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대출성 자산 급증하는 카드사…’연체율 늪’ 빠질까

아주경제 조회수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카드사 연체율이 치솟고 있는 가운데 카드론과 현금서비스‧리볼빙 등 부실채권으로 돌변할 수 있는 카드사의 대출성 자산이 급증하고 있다. 카드사가 대출성 자산을 줄이는 등 건전성 관리에 들어갈 전망이지만 향후 카드론 심사 등이 깐깐해지면서 신용 취약계층이 사채시장으로 내몰릴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23일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9개 카드사(롯데·BC·삼성·신한·우리·하나·현대·KB국민·NH농협카드)의 지난달 말 기준 카드론 잔액은 39조9644억원으로 역대 최대였던 3월(39조4821억원) 대비 4823억원 증가했다.
 
지난달 말 현금서비스 잔액 또한 6조5605억원으로 전달 말보다 1000억원가량 늘었고, 결제성 리볼빙 이월잔액도 7조3345억원으로 3월(7조3236억원)보다 늘었다. 지난달 말 카드론 대환대출 잔액(1조8353억원)은 한 달 새 547억원 늘었다. 카드론 대환대출은 카드론을 만기 내에 갚지 못한 차주들이 심사를 다시 받아 대출을 받는 것이다.
 
이런 대출성 자산은 카드사에 이익을 가져다 주지만 고금리가 이어지는 상황에서 차주들이 돈을 갚지 못한다면 부실채권으로 변할 가능성이 높다. 서지용 상명대 교수(한국신용카드학회장)는 “고금리에 차주들이 상환을 하지 못하며 카드사 연체율이 높아지고 있다”며 “카드론 공급을 조절해야 할 필요성이 있고, 본업인 신용판매에 집중하며 건전성을 개선해야 할 시기”라고 말했다.

지난해 말 카드사 평균 연체율은 1.69%로 2014년 이후 연간 최고치를 기록했는데 올 1분기엔 삼성카드를 제외한 모든 카드사에서 연체율이 더 상승했다. 올 1분기 하나카드(2.3%), 우리카드(2.28%), KB국민카드(2.14%) 등은 연체율이 2%를 넘었으며 롯데카드(1.94%)와 신한카드(1.82%)도 연체율 2% 돌파를 목전에 두고 있다.

하나카드 관계자는 “연체율이 높은 고이율 자산과 대환대출 중심으로 부실 자산 매각을 통해 건전성을 개선할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업계에서는 연체율 관리를 위해 카드사들이 조만간 대출성 자산을 줄일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연체율 관리를 위해 카드론 심사를 까다롭게 하는 등 조치를 취할 가능성이 크다”며 “조달 금리 상승 등으로 대출성 상품 수익성이 낮아진 점도 대출성 자산을 줄이는 유인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카드사들은 지난해에도 대출성 자산을 줄이려 했으나 실패한 바 있다. 저축은행 등에서 중저신용자 대상 대출을 줄이며 해당 수요가 카드론에 몰렸기 때문이다. 또 다른 카드업계 관계자는 “금융당국은 제2금융권에 중저신용자에 대한 포용금융을 요청하고 있다”며 “카드사마저 대출성 상품을 줄인다면 취약 차주들이 사채시장으로 흘러갈 수 있어 이를 급격하게 줄이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아주경제
content@newsbell.co.kr

댓글0

300

댓글0

[경제] 랭킹 뉴스

  • 올림픽 맛있게 응원하자…집관족 취향저격 ‘올림픽 에디션’
  • 서울 아파트 낙찰가율 93.7%...1년 11개월 만에 최고점 찍었다
  • 질병청 '성인 패혈증 초기치료지침' 첫 발간
  • 불량 자재 탓에 에어컨 없이 폭염 견디는 송도 '송일국 아파트'
  • 불량 자재 탓에 에어컨 없이 폭염 견디는 송도 '송일국 아파트'
  • 8월 극장가 '재개봉 러시'…인생영화 다시 스크린으로

[경제] 공감 뉴스

  • 케이뱅크, MY체크카드 90만장 넘었다..."인뱅 유일 K 패스 기능 탑재"
  • 삼정KPMG “디지털 헬스케어 활성화에 슬립테크 부상”
  • ‘나는 솔로’ 21기 최종 선택 대반전…순자, 영철 직진에도 선택 포기
  • "‘용인 스마일 보이’ 우상혁이 웃었다"...이상일 용인특례시장, 높이뛰기 우상혁 선수 '응원'하고 '격려'
  • 삼성자산운용, 공식 유튜브 채널 정보 시리즈 인기몰이
  • NH농협은행, 농촌 학생들과 '초록사다리 여름캠프' 개최

당신을 위한 인기글

  • “120만 원으로 누리는 개방감” 액티언, 상품성 논란 이겨낼 초강수 옵션 도입
  • “신차 살 돈 없는 아빠들” 끝없이 비싸지는 신차 가격에 중고차로 눈돌려
  • “제네시스는 따라올 수 없는 품위” 렉서스 플래그십 하이브리드 SUV 출시임박!
  • “일론 머스크가 비호감이라…” 테슬라, CEO때문에 망하게 생겼다?
  • “하다하다 이것까지 난리” 문제 많은 공유 킥보드, 어떻게 생각하세요?
  • “배달기사들 진짜 막 사는구나” 마약하고 바지 벗은 채 초인종 눌렀다 구속
  • “전기차는 테슬라가 무조건 맞지” 신형 테슬라 모델 Y 주행거리 500km 인증
  • “머리가 얼마나 나쁘길래” 사고 후 조수석으로 도망친 운전자의 최후

함께 보면 좋은 뉴스

  • 1
    6만 전자? ‘본전만 되면 탈출’ …삼성전자 개미투자자들의 깊어지는 ‘한숨’

    뉴스 

  • 2
    “60세부터 받아 가세요” 은퇴 걱정 끝? .. 새로운 노후 지원 소식에 ‘술렁’

    뉴스 

  • 3
    삼성중공업 4분기 실적 예상치 상회, 보수적 가이던스에도 기회는 여전

    뉴스 

  • 4
    전공의 떠난 병원, 지난해 연구자 임상 40%나 급감

    차·테크 

  • 5
    신라왕경 핵심유적 발굴조사 10년 성과

    뉴스 

[경제] 인기 뉴스

  • 올림픽 맛있게 응원하자…집관족 취향저격 ‘올림픽 에디션’
  • 서울 아파트 낙찰가율 93.7%...1년 11개월 만에 최고점 찍었다
  • 질병청 '성인 패혈증 초기치료지침' 첫 발간
  • 불량 자재 탓에 에어컨 없이 폭염 견디는 송도 '송일국 아파트'
  • 불량 자재 탓에 에어컨 없이 폭염 견디는 송도 '송일국 아파트'
  • 8월 극장가 '재개봉 러시'…인생영화 다시 스크린으로

지금 뜨는 뉴스

  • 1
    '딥시크 돌풍' 배경엔 中정부 지원…2030년 세계 선두 목표

    뉴스 

  • 2
    트럼프 압박 또 통했나…美정부 선박 파나마운하 통행료 면제

    뉴스 

  • 3
    [아시안게임] 컬링 믹스더블 김경애-성지훈, 홈팀 중국에 패배...2승 2패

    스포츠 

  • 4
    식목일 맞이! 자연을 만끽할 수 있는 국내 여행지 BEST 5

    여행맛집 

  • 5
    시라카와고, 세계문화유산으로 인정받은 독특한 매력은?

    여행맛집 

[경제] 추천 뉴스

  • 케이뱅크, MY체크카드 90만장 넘었다..."인뱅 유일 K 패스 기능 탑재"
  • 삼정KPMG “디지털 헬스케어 활성화에 슬립테크 부상”
  • ‘나는 솔로’ 21기 최종 선택 대반전…순자, 영철 직진에도 선택 포기
  • "‘용인 스마일 보이’ 우상혁이 웃었다"...이상일 용인특례시장, 높이뛰기 우상혁 선수 '응원'하고 '격려'
  • 삼성자산운용, 공식 유튜브 채널 정보 시리즈 인기몰이
  • NH농협은행, 농촌 학생들과 '초록사다리 여름캠프' 개최

당신을 위한 인기글

  • “120만 원으로 누리는 개방감” 액티언, 상품성 논란 이겨낼 초강수 옵션 도입
  • “신차 살 돈 없는 아빠들” 끝없이 비싸지는 신차 가격에 중고차로 눈돌려
  • “제네시스는 따라올 수 없는 품위” 렉서스 플래그십 하이브리드 SUV 출시임박!
  • “일론 머스크가 비호감이라…” 테슬라, CEO때문에 망하게 생겼다?
  • “하다하다 이것까지 난리” 문제 많은 공유 킥보드, 어떻게 생각하세요?
  • “배달기사들 진짜 막 사는구나” 마약하고 바지 벗은 채 초인종 눌렀다 구속
  • “전기차는 테슬라가 무조건 맞지” 신형 테슬라 모델 Y 주행거리 500km 인증
  • “머리가 얼마나 나쁘길래” 사고 후 조수석으로 도망친 운전자의 최후

추천 뉴스

  • 1
    6만 전자? ‘본전만 되면 탈출’ …삼성전자 개미투자자들의 깊어지는 ‘한숨’

    뉴스 

  • 2
    “60세부터 받아 가세요” 은퇴 걱정 끝? .. 새로운 노후 지원 소식에 ‘술렁’

    뉴스 

  • 3
    삼성중공업 4분기 실적 예상치 상회, 보수적 가이던스에도 기회는 여전

    뉴스 

  • 4
    전공의 떠난 병원, 지난해 연구자 임상 40%나 급감

    차·테크 

  • 5
    신라왕경 핵심유적 발굴조사 10년 성과

    뉴스 

지금 뜨는 뉴스

  • 1
    '딥시크 돌풍' 배경엔 中정부 지원…2030년 세계 선두 목표

    뉴스 

  • 2
    트럼프 압박 또 통했나…美정부 선박 파나마운하 통행료 면제

    뉴스 

  • 3
    [아시안게임] 컬링 믹스더블 김경애-성지훈, 홈팀 중국에 패배...2승 2패

    스포츠 

  • 4
    식목일 맞이! 자연을 만끽할 수 있는 국내 여행지 BEST 5

    여행맛집 

  • 5
    시라카와고, 세계문화유산으로 인정받은 독특한 매력은?

    여행맛집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