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LB의 간암신약 리보세라닙+캄렐리주맙’병용요법의 글로벌 3상 환자 전체생존기간 중앙값(mOS)이 최종적으로 23.8개월로 집계됐다.
24일(한국시간) 공개된 미국임상종양학회(ASCO) 초록에 따르면 리보세라닙 병용요법의 추가 분석 데이터를 반영해 확정한 최종 mOS는 23.8개월로 기존 22.1개월에 이어 간암치료제 사상 가장 긴 환자 생존기간 기록을 다시 세웠다. 대조군인 소라페닙은 기존과 동일한 15.2개월로 집계돼 8.6개월의 격차를 보였다.
전날 HLB바이오포럼에서 임호영 삼성서울병원 혈액종양내과 교수는 현재 간암 1차 표준치료제로 꼽히는 티쎈트릭+아바스틴의 경우 아바스틴에 의해 비교적 높은 빈도로 출혈 문제가 생기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임 교수는 “간암 환자들은 출혈성 경향이 있는데, 현재 아바스틴은 간암치료제로 대장암의 2배 용량을 쓰고 있어, 출혈 위험성이 더 높다”라면서 “리보세라닙 병용요법은 약효는 물론 경구용 제제로 인한 복용 편의성, 출혈에 대한 안전성 등 기존 약보다 여러 면에서 뛰어나기 때문에 선택받을 확률이 가장 높다”라고 강조했다.
HLB의 미국 자회사 엘레바와 파트너사 항서제약은 최근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보완요구서한(CRL)을 받았다. 리보세라닙에 대해서는 어떠한 지적도 없었고, 캄렐리주맙의 경우 공장 설비(Facility)에 대해 일부 미비한 점이 있어 보완이 필요하다는 내용이다. 미국 연방 규정집(Code of Federal Regulations)에 따르면, 이 범주에는 조명, 공조시설, 배관, 위생시설 등이 들어가 회사는 보완사항이 사소할(Minor)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자세한 사항은 FDA로부터 상세 내용을 통보받거나 미팅을 통해 알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FDA가 여행 제한으로 임상 주요 사이트를 확인하는 실사(Bioresearch Monitoring inspection)를 완료하지 못했단 내용도 담겨 있다. HLB의 글로벌 임상에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환자의 비중은 10% 수준이다.
회사 관계자는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실사를 완료하지 않고 허가를 내준 사례도 있다. 옥타파마(Octapharma)의 비타민K 결핍성 응고인자 감소장애 치료제 발팍사(Balfaxar)는 총 24개 사이트 중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에 15개 사이트가 집중됐지만, 올해 초 FDA의 허가를 받았다”라고 설명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