급 기록 달성
  • “기아가 전기차 시장 다 먹는다” 공개된 EV4, 콘셉트와 얼마나 달라졌을까?
  • “7천만 원 주고 샀는데 결함 투성이?” 출고 시작한 팰리세이드 결함 논란

추천 뉴스

  • 1
    마이클 코어스, 뉴욕에서 펼쳐진 2025년 가을·겨울 컬렉션 런웨이 쇼 공개

    뉴스 

  • 2
    ‘내란 수사’ 증인만 150명인데 헌재는 단 14명…‘위법·불공정한 심리’ 주장 尹측 대리인단 “중대한 결심” 꺼내드나

    뉴스 

  • 3
    “결혼 3년 만에” … 박군, ♥아내 한영과 ‘각자’

    연예 

  • 4
    현직 검사장의 충격 발언! '헌재, 일제 치하 일본인 재판관보다 못하다' 이영림 검사장 프로필

    뉴스 

  • 5
    리오넬 메시 아니다...전 세계 스포츠 선수 '수입 1위' 차지한 축구 스타

    스포츠 

지금 뜨는 뉴스

  • 1
    이산가족 3만 명 넘게 남았는데… 북한, 수상한 움직임 포착됐다

    뉴스 

  • 2
    '연기대상'까지 정복… 커리어 하이 찍은 장나라, 또 축하받을 소식 전해졌다

    연예 

  • 3
    윤 대통령 "제가 질문하게 해달라"… 문형배 "안 된다" 불허

    뉴스 

  • 4
    KBS, 부진 딛고 재도약 각오…"이영애→마동석까지 등장할 것 공 많이 들였다" [ST현장]

    연예 

  • 5
    이슈메이커 박유천, 마약 사건·은퇴 번복에도 여전히 인기? 일본에서 활동 재개한 충격적인 이유

    연예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