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매도 전산화 논의 경과 및 구축 방안’ 발표
자체 관리 시스템 구축 가이드라인 이달 공개

금융당국이 공매도 전산화 시스템 구축 기간을 최대한 단축해 내년 3월을 목표로 추진하겠단 방침이다. 기관투자자들의 자체 잔고관리 시스템 구축을 위한 가이드라인도 이달 발표 예정이다.
10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공매도 전산화 논의 경과 및 구축 방안’에 따르면 ‘불법 공매도 중앙 차단 시스템(NSDS·Naked Short Selling Detecting System)’은 10개월 내 구축을 목표로 추진된다.
금감원은 새로운 시스템과 효과적인 불법 공매도 적발 알고리즘 동반 개발, 다수 기관투자자 시스템과의 연계를 위해 상당한 기간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했다.
앞서 금감원은 지난 4월 ‘개인투자자와 함께하는 열린 토론(2차)’에서 공매도 전산화 방안을 발표하며 NSDS 도입을 예고했다.
NSDS는 기관투자자별 모든 매도주문을 주문 당시 매도가능잔고와 상시 비교해 무차입 공매도를 자동 탐지하고 신속 제재한다. 중앙 차단 시스템을 통해 무차입 공매도를 상시 자동 적발하는 구조다.

금감원은 공매도 거래 기관투자자의 자체 관리 시스템 및 내부통제 구축에 속도를 높이기 위해 가이드라인을 이달 중 발표할 계획이다.
공매도 전산화는 중앙 차단 시스템 도입과 함께 기관투자자가 자체적으로 매도가능 잔고를 전산 관리하는 내부 시스템을 구축해 3중으로 무차입공매도를 사전 차단하는 방향으로 진행된다.
자체 잔고관리 시스템이 NSDS에 데이터를 전송하고 NSDS가 자체 잔고관리 시스템의 데이터를 검증·감시 하는 환류체계 구축이 목표다.
금감원은 자체 잔고관리 시스템과 내부통제 구축의 조기 안착을 지원하기 위해 현재 금감원 단독 전산화 실무지원반을 유관기관 합동 실무지원반으로 확대 개편해 신속 행정지원 체계를 이달 중 가동할 예정이다.
금감원은 공매도 전산화 구축에 속도를 내는 한편 공매도 제도개선 최종안도 조만간 발표할 계획이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이날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개인투자자와 함께하는 열린 토론(3차)’에서 “개인, 기관, 외국인 투자자 모두가 신뢰할 수 있는 합리적인 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다각도의 노력을 통해 마련한 제도개선 최종안을 조만간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번 토론회는 기관투자자 잔고관리시스템을 포함한 공매도 전산화, 제도개선 등에 대한 논의와 기타 자본시장 현안에 대한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의견 청취를 위해 마련됐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