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기업들이 혁신 측면에서 양호한 지표를 나타내고 있지만, 생산성은 크게 둔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혁신의 질이 떨어지는 데다 중소기업의 혁신자금 조달 어려움 등이 작용한 영향 때문으로 풀이된다.
한국은행 경제연구원은 26일 ‘경제분석보고서’에서 국내 기업의 혁신활동지표가 글로벌 상위권을 나타내고 있다고 분석했다. 국내 기업의 연구·개발(R&D) 지출규모는 2022년 기준 국내총생산(GDP)의 4.1%를 기록해 세계 2위로 집계됐다. 미국 내 특허 출원 건수 역시 2020년 기준 4위를 나타냈다. 하지만 기업의 생산성 증가율은 2001~2010년 연평균 6.1%에서 2011~2020년 0.5%로 크게 둔화됐다.
한국은행은 혁신 기업의 생산성 성장세가 둔화된 것과 관련 혁신의 질이 떨어진 점이 작용했다고 분석했다. 한은은 “국내 기업이 미국에 출원한 특허 가운데 대기업이 기여한 비중은 95%에 달한다”며 “하지만 대표적인 질적 지표인 ‘특허 피인용 건수’는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차이가 없는 모습”이라고 설명했다. 중소기업의 경우에는 혁신자금 조달이 쉽지 않은 데다 잠재력을 갖춘 신생기업의 진입이 감소한 점 등이 생산성 둔화에 영향을 미쳤다. 한은에 따르면 법인 설립연도가 비교적 최근인 ‘저업력 중소기업’ 중에서 외부자금 부족을 혁신의 장애 요인이라고 답한 비중은 2007년 9.9%에서 2021년 45.4%로 급증했다. 내부자금 부족이라고 답한 비율도 2007년 12.8%에서 2021년 77.6%까지 확대됐다.
저업력 중소기업의 고령화도 영향을 미쳤다. 한은은 “혁신 잠재력을 갖춘 신생기업의 진입이 줄면서 저업력 중소기업이 빠르게 고령화하고 있다”며 “설립 이후 8년 이내에 미국 특허를 출원한 신생기업의 비중은 2010년대 들어 감소세를 지속해 10%보다 떨어졌다”고 설명했다.
한은은 이런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기초연구 강화, 혁신자금 공급 기능 개선, 창업 도전 격려 등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한은은 “기초연구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 산학협력 확대, 혁신 클러스터 활성화 등이 필요하다”며 “또 벤처캐피털에 대한 기업의 접근성을 확대하고, 투자자금의 중간 회수가 원활하도록 인수·합병과 기업공개(IPO) 시장을 활성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특수고용직 ‘직장 괴롭힘’ 사업주 민사상 불법 첫 인정 판결
- 아동·청소년 ‘성착취물’ 소지·판매하고 수익 올렸다면[법조 새내기의 판사체험]
- “우리나라 ‘깜방’ 빌려드려요”…교도소 임차하고 돈 버는 ‘이 나라’ 어디?
- 27년만에 ‘의대증원’에 의협, 30일 전국 6개 지역 촛불집회
- 직원 동의 없이 설립자 맘대로 23억 임금 삭감한 웅지 세무대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