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채굴을 종료한 가스전을 이산화탄소 저장소로 활용하는 ‘이산화탄소포집기술(CCS)’은 가스전 개발과 병행할 수 있는 사업이다. 한국은 주요 선진국 대비 80%의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는데 내년부터 실증 사업이 추진된다. 2030년부터 이산화탄소를 본격 저장하게 되면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3일 한국석유공사에 따르면 석유공사는 2021년 말 생산이 종료된 동해 가스전에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실증 사업을 정부와 함께 추진하고 있다. 예비타당성조사를 마친 뒤 2025년 실증 사업을 추진해 2030년부터는 본격적으로 연간 120만 톤의 이산화탄소를 해저에 저장할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달 ‘CCS 산업 육성 전략’을 발표해 포집·수송·저장 등 전 주기 기술을 국가전략기술로 지정하고 연구개발(R&D)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2024년 기준 선도국 대비 80% 수준인 기술력을 2030년에는 90% 수준으로 끌어올리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현재 37억 달러인 시장 규모를 2030년 139억 달러까지 확대한다는 목표도 세웠다. 이를 통해 2030년에는 연간 480만 톤의 탄소를 감축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는 CCS에 특화된 연구·산업 인력 양성과 CCS 기업의 산업단지 입주 등을 지원하기로 했다. 아울러 CCS 산업의 중장기 육성 전략을 담은 기본 계획을 수립해 CCS 전 주기를 활성화할 방침이다. 동해 가스전 외에도 서해권 군산 분지와 남해권 제주 분지, 중부권 폐광 지역 등에 대한 대규모 탐사와 실증을 추진하고 있다. 올해 하반기에는 서해권 물리탐사가 진행될 예정이다.
석유공사는 “동해 가스전을 활용한 CCS 실증 사업은 기존 가스전을 활용하기 때문에 이산화탄소 주입 저장층 구조가 규명돼 있어 구조적 안전성을 확인할 수 있는 다양한 탐사 자료가 확보된 상태”라며 “17년간의 동해 가스전 운영 경험을 활용할 수 있다는 큰 강점을 가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