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0 민주 항쟁은 1987년 6월10일부터 29일까지 진행됐다. 4·13 호헌 조치, 부천경찰서 성고문 사건,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이한열 최루탄 피격 사건 등이 도화선이 돼 전국적인 시위로 이어졌다.
1987년 4월 전두환 전 대통령은 남은 임기가 1년에 못 미쳐 임기 중 개헌이 불가능하자 현행 5공화국 헌법대로 차기 대통령 선거를 치르고 정권을 이양하겠다는 특별담화를 발표했다. 담화에서 전 전 대통령은 대통령 간접 선거 조항을 사수하겠다는 4·13 호헌 조치를 밝혔다.
이에 반발한 시민들은 거리로 나와 “호헌 철폐”, “독재타도”, “민주쟁취” 등의 구호를 외쳤다.
━
이한열 최루탄 피격 사건, 6·10 민주 항쟁으로 이어져
━
6·10 민주항쟁이 일어나기 하루 전날이었던 1987년 6월9일 전국 각 대학 학생들은 사전집회를 열었다. 연세대 노천극장에 모여 사전집회를 마친 학생 1000여명이 교문 앞으로 진출하자 경찰은 그들을 향해 최루탄을 발사했다. 본래 규정을 무시하고 직사로 사격한 최루탄은 연세대 학생인 이한열 열사의 후두부를 직격했다. 쓰러진 이 열사는 병원으로 호송됐으나 결국 같은해 7월5일 사망했다.해당 사건은 6월 민주항쟁의 시발점이 됐다. 이한열 최루탄 피격 사건 이후 1987년 6월10일 성공회 서울주교좌성당에선 4·13 호헌 성명이 무효임을 선언하는 결의문이 발표되며 본격적인 민주항쟁이 시작됐다.
성공회 서울주교좌성당이 경찰에 봉쇄되자 학생들은 6월10일 낮 12시 명동으로 모여들었다. 낮 12시가 조금 넘은 시간 학생들을 중심으로 명동제일백화점(현재 명동 영플라자, 솔라리아 니시테츠 호텔) 앞에서 정부를 규탄하는 집회가 열렸다. 경찰의 진압에도 시위에 참여하는 시민은 점차 늘어났다.
━
멈추지 않는 시민 항쟁에 신군부도 결국 항복
━
6월10일 시작된 민주항쟁은 멈추지 않고 계속됐고 전두환 정권은 마침내 백기를 들었다. 같은달 29일 6·29 선언을 통해 대통령 직선제, 선택적 국민투표, 구속자 석방 등 야권의 요구를 받아들였다.6·10 민주항쟁의 대미는 7월9일 서울에서 열린 이한열 열사의 장례식이 장식했다. 연세대 교정에서 군중 10만명으로 시작해 신촌 네거리 노제에서 30만명, 시청 앞에선 100만여명으로 늘어났다. 이 장례식 참가 인원은 정부 수립 이래 역대 집회 중 최고였다.
그러나 시위는 장례식으로 끝나지 않았다. 이 열사의 운구 행렬 이후 서울시청 광장에 남은 100만여명의 군중은 연좌집회를 열고 “전두환 퇴진”, “청와대 진격”을 외치며 6·29 선언에 만족하지 않고 전 전 대통령의 완전 퇴진을 위해 전민항쟁을 계속했다.
이한열 장례위원회, 국본 지도부, 서울권대학생협의회도 100만 인파가 모일 것을 예측하지 못했기 때문에 시민들은 광화문4가 쪽으로 방향을 틀었다. 하지만 시민들의 시위에 경찰이 다연발 최루탄을 난사했고 이에 시민들이 흩어지면서 6·10 민주 항쟁은 막을 내렸다.
6·10 민주항쟁 덕분에 대한민국 역사상 9번째의 개헌이 이뤄졌다. 대통령 직선제를 담은 이 헌법은 1987년 10월27일 국민투표를 통해 확정되면서 제6공화국으로 이어졌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