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움증권의 2024년은 표면상 평온하다. 주주환원정책에 힘입어 키움증권 주가는 작년 연말 대비 올해 5월 28일 종가기준 28.6% 상승을 기록하고 있다. 하지만 김익래 전 회장이 회장직을 사퇴하기까지 했던 당시의 문제 자체가 해결된 건 아니라는 우려가 높다. 라덕연씨 사태와 영풍제지 미수금 논란 등 굵직한 사건이 한 해 두 번이나 터졌고, 이들 사태는 내부통제와 소비자보호 미흡 논란을 빚으면서 증권사의 기본인 고객 신뢰 자체에 의문을 남겼다. 김 전 회장의 605억원 사회환원 약속 즉 재단설립은 아직 오리무중이다. 김 전 회장이 지난 5월 사회공헌 약속을 내놓은지 이제 1년을 맞이한 가운데, 건강한 증권시장질서를 세운다는 점에서 키움사태의 교훈을 되짚어 본다. <편집자주>
【투데이신문 임혜현 기자】 이른바 ‘키움증권 사태’ 이후 1년이 흘렀다. 그룹 회장이 직을 내려놓는 상황에 거액의 사회환원 약속이 이어지는 등 상황은 숨가쁘게 전개됐다. 하지만 막상 공익재단 설립 논의 등이 무성했던 것에 비하면 실제 성과는 전혀 없어, 이행 의지가 미흡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여기에 오너 일가의 지배력 우려는 여전하다. 사과의 진정성 논란이 불거지는 이유다.
미공개 정보 이용 논란에 소비자 보호 실패 ‘연타’
R투자자문사 라덕연 전 대표가 일으킨 주가조작 사건은 차액결제거래(CFD)를 악용하던 중 빚어진 하한가 사태로 CFD 사건으로도 부를 수 있다. 하지만 이 사건은 순전히 라 전 대표만의 문제인지 논란이 있다. 키움증권 김익래 전 회장 등이 공매도를 악용해 CFD 반대매매가 일어났기 때문에 하한가 사태가 일어났다는 의혹이 있기 때문이다.
우선 지난해 금융감독원 조사에 따르면 키움증권 등 일부 증권사에서는 당시 주가조작에 이용됐던 CFD 계좌 개설시 거래자 명의를 제대로 확인하지 않았다는 점, 투자자들에게 손실 위험 시나리오 분석 결과도 제시하지 않았던 점 등 문제가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여기에 더해 김 전 회장과 특수관계인은 주식의 주가 폭락 직전(이틀 전) 다우데이타 주식을 매도하면서 차익을 거둬들였고, 이로 인해 내부정보를 이용해 매도 시점을 파악한 게 아니냐는 의혹도 불거졌다.
전자의 문제는 소비자 보호 미흡에 해당하고 후자의 논란은 특정 임직원에 의한 회사 내부 미공개 정보의 이용, 즉 내부통제 실패 지적을 받을 수 있다.
논란이 커지자 결국 김 회장은 지난해 5월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 점 머리 숙여 사과드린다”며 다우키움그룹 회장직을 내려놓겠다고 선언했다. 그는 “매도 과정에 법적인 문제가 없었다 하더라도 이번 사태로 모든 분들께 상실감을 드린 것에 대해 책임을 통감하고 사퇴를 결심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그 이후에도 또다른 문제가 불거졌다.
이어 10월에는 영풍제지 미수금 문제가 터졌다. 영풍제지 주가조작 사태 와중에 키움증권은 증거금률을 낮게 유지하는 바람에 4000억원대 미수금 손실을 입었다. 영풍제지는 연초 대비 700% 이상 급등하다 범인들의 체포 소식이 알려지면서 10월 중 하한가를 맞았다.
수상한 흐름에 미래에셋증권·한국투자증권·NH투자증권·삼성증권·KB증권·신한투자증권 등 주요 증권사는 지난해 초부터 7월까지 영풍제지 증거금률을 100%로 상향했고, 한국거래소는 7월과 8월 두 차례에 걸쳐 영풍제지를 투자주의 종목으로 지정하기도 했다. 하지만 키움증권은 유독 증거금률을 40%로 유지해 시세조종을 노리는 세력들이 키움증권에 상당수 계좌를 개설, 악용했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는 결국 리스크관리 실패 논란으로 이어졌다.
당초 김 전 회장 사퇴와 사회환원 약속이 5월 나오고 8월부터는 재단 설립 등을 둘러싼 논의가 구체적으로 언급되는 듯 했다. 하지만 이후 수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추진에 제동이 걸린 모습이다. 키움증권 측은 “현재 검찰 수사 중의 단계로 사회공헌을 위한 공익재단 설립은 하지 않은 상태다. 추후 수사가 마무리되는 시점에서 본격적인 작업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초유의 상황에 심지어, 오너 일가 지배력 강화 내지 유지 전망은 여전하다. 지난해 5월 김 전 회장이 직을 내려놓긴 했지만, 막상 10월 영풍제지 미수금 사태가 터지자 그 아들인 키움인베스트먼트 김동준 대표가 키움증권 대표에 오르는 시나리오가 대두됐다. 11월 황현순 전 사장이 대표이사직 자진 사임 의사를 밝히자, 일각에선 엄주성 당시 부사장(이후 현 키움증권 대표로 발탁)과 김동준씨가 함께 키움증권 차기 사령탑 후보군으로 거론하는 기류가 감지된 바 있다.
위기에도 오히려 오너 일가 영향력 막강…감감무소식 사회환원 진정성 어디에
지금도 김동준 승계 가능성에 대한 논의는 여전하다. 엄주성 체제가 최선을 다해 노력 중이지만, 결국 ‘김익래→김동준’ 승계를 위한 ‘브리지’ 역할에 머물지 않겠느냐는 의심을 하는 이가 적지 않다. 다만 키움증권 관계자는 빠른 김동준 등판 가능성에 대해 “회사 차원에서 답변할 사안은 아니다”라며 말을 아끼고 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김 전 회장의 사회환원이 좀처럼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 진정성 시비를 키울 수밖에 없다는 것. 이를 두고 오너 일가의 키움증권 등에 대한 장악 상황은 여전한 가운데, 아쉬울 게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금융정의연대 김득의 대표는 “지난해 공언했던 사회환원이 1년이 지나도록 진전 소식이 없다는 것은 당시 사회적 지탄에 대한 면피성 발언이 아닌가 의심된다”고 짚었다. 아울러 “당시 피눈물을 흘렸던 소액주주를 생각한다면 검찰수사와 관계없이 사회환원 약속을 이행해야 한다”고 비판했다.
작게는 지난해 5월 당시 김 전 회장에 쏟아진 사회적 비판을 일단 잠재우고, 크게는 ‘김익래→김동준’ 승계 그림을 완성해 나가는 상황에서 가급적 유리한 카드로 활용하기 위해 사회환원 이행을 서두를 필요가 희박하다는 여러 시각과 지적에 키움증권은 부인으로 일관한다. 키움증권 측은 “주주환원정책의 정책이나 사회환원은 순수하게 주주와 공익을 위한 결정”이라고 설명한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