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노민호 기자 =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이르면 6월 방북할 것으로 관측된다. 남북관계가 악화일로인 가운데 이뤄지는 방북에서 푸틴 대통령은 ‘북러 혈맹관계’를 강조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된다.
러시아 매체 베도모스티는 10일(현지시간) 외교 소식통을 인용해 푸틴 대통령이 이르면 6월 중 북한과 베트남을 방문할 수 있다고 보도했다.
지난달 말 크렘린궁은 푸틴 대통령의 방북이 준비되고 있다며 “적시에 발표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런 가운데 좀 더 구체화된 푸틴의 방북 시점이 제기된 것이다.
이에 대해 외교부 당국자는 “예의 주시 중”이라며 “한러는 한반도 문제 관련 소통을 유지하고 있다. 다만 구체적인 협의 내용은 밝히기 어렵다”라는 원론적인 입장만 밝혔다.
푸틴 대통령의 방북은 지난해 9월 북러 정상회담에서 합의한 사안이다. 푸틴 대통령은 올해 안으로 당시 ‘약속’을 반드시 이행할 것이라는 관측에 힘이 실린다. 그가 올해 방북하면 지난 2000년 7월 이후 24년 만이다.
북러관계는 과거 ‘혈맹’으로 분류됐으나 냉전이 종식된 후 부침을 거듭해 왔다. 특히 1995년 ‘조러(북러) 우호 협조 및 호상원조 조약’의 연장이 무산됨에 따라 양국 관계는 ‘일반적인 관계’로 머물러 있었다는 분석이다.
다만 지난 2022년 2월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후, 각자의 ‘필요성’에 의해 상대적으로 밀착을 더욱 과시하는 모양새다. 북한은 러시아에 무기를 지원하고 있고, 러시아는 군사 및 경제적 지원 외에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등 국제무대에서 노골적으로 북한을 편들고 있다.
아울러 러시아는 지난해 북중러 연합 군사훈련 가능성까지 시사하며 ‘북중러 3각 협력’ 구도를 강조했으나 중국의 ‘거리두기’ 외교 행보로 이 구상은 힘을 받지 못하고 있다.
푸틴 대통령은 지난 5월 집권 5기를 시작한 후 첫 해외 일정으로 중국을 방문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양자회담을 가졌으나 당시에도 중러 양자관계 협력 모색 차원에서만 그쳤다.
북한 역시 최근 들어서는 ‘북중러 3각 협력’ 구도에 대해선 별다른 기대감을 가지지 않고 있는 모양새다.
특히 북한은 지난달 말 서울에서 열린 한중일 정상회의에서 ‘한반도 비핵화’가 거론되자 외무성 대변인 담화를 통해 즉각 반발하는 등 우회적으로 중국에 불편한 기색을 드러내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푸틴 대통령은 다가올 북러 정상회담에서 철저하게 북러 양자관계 공고화를 추진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갈등과 냉각을 반복하고 있는 남북관계와 역시 장기 냉각 상태인 한러관계 등 한반도 사안에 대한 푸틴 대통령의 메시지 발신도 주목할 만하다.
푸틴 대통령은 지난 5일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세계 주요 뉴스통신사 대표들과 만난 자리에서 “한국이 우크라이나 분쟁 지역에 무기를 직접 공급하지 않기로 한 결정을 높이 평가한다”라며 사의를 표하는 등 ‘유화적’ 제스처를 보인 바 있다.
그러나 외교가에선 당시 푸틴 대통령의 발언이 한러관계 개선을 위한 전향적 태도라고 평가하진 않는다. 다분히 정치적 메시지라는 해석이다.
박원곤 이화여대 교수는 “김정은 총비서의 최근 선전전에서 화룡점정은 푸틴의 평양 방문”이라며 “러시아도 우크라이나 전쟁이 지속되는 한 북한과의 관계가 중요하기 때문에 실절적 성과가 없더라도 양측은 푸틴의 방북의 상징적 의미를 부각하는 데 초점을 맞출 것”이라고 전망했다.
- 결혼식 사회 봐준 친구였는데…경찰관 살해한 승무원
- [속보] 애플 AI 전략 발표에도 주가 2% 급락
- 엔비디아 액면 분할 후 첫거래서 0.75% 상승, 시총 2위 탈환(상보)
- ‘보험료 환급’ 여행보험 판매중단?… 당국, 오늘 가이드라인 마련한다
- [단독] ‘가위’ 휘두르며 행인 협박한 30대 남성…응급 입원 조치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