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1천달러 넘어선 엔비디아… SK하이닉스 20만원도 넘었다

아주경제 조회수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미국 인공지능(AI) 반도체 대장주 엔비디아 주가가 1000달러를 돌파했다. 압도적인 1분기 실적에 액면분할 계획까지 겹치며 시장이 호응한 결과다. 엔비디아를 고객사로 둔 SK하이닉스 주가 역시 사상 처음 20만원선으로 올라섰다. 삼성전자를 비롯한 상위주가 대체로 부진한 국내 증시에서 외국인·기관투자자 매수세를 끌어안으며 홀로 승승장구하고 있다.

23일 증권가는 엔비디아 호실적이 국내 반도체 업종에 호재가 될 것이란 관측을 내놨다. KB증권 리서치센터는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 공개로 시장에 기준금리 인하 기대가 약해졌고 국내도 이를 반영하겠으나 엔비디아 모멘텀이 증시를 지지할 것”이라고 했다. 키움증권도 “반도체주 추가 상승 가능성이 더 크다”며 “엔비디아 시간 외 주가 강세로 코스피도 전 고점 돌파를 시도할 것”이라고 했다.

반도체를 중심으로 한 코스피 상승 흐름이라지만 과거와 다르다. 삼성전자가 아닌 SK하이닉스가 주도하고 있다. 강대석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엔비디아의 ‘어닝 서프라이즈’가 국내 증시에서 SK하이닉스에 대한 주목도 상승으로 직결될 것이라고 봤다. SK하이닉스가 AI 반도체 성능을 뒷받침하는 고대역폭메모리(HBM)의 엔비디아 납품 성과를 먼저 거뒀고 삼성전자는 이 분야 사업에서 SK하이닉스를 추격하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외국인과 기관투자자 역시 삼성전자가 아닌 SK하이닉스를 사들이고 있다. 삼성전자가 수십 년간 유지했던 ‘한국 반도체 대장주’라는 수식어를 SK하이닉스에 넘겨줬다는 얘기까지 나온다. 

외국인과 기관은 지난 5월 2일부터 22일까지 삼성전자보다 SK하이닉스 주식에 6배 더 투자했다. SK하이닉스를 9590억원어치 순매수할 동안 삼성전자 순매수 금액은 1598억원에 그쳤다. 특히 외국인은 SK하이닉스를 8929억원어치, 삼성전자를 280억원어치 순매수해 두 기업에 뚜렷한 시각차를 보였다. 1~4월 SK하이닉스 1조1493억원어치를 순매수할 동안 6.6배 많은 돈(7조6143억원)을 삼성전자에 쏟아부은 모습과 대비된다.

삼성전자 상장주식 보통주에 대한 외국인 지분율은 이달 초 55.88%에서 22일 55.90%로 0.02%포인트 증가했다. 우선주(삼성전자우)에 대한 외국인 지분율도 75.76%에서 75.82%로 증가분이 0.06%포인트에 불과했다. SK하이닉스 외국인 지분율은 같은 기간 54.28%에서 54.92%로 0.64%포인트 늘어났다.

1~4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순매도해 온 기관투자자는 이달 들어 두 종목을 순매수하는 것으로 선회했다. 5월 중 순매수 금액을 보면 삼성전자 1318억원, SK하이닉스 661억원이었다. 삼성전자 시가총액이 여전히 SK하이닉스 대비 3배 이상인 점을 감안하면 SK하이닉스 순매수 금액이 삼성전자 대비 절반을 넘는다는 점에서도 보수적인 기관들의 투자 기류 변화가 감지된다.

글로벌 반도체 업계에서 독보적 우위를 인정받아 온 삼성전자도 최근 ‘위기 대응’에 나섰다. 삼성전자는 지난 21일 전영현 반도체 미래사업기획단장(부회장)을 새 디바이스솔루션(DS)부문장에 앉혔다. 전 부회장은 LG반도체 출신으로 2000년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에 입사해 2014년부터 메모리사업부장을 맡고 2016년 업계 최초 10나노미터(㎚)급 D램 양산을 시작하는 등 반도체 초격차 기술의 주역으로 꼽힌다.
 

그래픽아주경제
[그래픽=아주경제]

아주경제
content@newsbell.co.kr

댓글0

300

댓글0

[경제] 랭킹 뉴스

  • 서민 위해 할인했더니 “이럴 줄은 몰랐다”…편법이 판치자 ‘발칵’
  • 외할아버지 가르침? “27년 간 이어졌다”…회장님 ‘깜짝’ 등장, 대체 무슨 일?
  • 줄도산 공포에 “특단의 조치 꺼내 들었다”…정부의 결심에 ‘술렁’
  • 10년 만에 3배 훌쩍 “라면도 김밥도 아니다”…외국 엄마들 ‘홀딱’ 반한 이것, 뭐길래?
  • “하늘이 살해 교사 계획범죄 가능성”…맘카페 반응, 심상치않다
  • “미리 알고 주식 매도 했다”… 신풍제약 2세는 알고 있었던 소식

[경제] 공감 뉴스

  • “월급 다 세금으로 나가네” ‘국민연금 개혁’ 어떻게 됐길래
  • “이제 기차 요금까지 오르려나”…코레일 21조 빚더미 앉았다
  • 25억 올라… 전지현이 130억 주고 매매한 아파트 어디길래
  • “연금 가입하면 건보료 폭탄 사실인가요?”에 대한 공단의 답변
  • 서울 한복판 4000억 규모, “벌써부터 들썩인다”…’이 동네’ 어디길래?
  • “사상 첫 1만 명 돌파”… 의대 쏠림 현상에도 지원자 늘었다

당신을 위한 인기글

  • “비싸도 어차피 사줄거잖아” 대안 없는 팰리세이드, 하이브리드 양산 임박
  • “하이브리드 무서워서 못 사겠네!” 스포티지 HEV, 주차 중 자체 발화
  • “그랜저 괜히 샀네” 신형 혼다 어코드, 더 날렵해진 디자인 공개
  • “람보르기니보다 빠른 아우디?” 640마력 RS Q8 퍼포먼스로 판매 부진 이겨낼까?
  • “사자마자 구형된 내 차” 싸서 샀더니 뒤통수 맞는 중국차 근황
  • “전기 VS 디젤 픽업” 무쏘 EV와 타스만, 국내 픽업 트럭 강자가 될 자는 누구인가?
  • “3천만 원으로 스포티지 잡는다” 토레스 하이브리드, 예비 오너들 사로잡는 사양 공개
  • “한남동 건물 60억 세금 추징” 이하늬의 1억 원대 벤츠 AMG, 탈세 의혹에 눈길

함께 보면 좋은 뉴스

  • 1
    창녕군, “지역경제 활성화∙민생안정 위해 1분기 1403억원 신속집행 목표”

    뉴스 

  • 2
    밀양시, 문화관광체육부 주관 ‘2024 올해의 문화도시’ 선정

    뉴스 

  • 3
    진주시, 대용량 충전소 ‘호탄동 상용차용 수소충전소’ 준공

    뉴스 

  • 4
    [아산시 소식]2025년 신학기 대비 아동돌봄시설 특별점검 등

    뉴스 

  • 5
    나인우 “작품을 할 때 상대 배우를 믿고 가는 편”

    뉴스 

[경제] 인기 뉴스

  • 서민 위해 할인했더니 “이럴 줄은 몰랐다”…편법이 판치자 ‘발칵’
  • 외할아버지 가르침? “27년 간 이어졌다”…회장님 ‘깜짝’ 등장, 대체 무슨 일?
  • 줄도산 공포에 “특단의 조치 꺼내 들었다”…정부의 결심에 ‘술렁’
  • 10년 만에 3배 훌쩍 “라면도 김밥도 아니다”…외국 엄마들 ‘홀딱’ 반한 이것, 뭐길래?
  • “하늘이 살해 교사 계획범죄 가능성”…맘카페 반응, 심상치않다
  • “미리 알고 주식 매도 했다”… 신풍제약 2세는 알고 있었던 소식

지금 뜨는 뉴스

  • 1
    이재성, 분데스리가 '이주의 팀' 선정

    연예 

  • 2
    “토요타·벤츠도 못 막았다”.. 경쟁 브랜드 고객 74%를 빼앗은 국산차, 대체 뭐길래?

    차·테크 

  • 3
    대형 TV 수요에 패널 가격 계속 오른다… “트럼프 관세 영향 미미”

    차·테크 

  • 4
    윤석열 '최후 진술' 내일...계엄 정당성 호소전 펼치나

    뉴스 

  • 5
    이번 시즌을 끝으로 은퇴하는 네임드 피겨선수들

    뿜 

[경제] 추천 뉴스

  • “월급 다 세금으로 나가네” ‘국민연금 개혁’ 어떻게 됐길래
  • “이제 기차 요금까지 오르려나”…코레일 21조 빚더미 앉았다
  • 25억 올라… 전지현이 130억 주고 매매한 아파트 어디길래
  • “연금 가입하면 건보료 폭탄 사실인가요?”에 대한 공단의 답변
  • 서울 한복판 4000억 규모, “벌써부터 들썩인다”…’이 동네’ 어디길래?
  • “사상 첫 1만 명 돌파”… 의대 쏠림 현상에도 지원자 늘었다

당신을 위한 인기글

  • “비싸도 어차피 사줄거잖아” 대안 없는 팰리세이드, 하이브리드 양산 임박
  • “하이브리드 무서워서 못 사겠네!” 스포티지 HEV, 주차 중 자체 발화
  • “그랜저 괜히 샀네” 신형 혼다 어코드, 더 날렵해진 디자인 공개
  • “람보르기니보다 빠른 아우디?” 640마력 RS Q8 퍼포먼스로 판매 부진 이겨낼까?
  • “사자마자 구형된 내 차” 싸서 샀더니 뒤통수 맞는 중국차 근황
  • “전기 VS 디젤 픽업” 무쏘 EV와 타스만, 국내 픽업 트럭 강자가 될 자는 누구인가?
  • “3천만 원으로 스포티지 잡는다” 토레스 하이브리드, 예비 오너들 사로잡는 사양 공개
  • “한남동 건물 60억 세금 추징” 이하늬의 1억 원대 벤츠 AMG, 탈세 의혹에 눈길

추천 뉴스

  • 1
    창녕군, “지역경제 활성화∙민생안정 위해 1분기 1403억원 신속집행 목표”

    뉴스 

  • 2
    밀양시, 문화관광체육부 주관 ‘2024 올해의 문화도시’ 선정

    뉴스 

  • 3
    진주시, 대용량 충전소 ‘호탄동 상용차용 수소충전소’ 준공

    뉴스 

  • 4
    [아산시 소식]2025년 신학기 대비 아동돌봄시설 특별점검 등

    뉴스 

  • 5
    나인우 “작품을 할 때 상대 배우를 믿고 가는 편”

    뉴스 

지금 뜨는 뉴스

  • 1
    이재성, 분데스리가 '이주의 팀' 선정

    연예 

  • 2
    “토요타·벤츠도 못 막았다”.. 경쟁 브랜드 고객 74%를 빼앗은 국산차, 대체 뭐길래?

    차·테크 

  • 3
    대형 TV 수요에 패널 가격 계속 오른다… “트럼프 관세 영향 미미”

    차·테크 

  • 4
    윤석열 '최후 진술' 내일...계엄 정당성 호소전 펼치나

    뉴스 

  • 5
    이번 시즌을 끝으로 은퇴하는 네임드 피겨선수들

    뿜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