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의 기업가치 제고(밸류업) 정책의 성공은 정부 고위 관계자들의 해외 투자자들에 대한 긴밀한 소통 노력과 세제 인센티브 등 정책 성과를 체감할 수 있도록 한 점 때문이라고 일본 금융청 국장이 강조했다.
호리모토 요시오 일본 금융청 국장은 28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 호텔에서 금융투자협회가 개최한 ‘자본시장 밸류업 국제세미나’에서 일본 밸류업 정책의 성공 요인을 발표했다.
일본은 2021년 10월 출범한 기시다 내각의 주도 하에 ‘새로운 자본주의’라는 구호를 간판 경제 정책으로 내걸고 2022년 6월 구체적인 시행계획을 내놨다. 이 정책에서 금융산업 관련 정책으로는 기업 지배구조 개선, 가계소득 증대, 스타트업 육성 등이 거론됐다.
이후 일본 증시는 닛케이225 지수가 34년 전 거품 경제 당시의 기록을 뛰어넘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면서 일본 정부의 밸류업 정책은 성공적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이와 관련해 호리모토 국장은 가계자산을 자본시장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광범위한 구조적 개혁이 있었다는 점을 주요 성공 원인으로 꼽았다. 그는 이러한 계획을 ‘자산운용입국실현 계획’이라고 칭하며 정부가 ‘인베스트먼트 체인(투자 사슬)’에 속하는 가계, 기업, 금융사 등 각 주체들의 행동 변화와 개혁을 촉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호리모토 국장은 “일본의 가계자산 2200조 엔 중 50%가 예금이나 보험 같은 원금 보장형 금융자산으로 운용되는 중”이라며 “이를 주식으로 전환하는 정책을 실현할 건데, 이를 위해서는 금융상품을 판매하는 기관이 가계의 수요에 따른 적절한 리스크, 수익률 상품을 적당한 수준의 수수료를 제시해 판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그는 기시다 총리 등 정부 고위 관계자들이 해외 투자자와 긴밀한 소통 노력을 해왔다는 점이 일본판 밸류업의 성공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또 세제 인센티브와 금융교육 등 성과를 체감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의 중요성도 역설했다.
그는 “일본 기업 주가가 저평가됐다는 문제의식을 갖고 있었는데, 일본 정부에서 취했던 조치는 글로벌 투자자와 일대일로 대화를 나누는 것이었다”며 “전 세계 시장 중 왜 일본을 선택해야 하고 일본의 강점을 어떻게 글로벌 투자자들에게 강조할 수 있을 건지 검토하는 것에서부터 자산운용입국 정책이 시작했다”고 말했다.
두 번째 발표자로 나선 전은조 맥킨지앤컴퍼니 시니어 파트너는 한국 자본시장의 밸류업 방안에 대해 발표하면서 실제 코리아 디스카운트가 존재하는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다. 그는 “공부를 안 해서 성적이 안 나오는 것”이라며 “시장이 주목하는 것은 한국이라서 받는 구조적인 디스카운트보다 본원적인 기업 가치의 부족함”이라고 지적했다.
또 전 파트너는 “피투자 기업에 대해 적극적인 주주관여 활동을 확대하고 장기적 관점의 투자와 소통을 통해 피투자기업의 가치를 높이는 데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