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한전·가스공사 1분기 이자 비용만 1.5조 원…’250조 부채’ 재무위기 여전

이투데이 조회수  

올해 이자 부담 4~5조 원 달할 가능성도
양사 수장, 요금 정상화 필요성 강조

뉴시스서울 시내 주택밀집지역 우편함에 꽃혀있는 도시가스와 전기요금 고지서.

한국전력과 한국가스공사가 1분기 이자 비용으로만 1조5000억 원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요금 정상화가 없다면 올해 이자 부담만 5조 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26일 양사 재무제표에 따르면 한전은 1분기 1조1500억 원을, 가스공사는 4100억 원의 이자 비용을 부담했다.

이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국제 에너지 위기로 2022년 이후 원가에 못 미치는 가격에 전기와 가스를 공급한 결과다.

지난해 말 기준 한전과 가스공사의 연결 기준 총부채는 각각 202조5000억 원, 47조4000억 원으로 이를 합산한 부채 규모는 사상 최고치인 250조 원에 달한다.

올해 3월 말 기준 한전과 가스공사의 총부채는 각각 200조9000억 원, 46조9000억 원으로 소폭 줄었지만, 재무 위기 상황은 여전하다.

두 회사가 올해 1분기에 부담한 이자는 하루 평균 167억 원에 달한다. 이런 추세라면 한전과 가스공사는 올해 한 해 4조∼5조 원을 이자로 지불할 수도 있다.

한전과 가스공사는 지난해 각각 4조4500억 원과 1조6800억 원 등 총 6조1300억 원을 이자 비용으로 지출했다.

한전과 가스공사는 지난해부터 비핵심 부동산 매각, 투자 시기 이연, 임직원 급여 반납, 명예퇴직 등 다양한 자구 노력에 나섰지만, 유의미한 수준으로 부채가 줄지는 않고 있다.

한전은 지난 2022년 이후 6차례의 전기요금 인상 덕에 ‘역마진’ 구조에서는 벗어나 작년 3분기 이후 3개 분기 연속 영업이익을 기록했지만 2021∼2023년 원가 밑 가격으로 전기를 팔아 쌓인 43조 원 대의 누적 적자는 그대로다.

가스공사 역시 2022년 이후 약 40%의 민수용 도시가스 요금 인상에도 여전히 원가의 약 80%만 받고 가스를 공급하고 있는 상황이다.

가스공사에 따르면 2022년 이후 국제 액화천연가스(LNG) 가격은 약 200% 상승했지만, 국내 가스요금은 약 43% 인상되는 데 그쳤다.

현재 가스공사의 민수용 도시가스 미수금은 13조5000억 원이다. 미수금은 원가에 못 미치는 가격으로 가스를 공급한 뒤 원가와 공급가의 차액을 향후 받을 ‘외상값’으로 분류한 것으로 사실상 영업손실이다.

한전과 가스공사 입장에서는 영업으로 벌어들인 돈을 고스란히 이자 비용으로 내고 있는 셈이다.

양사 수장은 요금 정상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김동철 한전 사장은 최근 기자간담회에서 “한전의 노력만으로는 대규모 누적적자를 더 이상 감당할 수 없는 한계에 봉착했다”라며 “최후의 수단으로 최소한의 전기요금 정상화는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연혜 가스공사 사장 역시 기자들과 만나 “현재 미수금 규모는 전 직원이 30년간 무보수로 일해도 회수가 불가능해 마치 벼랑 끝에 선 심정”이라며 “극단적 상황을 막기 위해 모든 수단을 가동하고 있으나 자구 노력만으로는 해결이 불가능해 안정적 가스 공급을 위해서는 조속한 요금 인상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투데이
content@newsbell.co.kr

댓글0

300

댓글0

[경제] 랭킹 뉴스

  • 줄도산 공포에 “특단의 조치 꺼내 들었다”…정부의 결심에 ‘술렁’
  • 10년 만에 3배 훌쩍 “라면도 김밥도 아니다”…외국 엄마들 ‘홀딱’ 반한 이것, 뭐길래?
  • “하늘이 살해 교사 계획범죄 가능성”…맘카페 반응, 심상치않다
  • “미리 알고 주식 매도 했다”… 신풍제약 2세는 알고 있었던 소식
  • “월급 다 세금으로 나가네” ‘국민연금 개혁’ 어떻게 됐길래
  • “이제 기차 요금까지 오르려나”…코레일 21조 빚더미 앉았다

[경제] 공감 뉴스

  • 25억 올라… 전지현이 130억 주고 매매한 아파트 어디길래
  • “연금 가입하면 건보료 폭탄 사실인가요?”에 대한 공단의 답변
  • 서울 한복판 4000억 규모, “벌써부터 들썩인다”…’이 동네’ 어디길래?
  • “사상 첫 1만 명 돌파”… 의대 쏠림 현상에도 지원자 늘었다
  • 무려 98만 명 초토화 “코로나 때가 더 낫다?”…무너지는 자영업자들
  • “우려하던 일 벌어지고 있다”… 무너지는 사장님들 ‘발 동동’

당신을 위한 인기글

  • “하이브리드 무서워서 못 사겠네!” 스포티지 HEV, 주차 중 자체 발화
  • “그랜저 괜히 샀네” 신형 혼다 어코드, 더 날렵해진 디자인 공개
  • “람보르기니보다 빠른 아우디?” 640마력 RS Q8 퍼포먼스로 판매 부진 이겨낼까?
  • “사자마자 구형된 내 차” 싸서 샀더니 뒤통수 맞는 중국차 근황
  • “전기 VS 디젤 픽업” 무쏘 EV와 타스만, 국내 픽업 트럭 강자가 될 자는 누구인가?
  • “3천만 원으로 스포티지 잡는다” 토레스 하이브리드, 예비 오너들 사로잡는 사양 공개
  • “한남동 건물 60억 세금 추징” 이하늬의 1억 원대 벤츠 AMG, 탈세 의혹에 눈길
  • “이건 진짜 선 넘었지” 4기통에 1억 5천 받는 벤츠 오픈카

함께 보면 좋은 뉴스

  • 1
    KGM, ‘무쏘 EV’ 사전 계약 개시… 4800만원부터

    차·테크 

  • 2
    시청률 19% 뚫었다…SBS·MBC 신작 다 꺾고 '압도적 1위' 차지한 한국 드라마

    연예 

  • 3
    기아·BMWi·르노·테슬라 등 7만 6382대 제작 결함 리콜

    뉴스 

  • 4
    ‘K뷰티 체험 서비스 인기 고공행진’...올리브영·백화점 업계, 2030세대 유입↑

    뉴스 

  • 5
    꼬마김밥 만들기, 집 김밥 만드는법

    여행맛집 

[경제] 인기 뉴스

  • 줄도산 공포에 “특단의 조치 꺼내 들었다”…정부의 결심에 ‘술렁’
  • 10년 만에 3배 훌쩍 “라면도 김밥도 아니다”…외국 엄마들 ‘홀딱’ 반한 이것, 뭐길래?
  • “하늘이 살해 교사 계획범죄 가능성”…맘카페 반응, 심상치않다
  • “미리 알고 주식 매도 했다”… 신풍제약 2세는 알고 있었던 소식
  • “월급 다 세금으로 나가네” ‘국민연금 개혁’ 어떻게 됐길래
  • “이제 기차 요금까지 오르려나”…코레일 21조 빚더미 앉았다

지금 뜨는 뉴스

  • 1
    아날로그디바이스(ADI) 가이던스 예상치 대폭 상회, 유통 재고 정상화

    뉴스 

  • 2
    콴타서비스(PWR), 4분기 실적 예상치 부합에도 주가는 하락

    뉴스 

  • 3
    안은진, 부기 확 빼더니…과감 드레스 자태 "벌써 봄이 왔나"

    연예 

  • 4
    헌재·법원 ‘슈퍼 위크’… 25일 尹 탄핵 최종 변론·26일 李 선거법 2심 결심 공판

    뉴스 

  • 5
    "따릉이부터 한강버스까지" 기후동행카드로 무제한 탑승…'GO SEOUL'

    뉴스 

[경제] 추천 뉴스

  • 25억 올라… 전지현이 130억 주고 매매한 아파트 어디길래
  • “연금 가입하면 건보료 폭탄 사실인가요?”에 대한 공단의 답변
  • 서울 한복판 4000억 규모, “벌써부터 들썩인다”…’이 동네’ 어디길래?
  • “사상 첫 1만 명 돌파”… 의대 쏠림 현상에도 지원자 늘었다
  • 무려 98만 명 초토화 “코로나 때가 더 낫다?”…무너지는 자영업자들
  • “우려하던 일 벌어지고 있다”… 무너지는 사장님들 ‘발 동동’

당신을 위한 인기글

  • “하이브리드 무서워서 못 사겠네!” 스포티지 HEV, 주차 중 자체 발화
  • “그랜저 괜히 샀네” 신형 혼다 어코드, 더 날렵해진 디자인 공개
  • “람보르기니보다 빠른 아우디?” 640마력 RS Q8 퍼포먼스로 판매 부진 이겨낼까?
  • “사자마자 구형된 내 차” 싸서 샀더니 뒤통수 맞는 중국차 근황
  • “전기 VS 디젤 픽업” 무쏘 EV와 타스만, 국내 픽업 트럭 강자가 될 자는 누구인가?
  • “3천만 원으로 스포티지 잡는다” 토레스 하이브리드, 예비 오너들 사로잡는 사양 공개
  • “한남동 건물 60억 세금 추징” 이하늬의 1억 원대 벤츠 AMG, 탈세 의혹에 눈길
  • “이건 진짜 선 넘었지” 4기통에 1억 5천 받는 벤츠 오픈카

추천 뉴스

  • 1
    KGM, ‘무쏘 EV’ 사전 계약 개시… 4800만원부터

    차·테크 

  • 2
    시청률 19% 뚫었다…SBS·MBC 신작 다 꺾고 '압도적 1위' 차지한 한국 드라마

    연예 

  • 3
    기아·BMWi·르노·테슬라 등 7만 6382대 제작 결함 리콜

    뉴스 

  • 4
    ‘K뷰티 체험 서비스 인기 고공행진’...올리브영·백화점 업계, 2030세대 유입↑

    뉴스 

  • 5
    꼬마김밥 만들기, 집 김밥 만드는법

    여행맛집 

지금 뜨는 뉴스

  • 1
    아날로그디바이스(ADI) 가이던스 예상치 대폭 상회, 유통 재고 정상화

    뉴스 

  • 2
    콴타서비스(PWR), 4분기 실적 예상치 부합에도 주가는 하락

    뉴스 

  • 3
    안은진, 부기 확 빼더니…과감 드레스 자태 "벌써 봄이 왔나"

    연예 

  • 4
    헌재·법원 ‘슈퍼 위크’… 25일 尹 탄핵 최종 변론·26일 李 선거법 2심 결심 공판

    뉴스 

  • 5
    "따릉이부터 한강버스까지" 기후동행카드로 무제한 탑승…'GO SEOUL'

    뉴스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