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이후 농협생명이 자체적으로 접수한 보이스피싱 피해사례는 0건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월부터 9월까지 농협생명이 접수했던 보이스피싱 피해사례가 17건이었다. 농협생명은 금융소비자들의 사기 피해 방지를 위해 악성 앱 탐지 서비스와 캠페인 등 각종 온·오프라인 수단을 총동원해 보이스피싱 피해를 제로화 하는데 성공했다. 농협생명 관계자는 “날로 진화하는 금융 범죄를 막기 위해 다양한 대책을 구사하며 피해를 줄일 수 있었다”고 전했다.
━
농협생명, 금융범죄 예방 위해 사활
━
최근 농협생명이 내세우고 있는 대표적인 보이스피싱 예방 대책은 고령자를 대상으로 한 비대면 보험계약대출 콜백 서비스다.
올해 2월부터 시행한 해당 서비스는 50대 이상의 고객이 모바일이나 홈페이지로 대출을 진행한 경우 고객이 직접 실행한 것이 맞는지 콜센터 상담원이 다시 한 번 확인하는 서비스다. 농협생명은 금융소비자 가운데 50대 이상이 보이스피싱 위험에 더 취약하다고 판단해 해당 서비스를 운영하기 시작했다.
실제 금융감독원의 ‘2023년 보이스피싱 피해 현황 분석’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대한민국에서 발생한 보이스피싱 피해 규모는 역대 최고치인 1965억원을 기록했다. 이 가운데 연령별 보이스피싱 피해금액 비중을 살펴보면 50대가 29%(569억8500만원), 60대 이상이 36.4%(715억2600만원)로 과반 이상을 차지했다. 전체 보이스피싱 피해 건수를 봐도 50대가 30%, 60대 이상이 35.2%로 65%가량이 50대 이상이었다.특히 보험계약대출은 고객이 낸 돈 안에서 발생하는 해약환급금 범위에서 이뤄지기 때문에 신용도와는 관계없고 이용 자격도 까다롭지 않다. 또한 대출 과정이 쉽고 간편하다보니 대출까지 걸리는 시간도 타 금융권에 비해 짧다. 제1금융권에서 받을 수 있는 대출 과정보다 수월하다는 점 때문에 금융범죄 위험에 상대적으로 더 노출돼 있는 셈이다.
이에 지난해 9월 NH농협생명은 본인인증수단을 새롭게 등록한 고객은 보험계약대출을 받을 때 일정 시일이 지난 이후부터 대출이 가능하도록 개선했다. 개인정보 유출로 본인도 모르게 금융사에 인증서가 등록돼 거래를 시도하는 것을 막고자 대출거래에 은행권의 지연인출 제도와 같은 방식을 도입한 것이다.
농협생명은 다양한 금융범죄를 막기 위해 지난해 고객 휴대전화 원격제어 탐지 범위를 확대하고 악성 앱 탐지 시 앱 실행을 차단하는 시스템인 원격제어 앱 연동차단(3월)과 ARS인증(10월)도 도입했다. 올해엔 본인계좌 1원 인증(2월) 등을 도입해 보안을 강화했다.
지난해 농협생명은 보이스피싱을 포함해 금융범죄를 막기 위한 금융소비자보호 부서도 재편성했다. 다양하고 고도화한 금융범죄를 막기 위해 금융소비자보호 부서에 디지털부서를 편입시킨 것이다.
기존 범죄사기자 특성을 분석하고 보험사기 유의자를 추출해 SIU(보험사기조사단)에 전달하는 등 데이터화를 통해 보험사기 예방을 강화한 것이다. 앞으로 농협생명은 보험사기 예방을 위한 디지털 시스템을 고도화 하는 한편 인력도 지속 충원한다는 방침이다.
이처럼 농협생명이 보이스피싱 예방에 주력하는 이유는 보이스피싱이 소비자에게 피해를 줄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보험금 누수로 인해 보험사 손익에 영향을 끼칠 수 있기 때문이다. 보험사들은 손익이 악화하면 이를 만회하기 위해 보험료를 인상, 중장기적으로 소비자들의 경제적 부담을 안겨줄 수 있다.
정동화 농협생명 CCO(금융소비자보호총괄책임자)는 “보이스피싱 등 금융범죄가 지능화, 고도화 되면서 관련 소비자 피해 우려도 높아지고 있다”며 “금융소비자보호를 최우선으로 다양한 고객 피해 예방 대책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백영화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보험사기로 인한 보험금 누수는 보험회사의 재무건전성에 영향을 미치고 궁극적으로는 보험료 인상을 유발해 다수의 선량한 보험계약자들에게 피해를 입힐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예방하기 위한 방안을 강화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