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유석 금융투자협회 회장이 “자본시장 밸류업은 우리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음으로써 저성장, 저출생, 고령화 시대의 돌파구가 될 수 있는 경제 선순환 정책이며, 모두가 윈-윈(Win-Win)할 수 있는 대승적 차원의 문제”라고 강조했다.
금융투자협회는 28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개최한 ‘자본시장 밸류업 국제세미나’에서 서 회장이 이같이 말했다고 밝혔다.
자본시장 밸류업 국제세미나는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와 관련한 국민적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일본의 성공사례와 국내외 최고 전문가들의 제언을 통해 우리 자본시장의 밸류업 방안을 모색하고자 마련됐다. ‘The Key to Prosperity: Korea’s Capital Market(번영을 위한 열쇠: 한국 자본시장)’라는 슬로건 아래 금융투자업계 임직원, 정부, 학계 등 약 200명 이상의 자본시장 이해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첫 번째 기조발표를 맡은 호리모토 요시오 일본금융청 국장은 ‘일본 새로운 자본주의 정책의 주요내용과 성과’에 대해 발표했다. 요시오 국장은 기시다 내각 출범 이후 ‘새로운 자본주의 정책’이라는 큰 틀 아래 밸류업 정책들이 이뤄지고 있다고 이야기하며, 다음 세 가지를 성공요인으로 꼽았다.
▲가계자산을 자본 시장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광범위한 구조적 개혁이 있었다는 점 ▲총리를 비롯한 정부 고위 관계자들의 해외 투자자에 대한 긴밀한 소통 노력이 있었다는 점 ▲세제 인센티브, 금융 교육 등 정책 성과를 체감할 수 있도록 한 점 등이다.
두 번째 기조발표를 맡은 전은조 맥킨지&컴퍼니 시니어파트너는 ‘한국 자본시장의 밸류업 방안’에 대해 발표했다. 전은조 시니어파트너는 “한국 기업들의 저평가는 정량적 분석 결과 실증적으로 확인되고 있으며, 수익성 지표 등 재무적 저성과와 크게 관련되어 있다”고 말했다.
또한 한국 자본시장의 밸류업을 위해 상장기업은 자본효율성 제고를 비롯한 이익 지표와 정성적 지표 개선에 노력하는 한편, 기업의 전략·활동에 대한 소통을 실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일반 투자자는 기업의 밸류업 노력에 대한 감시자로서 장기적 관점의 투자 확대하고, 기관투자자는 책임있는 참여 활동을 지속하고, 투자대상 기업에 대한 장기적 관점의 투자 및 소통을 노력해야 한다고도 했다.
전 시니어 파트너는 “인프라의 경우 공시 지표의 효과성 검증을 통한 밸류업 프로그램의 실효성 개선 및 인센티브를 지속 발굴하고 금융투자회사는 투자은행(IB) 전문화를 통해 기업금융 사업의 근원적 변화를 도모하는 한편, 가계자산을 자본시장으로 유치하려는 노력을 지속해야 한다”며 “정부는 산업·금융정책 연계 등 포괄적 접근이 필요하며, 세제 등 제도적 논쟁사항을 조속히 해결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다음으로 세션2에서는 ‘한국 자본시장 밸류업을 위한 제언’을 주제로 토론을 진행했다. 좌장에는 이준서 증권학회장이, 토론에는 김우진 서울대 교수와 김지산 키움증권 상무, 박민우 금융위원회 자본시장국장 등이 참여했다.
금융투자협회는 이날 세미나에서 논의된 내용과 업계 의견수렴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도 금융투자협회와 금융투자업계가 자본시장 밸류업을 위해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해나갈 예정이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