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기업이 제조업에 꼭 필요한 핵심광물 경쟁에서 다른 나라에 크게 밀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미중갈등을 비롯해 지정학적 긴장감이 고조되는 가운데 공급망 리스크가 우리 경제의 최대 위협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한국경제인협회는 28일 이같은 내용의 ‘핵심광물 확보현황’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번 보고서는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취합된 결과다.
한경협에 따르면 2022년 기준 한국 기업이 보유한 핵심광물 광산 수는 36개로 중국(1992개), 미국(1976개)은 물론 일본(134개)보다도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핵심광물 7종(동·아연·납·철광석·니켈·리튬·코발트)만 따로 떼어내 분석해봐도 한국의 귀속 생산량이 유독 낮았다. 귀속 생산량이란 광산의 총생산량에 기업 지분율을 곱한 값을 말한다.
2022년 기준 한국 기업의 귀속 생산량이 전 세계 총합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핵심광물 7종(동 0.2%·아연 0%·연 0%, 철광석 0.4%·니켈 1.0%·리튬 0%·코발트 1.0%) 모두 1% 이하에 그쳤다.
반면 일본 기업은 동(4.1%)과 아연(3.0%), 연(2.8%), 철광석(3.0%), 니켈(1.7%), 코발트(2.0%)에서 귀속 생산량 비중이 1% 이상을 기록했다.
핵심광물 수입에서 특정국이 차지하는 비중이 지나치게 높은 것도 문제점으로 지목됐다.
이차전지에 활용되는 황산니켈은 핀란드로부터의 수입 비중이 68.2%에 달했고, 산화리튬과 수산화리튬은 중국으로부터 87.9%가 수입됐다. 산화코발트와 수산화코발트도 중국 수입 비중이 72.8%였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한국 기업은 주로 장기 공급 계약을 통해 해외 자원개발에 진출하고 있지만 지분 보유를 통한 핵심광물 확보도 선택지가 될 수 있다”며 “민간의 해외 자원개발 투자에 대한 정책 금융 프로그램을 강화하고 자원 수출국 정부와의 네트워크를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 진에어, 6월 보훈할인대상 확대…”국내선 전 노선 대상”
- LG전자, SNS로 미래세대에 ‘낙관의 힘’ 전파
- 한투운용, 주주환원 액티브 ETF 거래량 전년比 3000% 증가
- [특징주] 동일고무벨트 주가 급등…美캐터필러에 2776억 원 공급 계약
- 윤영준 현대건설 대표, ‘바이바이 플라스틱’ 챌린지 동참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