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중 양자회담을 통해 문화·관광·법률 분야에 이르는 자유무역협정(FTA) 2단계 확대 개방이 논의 되면서 양국 교류 활성화 훈풍이 불고 있다. 항공업계는 2016년 중국의 사드(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보복 사태에 더해 팬데믹 여파로 얼어붙은 한중 노선 여객의 회복 계기가 될 지 기대 중이다. 일각에선 이미 변해버린 중국 내 여행 패턴을 감안하면 예전 같은 한중 노선 수요는 기대하기 어렵다는 시선이 공존한다. 실제로 팬데믹 이후에 대부분의 지역 여객이 코로나 이전 수준으로 복귀했지만 중국 만이 절반을 겨우 넘는 등 고전 중이다.
27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 1분기 중국 여객은 286만9564명으로 팬데믹 이전인 2019년 같은 기간대비 69.3% 회복하는데 그쳤다. 1분기로 따지면 2016년 사드 사태 이후에도 400만명 수준, 적어도 300만명을 유지했던 여객이지만 팬데믹을 기점으로 뚝 떨어진 셈이다.
같은 기간 아시아 지역은 97.8% 회복하고, 미주는 팬데믹 이전보다 14.4% 증가, 유럽은 72.7% 회복한 것과 대조적이다.
항공업계는 팬데믹 종료 후 노선을 대폭 복귀할 때도 중국만큼은 보수적으로 접근했다. 여객 수요가 이전 같지 않을 것이라는 판단 때문이다. 다만 이번 한중 회담을 통해 전향적인 논의가 오간 만큼 관광 회복의 물꼬가 될 수 있다는 시선도 나온다.
한 항공업계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수요보다 공급이 더 우세하지만, 관광이나 비즈니스 등의 수요가 회복 중인 것으로 보고 있다”면서 “중단했던 노선들도 순차적으로 복항 계획 중”이라고 밝혔다.
또 다른 항공업계 관계자는 “한중회담을 계기 삼아 실제로 양국 관계가 좋아지고, 그동안 어려웠던 단체 비자 발급 등이 수월해진다면 여객 증가와 노선 확충은 충분히 기대할 수 있는 부분”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그동안 중국인들의 여행 방식이 바뀐 점을 고려했을 때 장밋빛 전망만 기대하기 어렵다는 시각도 있다. 예전처럼 중국인들이 단체여행을 즐기지 않고 개별 자유 여행을 하는 추세로 바뀐 데다가, 한국 여행의 주 목적이었던 국산 화장품 등의 인기가 식었다는 분석이다.
모 항공업계 관계자는 “한중회담이 문제가 아니라 길어진 시간 만큼 중국인들의 여행 방식이 크게 달라진 점을 고려했을 때 예전 같은 여객 수를 기대할 수는 없을 것”이라면서 “중국 관광객 유치를 위해서는 이전과 다른 방안을 고안해야 한다”고 말했다.
주요 항공사들은 이번 하계시즌에 중국 노선을 1분기보다 늘린다. 이 기간 좌석 점유율 추세가 향후 한중 여객의 방향을 예측할 가늠자가 될 것으로 보인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