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거래대금 격차 4조…올 들어 코스피에 다시 역전
내년 3월 말까지 전산화 시스템 구축…이후 재개 예정
외인 롱쇼트 전략 제한…밸류업 수혜 대기업 선호 지속
공매도 금지 조치가 연장된 가운데 외국인의 주요 투자 전략에 제한이 생기면서 지난해와 달리 코스닥시장에 대한 관심이 줄어드는 양상이 지속되고 있다.
최근 증시 상승 동력으로 작용한 인공지능(AI) 반도체 관련주의 강세와 정책 수혜 등이 모두 대형주에 쏠리며 당분간 이런 현상이 이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된다.
1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해 들어(1월2일~6월14일) 코스피의 하루 평균 거래대금은 11조1121억원으로 코스닥(10조1261억원)보다 9860억원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2차전지 종목들의 투자 광풍에 힘입어 코스닥의 일평균 거래 대금(10조246억원)이 사상 처음으로 코스피(9조6027억원)를 추월하기도 했지만 올들어 유가증권시장에 밀리면서 상황이 다시 역전된 것이다.
지난 1월까지만 해도 코스피의 일 평균 거래대금은 8조8749억원으로 코스닥(10조4961억원)보다 적었다.
그러나 AI 반도체 테마가 부상하고 정부의 밸류업(기업가치 제고) 프로그램 도입 기대감이 커진 2월부터는 코스피의 거래 대금이 11조3343억원으로 늘어 코스닥(11조803억원)을 앞서기 시작했다.
이어 코스피는 3월(11조5476억원)·4월(11조1589억원)·5월(11조7507억원)에도 꾸준히 11조원대를 기록한 반면 코스닥은 3월(11조1924억원)·4월(8조9627억원)·5월(9조2586억원) 들쭉날쭉한 흐름으로 코스피 대비 격차가 커지는 양상을 보였다.
6월 들어서도 지난 14일 기준 일 평균 거래대금은 코스피가 13조6155억원, 코스닥이 9조4797억원으로 양 시장의 격차가 더 벌어졌다.
이는 공매도 금지 기간이 장기화되면서 밸류업 수혜가 기대되는 대형주 위주로 외국인 투자자들의 매수세가 집중된 데 따른 것이다.
외국인은 공매도를 롱쇼트 전략이나 현·선물 차익거래 등 포트폴리오 헤지(위험 회피)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
롱쇼트 전략이란 주가 상승이 기대되면 매수(롱·long)하고 하락이 예상되는 주식은 공매도나 선물·옵션 매도(쇼트·short) 등을 통해 차익을 남기는 투자 기법을 병행하는 것을 뜻한다. 즉, 저평가된 주식을 사고 고평가된 주식을 공매도하거나 파는 전략이다.
그러나 공매도 금지로 인해 외국인들의 쇼트 전략이 제한되면서 밸류업 이슈가 있는 대형주 위주의 거래가 이뤄지고 있는 것이다. 외국인은 연초 이후(1월2일~6월14일) 유가증권시장에서 20조907억원을 순매수한 반면 코스닥시장에선 4371억원을 순매수하는 데 그쳤다.
시장에선 공매도 금지 연장으로 당분간 지금과 같은 구도가 지속될 것이란 전망을 내놓고 있다. 금융위원회는 지난 13일 임시 금융위원회를 개최하고 이달 말까지였던 공매도 금지 조치 기한을 공매도 전산화 시스템이 구축되는 내년 3월 말까지 연장하기로 의결했다. 지난해 11월부터 8개월째 이어진 공매도 금지 조치가 9개월 더 연장돼 1년 5개월간 유지되는 셈이다.
김병연 NH투자증권 투자전략부 이사는 “공매도 금지가 연장된 상황에선 롱쇼트 전략을 펼치는 외국인은 시가총액이 큰 밸류업 주식을 살 수밖에 없다”며 “하반기에는 세제 개편안이 남아 있어 밸류업 프로그램에 대한 모멘텀(상승 동력)도 여전히 있다”고 내다봤다.
다만 앞선 일본의 밸류업 프로그램 사례를 감안하면 대형주의 저평가 현상이 먼저 해소된 이후 소형주로 순환매가 나타날 수 있다는 의견도 있다.
하인환 KB증권 연구원은 “일본의 선례를 보면 밸류업 초기에는 대형주의 주가순자산비율(PBR) 저평가가 가장 먼저 해소됐고 이후 소형주가 상승하면서 시장의 관심이 순환했다”며 “중소형주는 주주환원정책 실행 시 대형주 대비 투자 매력도가 더 높게 나타난다”고 분석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