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4년간 국내 과학기술인력이 연평균 5.3% 증가하는 동안 이공계열 학사학위 이상 소지자의 증가율은 3.6%에 그친 것으로 조사됐다. 국내 과학기술 분야의 일자리는 빠르게 늘어나는데 관련 분야 대학 졸업 이상의 인력 배출 속도는 이를 따라가지 못해 인력 공급 부족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한국경영자총협회가 28일 내놓은 ‘과학기술인력의 고용특성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4월 기준 국내 과학기술인력은 196만1000명으로 2020년 4월 대비 20% 늘었다. 4년 간 연평균 증가율이 5.3%에 이른다. 코로나19 이후 인공지능(AI)·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이 가속화하면서 과학기술 분야의 일자리도 빠르게 늘었다.
|
하지만 과학기술인력의 화수분 역할을 하는 이공계열의 석·박사 포함 졸업자의 배출 속도는 더딘 것으로 나타났다. 이공계열 학사 학위 이상 소지자는 566만명으로 같은 기간 14.3% 늘었지만 과학기술인력의 증가율(20%)에 미치지 못했다. 연평균 증가율은 3.5%다. 경총 관계자는 “과학기술 분야에 고급 인력을 공급하는 이공계의 졸업자 배출 속도가 계속해서 더져지면 장기적으로 과학기술인력의 공급 부족 사태가 발생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과학전문가는 10만3000명으로 지난 4년간 연평균 7.4% 증가했다.20~30대 젊은 인력의 비중이 69.2%로 높았고 월 평균 임금 수준은 400만원이다. 석·박사 학위를 소지한 고학력자 비중이 56.2%로 전체 노동시장에서 가장 높았다.
정보통신(ICT)전문가는 40만1000명으로 연평균 5.6% 늘었다. 남성은 83.6%, 여성은 16.4%로 남성 인력의 비중이 월등했다. ICT 직종 사업체의 인력 미충원율은 26.7%로 전직종을 통틀어 가장 높았다. 지원자가 많아도 기업이 원하는 인력이 부족하다는 얘기다.
공학전문가는 73만6000명으로 연평균 6.2% 증가했다. ICT 분야처럼 남성인력 비중(87.6%)이 높아 공학기술 분야에 여성인력 진출과 육성이 원할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50대 이상 인력 비중은 24.4%로 과학전문가(10.0%)나 정보통신전문가(14.5%)에 비해 고령 인력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월 평균임금은 507만원으로 다른 과학기술 인력보다 많았다.
김선애 경총 고용정책팀장은 “우리나라가 글로벌 기술 패권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으려면 대학 교육시스템 혁신과 청년·여성인력 활용 확대 등 다각적인 인재 육성정책을 통해 첨단과학 기술 인재를 확보해야 한다”고 말했다.
- “서울 전용 84㎡ 전세가 6억원대”…역대급 입주 ‘이 단지’ 어디길래?
- [단독] UAE 대통령, 한앤코·스틱인베·IMM PE 등 IB맨들 만난다
- 센드버드-이스트소프트, AI휴먼-챗봇 결합 서비스 협력
- 엘앤에프, 中CNGR와 모로코서 협력…LFP 전구체 확보
- “여유증 수술 받았어요”… 허위 수술로 보험금 가로챈 일단 174명 덜미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