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기업가치 제고(밸류업) 정책의 성공 비결은 정부 고위 관계자의 적극적인 소통 노력과 각종 인센티브라는 일본 금융당국자의 분석이 나왔다. 국내 전문가들도 “이제부터는 기업의 시간”이라면서 기업의 적극적인 참여 노력과 이를 유도하기 위한 실질적 인센티브가 주어져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호리모토 요시오 일본 금융청 국장은 28일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금융투자협회가 개최한 ‘자본시장 밸류업 국제세미나’에서 일본 밸류업 정책의 성공 요인을 이같이 발표했다.
2021년 10월 출범한 기시다 내각은 ‘새로운 자본주의’라는 구호를 간판 경제 정책으로 내걸고 2022년 6월 구체적 시행계획을 내놨다. 이후 닛케이225 평균주가(닛케이지수)가 34년 전 거품 경제 때 기록을 뛰어넘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일본의 밸류업 정책은 성공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호리모토 국장은 주요 성공 요인으로는 가계자산을 자본시장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광범위한 구조적 개혁이 있었다는 점과 총리를 비롯한 정부 고위 관계자들이 해외투자자들과 긴밀한 소통 노력을 해왔다는 점 등을 꼽았다. 또 세제 인센티브와 금융교육 등 정책 성과를 체감할 수 있도록 했다고 호리모토 국장은 덧붙였다.
전은조 맥킨지앤컴퍼니 시니어 파트너는 한국 정부가 이번 대책의 핵심을 ‘밸류업’으로 잡은데 주목했다. 기업 스스로가 기업가치 제고에 나서는 것이 가장 중요한 과제라는 입장이다.
전 파트너는 “이제는 기업의 시간인 만큼 기업의 실질적 문화적 변화를 위해서는 인센티브를 늘려야 한다”면서 “일반기업 입장에서는 자본효율성을 올리는 것이 우선 최대 과제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기관투자자의 역할도 강조했다. 미국 등 여타 시장에서처럼 기업에 자금을 투자하는 기관투자자가 보다 적극적으로 기업 경영에 관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유석 한국금융투자협회장은 개회사에서 “자본시장 밸류업은 단순히 기업, 투자자 차원의 문제를 넘어 우리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음으로써 저성장, 저출생, 고령화 시대 돌파구가 될 수 있는 경제 선순환 정책”이라며 “협회와 금융투자업계도 부동산에 편중돼있는 가계자산이 생산적 금융인 자본시장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세미나에는 국회 정무위원회 의원들과 김주현 금융위원장,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유관기관과 증권·운용사 최고경영자(CEO) 등이 참석했다.
류근일 기자 ryuryu@etnews.com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