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들어 7% 넘게 올라 ‘안갯속’ 빠져
‘환차손 우려’ 외국인들도 발 빼
무역적자에 글로벌 경ㅇ기 불안감 커
원·달러 환율이 올해 들어 7% 넘게 급등하며 글로벌 금융위기 때보다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달러 강세에 지정학적 리스크 확대가 겹친 결과다. 시장에서는 증시에 찬물을 끼얹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원화 약세가 지속되면 환차손을 우려한 외국인이 발을 뺄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반도체 등 IT(정보기술) 제조업과 수출 중심의 회복세를 보인 한국 경제가 다시 ‘환율 리스크’에 휩싸였다는 분석이 나온다. 환율이 오르면 수입 원재료 등의 가격 상승 요인으로 작용해 국내 물가 전반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는 한국 증시의 기초체력을 약화시키는 요인이다.
2일 외환시장에 따르면 지난달 31일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5.1원 오른 1384.5원에 장을 마쳤다. 지난해 마지막 거래일이었던 12월 28일 종가(1288.0원) 대비 7.5% 상승했다.
금융위기가 한창이었던 15년 전과 맞먹는 충격이 외환시장을 휩쓸고 있다. 1997년 11월 정부가 국제통화기금(IMF)에 자금 지원을 요청한 직후 환율이 달러당 1000원대에서 그해 말 2000원 수준으로 단기 폭등한 것을 고려하면 올해 원·달러 환율 상승률(7.5%)은 외환위기 사태 이후 가장 높은 것으로 볼 수 있다.
달러 강세, 원화 약세가 이어지자 외국인들은 발을 빼기 시작했다. 2월 유가증권시장에서 7조8583억 원어치를 사들였던 외국인 매수강도는 3월 4조4285억 원, 4월 3조3727억 원으로 약화하더니, 결국 5월엔 1조3307억 원을 팔아치웠다. 통상적으로 원화 약세는 환차손 위험 등으로 외국인 수급 및 코스피 방향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꼽힌다.
외환 시장 전문가가 보는 원화의 미래는 안갯속이다. 외환시장 불안이 단기간에 해소되진 않을 것이란 관측이 우세하다. 무역수지 적자가 지속되고 있는 데다 미국 통화정책 전환(피벗)지연과 강달러,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이어 이스라엘-하마스(팔레스타인 무장정파) 무력 충돌, 부동산 위험에 따른 중국 경기 부진 등 사면초가 상황이다.
하나증권은 3, 4분기 원달러 환율을 각각 1365원, 1375원으로 예상했다. 이유로는 무역흑자와 금리를 들었다. 전규연 하나증권 연구원은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와 주요 선진국 금리차 확대로 미국 달러 강세 흐름이 전개될 것”이라면서 “한국 펀더멘털은 대외부문을 중심으로 견조하지만 무역흑자의 환시 영향력이 제한적이며 원화는 달러와 대외변수에 취약하다”고 설명했다.
반면, 한화투자증권은 달러화가 피크아웃(정점에 이른 뒤 상승세가 둔화하는 것)에 도달한 것으로 분석했다. 임혜윤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대외적으로는 인플레이션과 금리인하 지연 우려가 완화하면서 강달러 압력이 정점을 통과할 것이고, 글로벌 제조업 경기 반등과 교역조건 개선도 환율 하락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면서 “하반기에는 대내외 여건이 모두 원화 강세 우위로 돌아설 것으로 보여 1280~1380원 수준 등락을 예상한다”고 내다봤다.
SK증권의 경우 원·달러 환율의 레벨업은 반도체를 제외한 대중 무역수지가 적자로 돌아섰을 때 발생해왔다며, 적자 상쇄 여부에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
류진이 SK증권 연구원은 “원·달러 환율이 연내 1300원 하회가 어려운 이유는 2022년 3월 이후 반도체 제외 대중 무역수지가 적자 전환한 후 아직까지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라면서 “올해 글로벌 경기 반등 기대감 속에서 대중 무역수지 적자를 중국 외 국가들에서 얼마나 상쇄할 수 있을지와 대중 무역수지가 흑자 전환할 수 있을지 여부가 원·달러 환율의 1300원 하향 돌파의 키”라고 설명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