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T(030200)가 휴대폰 기지국 신호 정보를 활용한 ‘수도권 생활이동 데이터’를 개발했다고 28일 밝혔다. 서울시는 이 데이터를 교통, 주거, 도시공간 재구조화 등 시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 혁신정책 수립에 활용할 계획이다.
이번에 공개된 데이터는 KT와 서울시, 인천시, 경기도, 통계청, 수도권 내 3개 연구원과 협력해 개발됐다. 서울·경기·인천 각 시도 안에서의 이동은 물론 시도 경계를 넘어 수도권 내에서 이동하거나, 수도권이 출발지이거나 도착지인 모든 사람들의 이동을 집계했다.
출·퇴근과 등·하교 같이 정기적인 이동에서 쇼핑, 관광, 병원 등을 위해 이동하는 경우까지 행정수요를 유발하는 모든 이동을 포함한다. 공간적으로는 서울과 수도권을 넘어 전국에서 서울과 수도권을 오가는 이동이 모두 대상이 된다.
KT는 휴대전화 통신 신호 데이터를 기반으로 도시민들의 이동을 기지국 단위로 집계했다. 서울 포함 수도권 전역을 읍면동(1182개)보다 더 세밀한 총 4만 1000여 개 구역(250m 격자 단위)별로 20분 단위 이동을 추계하는 방식이다.
출발지와 목적지를 기준으로 얼마나 많은 인구가 이동했는지, 어떤 목적으로 이동했는지,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가는데 평균으로 얼마나 걸리는지를 매일, 20분 단위로 집계해 산출된다. 모든 이동정보는 시간대별·성별·연령대별로 세밀한 파악이 가능하다.
서울시 등은 이 데이터를 통근·통학 시간 단축을 위한 교통 인프라 개선, 버스노선 최적화, 청년주택 입지선정, 광역 도시공간 재설계 등 도시민의 삶의 질과 직결되는 교통·주택·광역도시계획 정책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다. 환승센터, 정류장, 버스노선 등 교통 인프라를 개선하거나 조정할 수 있으며, 수도권과 서울 주변 지역 사이의 공간구조를 재설계함으로써 거점별 행정수요를 집중·분산해 사회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 병원·쇼핑센터·학교 등 공공시설의 입지를 선정하는 데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최준기 KT AI사업본부장(상무)는 “수도권 생활이동 데이터는 민·관·연 협력으로 성과를 창출한 사례”라며 “생활이동 데이터가 안전하고 편리한 스마트시티를 구현하는데 초석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