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5월 출시한 ‘대출 갈아타기’ 서비스가 개시된 이후 전날까지 11조원에 육박하는 대출이 이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전날까지 누적 기준 21만 4127명의 서비스 이용자가 대출 갈아타기 서비스를 이용해 총 10조 8718억원 규모의 대출을 더욱 낮은 금리로 이동했다.
3개 서비스에서 평균 대출 금리가 약 1.52%포인트(p) 하락하고, 1인당 연간 기준 약 164만원의 이자가 절감됐다고 금융위는 밝혔다.
대출을 보유한 차주가 1천만명이 넘는 신용대출은 총 17만 6723명의 차주가 4조 1764억원의 대출을 이동해 보다 낮은 금리로 대출을 갈아탔다.
금리는 평균 약 1.57%p 하락했고, 1인당 연간 기준 이자절감액은 58만원 수준인 것으로 집계됐다.
차주가 각각 632만명과 187만명인 주택담보대출과 전세대출은 신용대출보다 평균 대출규모가 커서 대출 갈아타기에 따른 이자절감 금액이 신용대출의 4∼5배에 달했다.
주택담보대출(1월 9일 개시)은 2만 6636명이 4조 8935억원의 대출을 갈아타 금리가 평균 1.49%p 하락했고, 1인당 연간기준 이자절감액은 273만원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세대출(1월 31일 개시)은 1만 768명의 차주가 1조 8019억원의 대출을 이동해 금리는 평균 1.42%p 내렸고, 1인당 연간 기준 이자절감액은 238만원 수준이었다.
‘대출 갈아타기’ 서비스 최대 수혜자는 인터넷전문은행인 것으로 나타났다.
![카카오뱅크. [사진=카카오뱅크]](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06/CP-2022-0038/image-d5053f3e-443f-4fae-8249-488d46c078a2.jpeg)
지난달 카카오뱅크에 따르면 1분기 주담대의 62%는 대환대출로 유입됐다. 지난해 주담대의 절반이 대환대출이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크게 늘었다.
카카오뱅크의 1분기 전·월세 보증금 대출의 대환대출 비중도 45%에 달했다. 시중은행의 대출 고객 일부가 카카오뱅크로 넘어왔다고 해석할 수 있다. 실제 원스톱 대환대출 인프라 서비스 시장에서 카카오뱅크의 주택담보대출 점유율은 지난 3월 25일 기준 31%에 이른다.
이와 관련 카카오뱅크 관계자는 “지난 1월 출시된 ‘대출 갈아타기’ 서비스는 출시 당시 오픈런(매장 오픈 전 줄을 서는 현상)까지 하면서 큰 이슈가 됐다”며 “지금 현재는 오픈런까지는 아니지만 계속해서 유입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케이뱅크 사옥 전경. [사진=케이뱅크]](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06/CP-2022-0038/image-b97dcf1f-66d4-4186-94b2-9b912c911ec3.jpeg)
케이뱅크의 경우 1분기 아파트담보대출이 1조원, 전세대출이 약 3000억원 늘었다. 특히 아담대의 경우 전세 신규 대출 중 67%가 대출 갈아타기를 통해 유입됐다.
케이뱅크 관계자는 “대환대출 인프라 시행에 맞춰 신청 및 심사 프로세스를 개선한 결과 금리 경쟁력과 편리한 이용 환경으로 아담대와 전세대출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며 많은 고객이 유입됐다”고 설명했다.
![금융위원회. [사진=금융위원회]](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06/CP-2022-0038/image-bd3f00ed-138c-4c9d-9c91-498409101509.png)
금융위는 “그동안 다양한 개선과제들을 발굴·추진해 왔으며, 앞으로도 대출 갈아타기 서비스를 통해 금융권 경쟁을 촉진하고 이용자들이 이자부담을 절감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지속 개선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오는 9월부터는 KB시세, 한국부동산원 시세 등 실시간 시세 조회가 가능한 빌라(다세대·연립주택) 및 주거용 오피스텔을 담보로 한 대출로 영역이 넓어진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