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야 ‘탄핵’ 언급에 여 ‘탄핵’ 맞불…특검법 재의결 표단속 노렸나

아주경제 조회수  

국민의힘 추경호 원내대표가 23일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비대위 회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추경호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23일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 회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여야가 윤석열 대통령이 재의요구권(거부권)을 행사한 ‘채상병 특검법’을 둘러싸고 ‘대통령 탄핵’을 공공연히 언급하고 있다. 오는 28일 국회 본회의 재의결을 앞두고 일종의 기세 싸움을 벌이는 것으로 풀이되지만, 실제 탄핵 정국으로 이어질 가능성을 여야 모두 염두에 두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추경호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23일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 회의에서 “이재명 민주당 대표와 야당은 정녕 채상병 사건을 빌미로 탄핵의 길을 가겠다는 것인가”라며 “국정 혼란을 부추기고 정권을 흔들기 위한 탄핵 주장을 멈추길 바란다”고 민주당에 촉구했다.
 
전주혜 비상대책위원도 “채상병 특검법은 진상규명에 목적이 있다기보다 ‘기승전 탄핵'”이라며 “윤 대통령을 끌어내리기 위한 탄핵 목적이 자명하기 때문에 특검법은 결코 허용돼서는 안 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국민의힘의 탄핵 언급은 전날 정청래 민주당 최고위원의 발언에 대한 반박 차원에서 나왔다. 정 최고위원은 “이제 암묵적 정치적 예의는 깨지고 ‘대통령 탄핵’은 국민적 유행어가 될 것 같다”면서 “탄핵열차가 시동을 걸고 있다”고 주장했다.


 
특히 그는 “특검 당사자(윤 대통령)가 거부권을 행사하는 것은 헌법체계와 정신을 전면 부정하는 반헌법적 행위이자 권력 사유화”라며 이른바 ‘민간인 국정농단 사건’으로 탄핵된 박근혜 전 대통령 사례를 언급했다.
 
정치권에서는 야당뿐만 아니라 여당이 ‘대통령 탄핵’을 공공연히 언급한 배경에는 28일 채상병 특검법 재의결 표단속이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재의결 기준은 재적 의원 과반 출석에 3분의 2 이상 찬성이다.
 
투표 가능한 현역 의원 295명 모두가 출석할 경우 재의결에는 197명 이상의 찬성표가 필요하다. 범야권(180명)이 모두 찬성해도 국민의힘 113명 중 17명 이상의 찬성표가 나와야 한다. 국민의힘은 당론으로 반대 입장을 정했다.

현재 국민의힘에서는 김웅·안철수·유의동 의원 정도가 찬성의 뜻을 밝히고 있다. 여기에 여당의 22대 총선 낙천·낙선·불출마 의원 58명의 선택에 관심이 모인다. 재의결은 무기명 투표로 진행되기에 ‘소신 투표’가 가능한 구조다. 이들 중 25명이 불출석한다면 범야권 단독 통과도 가능하다. 

천하람 개혁신당 당선자는 이날 ‘CBS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현재 윤 대통령 지지율은 박 전 대통령이 통치 가능성을 상실하기 직전 지지율 수준”이라며 “민심은 이미 대통령에 거의 심판 내지 외면을 하고 있다”면서 여당의 엄중한 현실 인식을 촉구했다.
 
한 정치권 관계자는 “여당까지 공개적으로 ‘탄핵’을 언급한 것은 특검법 재의결이 된다면 실제 탄핵 정국까지 갈 가능성을 스스로 인지하고 있다는 것”이라면서 “여기에 채상병 순직 사건 외압 논란에 대통령실의 연루까지 확인된다면 문제가 커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아주경제
content@newsbell.co.kr

댓글0

300

댓글0

[경제] 랭킹 뉴스

  • 올림픽 맛있게 응원하자…집관족 취향저격 ‘올림픽 에디션’
  • 서울 아파트 낙찰가율 93.7%...1년 11개월 만에 최고점 찍었다
  • 질병청 '성인 패혈증 초기치료지침' 첫 발간
  • 불량 자재 탓에 에어컨 없이 폭염 견디는 송도 '송일국 아파트'
  • 불량 자재 탓에 에어컨 없이 폭염 견디는 송도 '송일국 아파트'
  • 8월 극장가 '재개봉 러시'…인생영화 다시 스크린으로

[경제] 공감 뉴스

  • 케이뱅크, MY체크카드 90만장 넘었다..."인뱅 유일 K 패스 기능 탑재"
  • 삼정KPMG “디지털 헬스케어 활성화에 슬립테크 부상”
  • ‘나는 솔로’ 21기 최종 선택 대반전…순자, 영철 직진에도 선택 포기
  • "‘용인 스마일 보이’ 우상혁이 웃었다"...이상일 용인특례시장, 높이뛰기 우상혁 선수 '응원'하고 '격려'
  • 삼성자산운용, 공식 유튜브 채널 정보 시리즈 인기몰이
  • NH농협은행, 농촌 학생들과 '초록사다리 여름캠프' 개최

당신을 위한 인기글

  • “120만 원으로 누리는 개방감” 액티언, 상품성 논란 이겨낼 초강수 옵션 도입
  • “신차 살 돈 없는 아빠들” 끝없이 비싸지는 신차 가격에 중고차로 눈돌려
  • “제네시스는 따라올 수 없는 품위” 렉서스 플래그십 하이브리드 SUV 출시임박!
  • “일론 머스크가 비호감이라…” 테슬라, CEO때문에 망하게 생겼다?
  • “하다하다 이것까지 난리” 문제 많은 공유 킥보드, 어떻게 생각하세요?
  • “배달기사들 진짜 막 사는구나” 마약하고 바지 벗은 채 초인종 눌렀다 구속
  • “전기차는 테슬라가 무조건 맞지” 신형 테슬라 모델 Y 주행거리 500km 인증
  • “머리가 얼마나 나쁘길래” 사고 후 조수석으로 도망친 운전자의 최후

함께 보면 좋은 뉴스

  • 1
    6만 전자? ‘본전만 되면 탈출’ …삼성전자 개미투자자들의 깊어지는 ‘한숨’

    뉴스 

  • 2
    “60세부터 받아 가세요” 은퇴 걱정 끝? .. 새로운 노후 지원 소식에 ‘술렁’

    뉴스 

  • 3
    삼성중공업 4분기 실적 예상치 상회, 보수적 가이던스에도 기회는 여전

    뉴스 

  • 4
    전공의 떠난 병원, 지난해 연구자 임상 40%나 급감

    차·테크 

  • 5
    신라왕경 핵심유적 발굴조사 10년 성과

    뉴스 

[경제] 인기 뉴스

  • 올림픽 맛있게 응원하자…집관족 취향저격 ‘올림픽 에디션’
  • 서울 아파트 낙찰가율 93.7%...1년 11개월 만에 최고점 찍었다
  • 질병청 '성인 패혈증 초기치료지침' 첫 발간
  • 불량 자재 탓에 에어컨 없이 폭염 견디는 송도 '송일국 아파트'
  • 불량 자재 탓에 에어컨 없이 폭염 견디는 송도 '송일국 아파트'
  • 8월 극장가 '재개봉 러시'…인생영화 다시 스크린으로

지금 뜨는 뉴스

  • 1
    '딥시크 돌풍' 배경엔 中정부 지원…2030년 세계 선두 목표

    뉴스 

  • 2
    트럼프 압박 또 통했나…美정부 선박 파나마운하 통행료 면제

    뉴스 

  • 3
    [아시안게임] 컬링 믹스더블 김경애-성지훈, 홈팀 중국에 패배...2승 2패

    스포츠 

  • 4
    식목일 맞이! 자연을 만끽할 수 있는 국내 여행지 BEST 5

    여행맛집 

  • 5
    시라카와고, 세계문화유산으로 인정받은 독특한 매력은?

    여행맛집 

[경제] 추천 뉴스

  • 케이뱅크, MY체크카드 90만장 넘었다..."인뱅 유일 K 패스 기능 탑재"
  • 삼정KPMG “디지털 헬스케어 활성화에 슬립테크 부상”
  • ‘나는 솔로’ 21기 최종 선택 대반전…순자, 영철 직진에도 선택 포기
  • "‘용인 스마일 보이’ 우상혁이 웃었다"...이상일 용인특례시장, 높이뛰기 우상혁 선수 '응원'하고 '격려'
  • 삼성자산운용, 공식 유튜브 채널 정보 시리즈 인기몰이
  • NH농협은행, 농촌 학생들과 '초록사다리 여름캠프' 개최

당신을 위한 인기글

  • “120만 원으로 누리는 개방감” 액티언, 상품성 논란 이겨낼 초강수 옵션 도입
  • “신차 살 돈 없는 아빠들” 끝없이 비싸지는 신차 가격에 중고차로 눈돌려
  • “제네시스는 따라올 수 없는 품위” 렉서스 플래그십 하이브리드 SUV 출시임박!
  • “일론 머스크가 비호감이라…” 테슬라, CEO때문에 망하게 생겼다?
  • “하다하다 이것까지 난리” 문제 많은 공유 킥보드, 어떻게 생각하세요?
  • “배달기사들 진짜 막 사는구나” 마약하고 바지 벗은 채 초인종 눌렀다 구속
  • “전기차는 테슬라가 무조건 맞지” 신형 테슬라 모델 Y 주행거리 500km 인증
  • “머리가 얼마나 나쁘길래” 사고 후 조수석으로 도망친 운전자의 최후

추천 뉴스

  • 1
    6만 전자? ‘본전만 되면 탈출’ …삼성전자 개미투자자들의 깊어지는 ‘한숨’

    뉴스 

  • 2
    “60세부터 받아 가세요” 은퇴 걱정 끝? .. 새로운 노후 지원 소식에 ‘술렁’

    뉴스 

  • 3
    삼성중공업 4분기 실적 예상치 상회, 보수적 가이던스에도 기회는 여전

    뉴스 

  • 4
    전공의 떠난 병원, 지난해 연구자 임상 40%나 급감

    차·테크 

  • 5
    신라왕경 핵심유적 발굴조사 10년 성과

    뉴스 

지금 뜨는 뉴스

  • 1
    '딥시크 돌풍' 배경엔 中정부 지원…2030년 세계 선두 목표

    뉴스 

  • 2
    트럼프 압박 또 통했나…美정부 선박 파나마운하 통행료 면제

    뉴스 

  • 3
    [아시안게임] 컬링 믹스더블 김경애-성지훈, 홈팀 중국에 패배...2승 2패

    스포츠 

  • 4
    식목일 맞이! 자연을 만끽할 수 있는 국내 여행지 BEST 5

    여행맛집 

  • 5
    시라카와고, 세계문화유산으로 인정받은 독특한 매력은?

    여행맛집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