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1년 여행비 ‘더 쓸 것’ 줄고 ‘덜 쓸 것’ 급증
국내·외 모두 19년 수준 그쳐 물가 고려 땐 마이너스
해외는 회복되기도 전에 찬물…여행 과소비 우려 무색
여행계획률·실 지출액 코로나 전만 못해 침체 장기화 예상
소비자의 여행비 지출의향이 1년 이상 하락하면서 국내·해외 모두 코로나 전 수준으로 내려갔다. 특히 해외여행은 코로나 이전으로 회복되기도 전에 하락세로 접어들어 여행 과소비 우려가 무색해졌다. 지난 2~3년간 폭발적으로 분출했던 여행 욕구가 한풀 꺾인 데다 고물가로 지출 여력이 줄어든 데 따른 것으로 여행산업 불황 장기화 가능성이 있다.
여행 리서치 전문기관 컨슈머인사이트가 2015년부터 수행하는 ‘주례 여행 행태 및 계획 조사’에서 국내·해외 여행비 실제 지출 금액이 어떤지, 향후 1년간 여행에 지출 의향이 어떤지 묻고, 지난 1년과 앞으로 쓸 비용에 어떤 변화가 있을지 비교했다.
컨슈머인사이트의 데이터는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의 빅데이터센터구축사업을 통해, 한국문화정보원 문화빅데이터플랫폼 마켓에서도 공개되고 있다.
지출의향 추이 : 국내·해외 모두 지난 1년 하락세
여행비 지출의향(‘더 쓸 것’ 비율)은 국내·해외여행 모두 코로나 발생 직후인 20년 바닥을 친 후 급상승과 재하락의 롤러코스터를 타고 있다. 국내보다 해외여행의 회복이 더뎌 최고치를 찍은 시점(국내 22년, 해외 23년)에 차이가 있을 뿐 지난 6년간의 추이는 비슷했다.
국내여행의 경우 19년 35%에서 20년 27%까지 떨어졌다가 반등해 22년 47%로 고점을 찍은 후 올해(1~4월)는 다시 36%까지 하락했다. [그림1] 코로나 전인 19년 동월 대비 증감을 나타내는 여행코로나지수(TCI)는 100으로, 지난 수년간 과열됐던 국내 여행심리가 코로나 이전 수준으로 냉각됐음을 보여준다. ‘덜 쓸 것’이라는 응답을 기준으로 하면 TCI는 132에 달해 여행비 긴축 심리가 더욱 뚜렷하다.
해외여행비 지출의향은 19년(39%) 대비 20년(18%) 반토막 미만으로 초토화됐으나 이후 3년 연속 반등했다[그림2]. 지난해 47%로 최고점을 찍어 추가 상승이 예상되기도 했으나 올해 4월까지 42%로 다시 뚝 떨어졌다. 국내여행과 마찬가지로 지난 1년간 월별 하락세가 이어지면서 4월(41%)에는 코로나 전 수준으로 수렴(TCI 103)하고 있다.
여행계획률: 해외여행은 회복도 되기 전에 꺾여
지출의향 하락과 함께 앞으로의 여행 계획도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첨부]. 지난 1년간 국내여행 계획률(향후 3내월 내)은 최고 77%에서 최저 66% 사이에서 하락 추세를 유지했다.
최근 2개월 연속 반등하며 4월 70%까지 회복했음에도 작년 같은 기간(74%)보다 낮았다. TCI는 97로 코로나 전만 못하다. 최근의 반등도 가정의 달과 휴가철을 앞둔 계절적 요인에 따른 효과일 가능성이 높다.
물가 상승 감안하면 국내·외 모두 여행비 감소
24년 4월 기준으로 1일당 평균 여행경비는 국내 여행 7.8만원, 해외여행 25.7만원 정도로 실제 여행 경험자가 지출한 금액도 감소 추세이다. TCI는 각각 108, 115로 같은 기간 국내 소비자 물가지수 15%에 비춰보면, 국내여행비는 오히려 감소했고 해외여행비는 그대로인 셈이다.
즉, 국내여행은 코로나 이후 과열기에서 냉각기로 떨어지기 직전이고 해외여행은 회복도 되기 전에 된서리를 맞은 셈이다. 한때 우려됐던 해외여행 과소비는 기우가 될 가능성이 높다. 국내·해외 모두 여행 경기 전망 지표에 반등을 기대할 여지가 없다는 점은 심각하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