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는 호남·제주·동해안 등 계통포화 현상 해소를 위해 핵심선로를 조기에 건설하고 전력망 사업자 관리 강화에 나선다.
산업부는 30일 ‘전력망 혁신 전담반(TF)’회의를 열고 ‘출력제어 최소화를 위한 지역별 맞춤형 계통포화 해소대책’을 논의했다. 해소대책에는 △계통 질서 재정립과 △전력망 조기건설 추진 △기존망 활용 극대화 등이 담겼다.
전 세계적 탈 탄소 흐름에 맞춰 탄소중립, 에너지 안보 구현을 위해 재생에너지가 지속적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이에 정부는 송·변전설비 투자계획을 대폭 확대해 추지하고 있다. 다만 전력망 건설 속도가 재생에너지 보급 속도보다 늦은 상황이다. 이에 재생에너지가 집중 보급된 특정 지역에 발전설비가 추가 진입할 경우 계통 안정화를 위해 출력제어 상시화가 우려된다.
산업부는 계통 불안정으로 인한 출력제어를 최소화하기 위해 핵심선로 조기 건설을 추진한다. 호남·수도권 융통선로 건설기간을 1년 앞당기겠다는 것이다. 또 ‘국가기간 전력망 확충 특별법’ 제정 추진과 지자체의 인허가에 속도를 내기 위해 지역별 전력계통 협의체도 운영할 계획이다.
이에 앞서 기존 전력망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대책도 마련했다. 먼저 전력망을 선점하고 실제 사업을 추진하지 않는 전력망 ‘알박기’ 사업자 관리를 강화한다.
또 계통 안정화 설비를 도입하거나 출력제어를 조건부로 우선적 접속을 허용하는 유연한 접속제도 도입 등도 추진한다. 이를 통해 오는 2027년까지 최대 9.3GW 여유용량을 확보해 후순위·신규사업자에게 배분할 계획이다.
이와 동시에 한국전력공사는 ‘출력제어 최소화를 위한 계통관리변전소(출력제어율 3% 이상)’을 공개하고 계통이 상대적으로 여유가 있는 지역으로 발전사업 신청을 유도한다.
이호현 산업부 에너지정책실장은 “계통포화 현상이 조기에 해소될 수 있도록 전력망 조기 건설과 함께 계통 안정화를 위한 추가적인 설비 보강, 제도 마련 등을 추진해 재생에너지 보급·확산을 지원해 나갈 계획”이라며 “향후 지역별 전력계통 협의체 운영을 통해 맞춤형 대책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