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3일 동해안 영일만 일대에 막대한 양의 석유·가스가 매장돼 있을 가능성을 공식적으로 제기한 가운데 국내 정유·자원개발 업계에서는 긍정적인 반응과 함께 ‘신중론’이 대두됐다.
업계에서는 석유 매장량이 개발 가치가 있느냐는 부분부터 시작해 천연가스 역시 과도한 이산화탄소가 발생하면 사실상 경제성이 없다는 의견이 나왔다.
이날 한 정유업계 관계자는 아주경제와 통화에서 “탐사, 시추, 유통 등 전 과정에서 막대한 자금이 투입될 것”이라며 “우선 샴페인을 터트리기 전에 매장량과 경제성을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영일만 일대에 매장된 것으로 예상된 석유는 7억8000만~42억2000만 배럴로 최대 4년간 사용할 수 있는 양에 해당한다. 매장 자원 중 75%를 차지할 것으로 추정되는 천연가스 양은 3억2000만~12억9000만t(톤)이다. 이는 최대 29년간 사용할 수 있는 양이다.
하지만 추정치에서부터 석유는 최대치와 최소치가 5.4배, 천연가스는 약 4배 차이 나고 있어 우선 정확한 매장량 측정이 중요하다고 업계는 입을 모은다.
지난해 기준 국내 원유 수입량은 100억배럴에 육박하며, 대부분은 정제 후 수출을 하고 국내 사용량은 9억2625만배럴이다. 석유 매장량이 최소치인 7억8000만배럴에 가깝다면 연간 국내 사용량에도 한참 못 미치는 수준이다.
정유업계 관계자는 “그렇다면 자원 개발에 투입되는 비용이 석유를 생산하면서 얻는 이익을 크게 넘어서게 된다”며 “전 세계에 석유 매장지는 여럿 발견됐지만 경제성을 따져 사실상 시추를 포기한 곳이 여럿”이라고 말했다.
천연가스 개발에서도 t당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량이 중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일반적으로 가스전에서 생산하는 천연가스의 이산화탄소 포함률은 10% 내외를 기록한다. 이 수치를 넘으면 천연가스를 생산하면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가 너무 많아지면서 경제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한다고 업계 관계자는 설명했다. 특히 이산화탄소 발생에 요금을 부과하는 ‘탄소배출권’이 거래되는 국내에서는 배출권 가격이 천연가스 생산 수익률을 넘어서면 경제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될 가능성이 높다.
또는 탄소포집·저장기술(CCS)을 도입해야 하는데 이 역시 투입비용이 커 자칫 국내 가스가격 인상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우려한다.
국내 가스전 개발 기업 관계자는 “가스가 매장됐다고 생산하는 게 아니라 이산화탄소 포함률과 각종 비용을 생각할 수밖에 없다”며 “또 천연가스를 액화천연가스(LNG)로 수출할 때에도 이산화탄소 발생량이 중요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럼에도 성공적인 개발에 성공한다면 국부 확대는 물론 에너지 안보도 도약할 것이라는 긍정적인 시각이 크다.
실제 윤 대통령 발언으로 자원 개발에 대한 시장 기대감이 커지면서 관련 주가도 수직 상승 중이다.
이날 오후 2시 50분 기준 가스유틸리티 업종 주가는 전일 대비 18.68% 뛰었으며 무역회사와 판매업체 주가도 13.97% 올랐다.
기업별로 보면 대성에너지(29.91% 상승), 한국가스공사(29.87% 상승)가 상한가를 기록했으며 지에스이(26.69% 상승), 경동도시가스(16.45% 상승), 대성홀딩스(13.27% 상승), SK가스(7% 상승) 등 주가가 크게 뛰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