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알파경제=이준현 기자] 국내은행의 건전성 지표인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본비율이 3월 말 소폭 하락했다.
금융감독원은 30일 공개한 ‘2024년 3월 말 은행지주회사 및 은행 BIS 기준 자본비율 현황’에 따르면 국내은행의 BIS 기준 총자본비율은 15.57%로 전분기 말(15.67%) 대비 0.10%p 하락했다.
보통주자본비율과 기본자본비율도 각각 12.93%, 14.26%로 전분기 말보다 0.08%p, 0.04%p 낮아졌다.
반면 단순기본자본비율은 6.60%로 0.01%p 소폭 상승했다.
총자본비율 기준으로 모든 금융체계상 중요한 은행(KB·신한·하나·농협·우리) 및 씨티·카카오·SC가 15%를 상회했다.
보통주자본비율 기준으로는 씨티·카카오·SC가 14% 이상, 토스·KB·신한이 13% 이상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이다.
감독당국의 규제 기준은 보통주자본비율 7.0%, 기본자본비율 8.5%, 총자본비율 10.5%다.
금감원은 “국내은행의 자본비율은 ELS 손실 배상 등으로 전분기말 대비 소폭 하락하였으나, 모든 은행이 규제비율을 크게 상회하는 등 안정적인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금감원은 “고금리·고환율 환경 지속 및 대내외 금융시장 불확실성 확대에 따른 예상치 못한 위험에 대비하기 위해 손실흡수능력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