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PF 사업성 평가 강화 후 부실사업장 정리 속도↑전망에
신용평가사 저축은행ㆍ캐피탈 신용등급 전망 하향 조정 나서
금감원 “6월 평가 후 7월까지 제출…하반기 사업장 정리 가속화”
건전성 저하 등에 따라 신용도 조정되는 제2금융권 늘어날 수도
다음 달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장 재평가를 앞두고 신용평가사들이 제2금융권의 등급 재조정에 나섰다. 부동산PF 중에서도 브리지론 비중이 높거나 영업자산 내 중·후순위 여신, 비수도권 소재 사업장 비중이 높아 리스크가 큰 저축은행, 캐피탈사의 신용등급이 줄줄이 낮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28일 금융권에 따르면 한국기업평가는 전날 OK저축은행의 기업신용등급을 BBB+에서 BBB로 하향 조정했다. 부동산 PF 관련 리스크가 재무 건전성을 유지하는 데 부담이 된다는 점을 이유로 꼽았다.
한기평은 OK저축은행이 브리지론의 비중이 높고 준공·분양리스크가 크다는 점을 지적했다. 올해 3월 말 기준 OK저축은행의 부동PF 관련 대출은 2조353억 원이다. 이중 본PF 대출은 9498억 원, 브리지론은 1조855억 원으로 브리지론 비중이 전체의 54%에 달한다. 본PF 전 단계인 브리지론은 부동산 경기가 나빠질 경우, 사업 지연이 장기화할 가능성이 크다.
또한, OK저축은행의 본PF 대출은 시공사가 대부분 중소형 건설사로 구성돼 있고, 오피스텔 및 근린생활시설 비중이 약 40%로 높은 점을 감안할 때 준공, 분양리스크가 높은 수준이라고 한기평은 평가했다.
앞서 이달 24일에는 나이스신용평가가 M캐피탈의 장기신용등급 전망을 ‘부정적’으로 낮췄다. 동영호 나신평 수석연구원은 “M캐피탈의 요주의이하자산비율이 2022년 말 기준 2.8%에서 올해 3월 말 기준 17.6%로 상승했고 부동산PF, 주택담보대출 등 부동산 관련 자산이 요주의이하자산의 상당 수준을 차지하기 때문에 관련 자산의 건전성이 저하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한국신용평가도 22일 부동산PF 관련 건전성 위험을 이유로 M캐피탈의 신용등급 전망을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변경했다. 전세완 한신평 수석연구원은 “M캐피탈의 중·후순위 여신과 비수도권 소재 사업장의 비중이 타사 대비 높아 향후 사업성 저하로 인한 건전성 저하 여신 규모가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올해 3월 말 기준 M캐피탈의 부동산PF 영업자산 잔액은 약 6400억 원이고 이중 변제순위가 중후순위에 해당하는 여신의 비중은 65%, 비수도권에 사업이 소재한 여신의 비중은 53%로 높은 수준이다.
신용평가사들이 연이어 신용등급 하향 조정에 나선 데에는 금융당국의 규제 강화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금융당국은 앞서 이달 14일 ‘부동산PF 사업성 평가 기준 개선방안’을 발표하고 평가등급을 기존 3단계에서 4단계로 세분화해 부실사업장 평가를 엄격히 하기로 했다. 평가 대상을 토지담보대출 등으로 확대하고, 본PF 전 단계인 브리지론 평가 기준도 신설했다.
전날 금융감독원은 ‘부동산PF 사업성 평가 설명회’를 열고 다음 달 중 5월 말 기준 연체 또는 연체유예 중이거나 만기 연장 횟수가 3회 이상인 사업장을 우선 평가하라고 주문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개선된 평가 기준 적용으로 추가 충당금 적립, 수익성 악화 등 금융업권의 부담이 있겠으나 PF 부실 정리가 지연될 경우 더 큰 위험이 될 수 있을 것”이라며 “지금이 옥석 가리기를 통한 PF 시장 연착륙의 골든타임이기 때문에 원칙에 따라 엄정히 평가해야 한다”고 했다.
다음 달 PF 유의·부실우려 사업장의 평가 결과와 재구조화·정리 계획은 금융회사가 사업진행 상황, 만기, 여신구조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7월 말까지 금감원에 제출한다. 이후 금감원이 금융사의 평가 결과 등을 점검해 조정을 협의하고, 정리 등 사업장 사후관리가 이뤄진다.
신용등급 전망이 하락하는 저축은행·캐피탈·증권사 등은 앞으로 더 늘어날 수 있다. 부실 사업장 정리에 속도가 붙으면서 제2금융권의 단기적인 건전성 저하와 대손충당금 부담 확대가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한신평 관계자는 “사업성 평가 기준 개선에 따라 개별업체의 부동산PF 익스포져 내 사업성이 없어 정리가 필요한 사업장의 구별이 용이해지고, 사업성 평가결과 유의 또는 부실 우려로 분류된 사업장에 대해 ‘적극적인 재구조화·자율매각 또는 상각·경·공매의 진행이 가속화할 것”이라고 했다.
이어 “평가 결과를 모니터링하고 업체별 건전성지표 저하수준과 손실부담을 신용도에 반영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