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1분기 가계소득이 1.4% 늘어 3분기 연속 증가세를 기록했다. 사업과 이전소득이 크게 증가한 영향이다. 하지만 물가 상승을 고려한 실질 근로소득은 역대 최대 폭으로 감소했다.
23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1분기 가계동향 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1인이상 가구·농림어가 포함)은 512만2000원으로 1년 전(505만4000원)보다 1.4% 증가했다.
소득 항목별로 보면 가장 비중이 높은 근로소득은 329만1000원으로 1년 전보다 1.1% 줄었다. 지난해 기업 실적 부진으로 주요 기업이 상여금 지급을 축소한 영향이 컸다고 정부는 분석했다.
사업소득은 8.9% 늘어난 87만5000원이었다. 임대소득 증가와 농산물 가격 상승에 따른 농업소득 증대 등이 영향을 미쳤다.
이전소득은 81만8000원으로 5.8% 증가했다. 국민·기초연금 등 연금 수급액 상승과 부모 급여가 늘어난 결과라는 것이 정부의 설명이다.
물가를 반영한 실질소득은 1.6% 줄었다. 특히 실질 근로소득은 전년보다 3.9% 줄며 관련 통계에 1인 가구가 포함된 2006년 이후 동 분기 기준 가장 많이 감소했다. 실질 사업소득은 5.7% 늘며 6분기 만에 플러스로 전환했다.
1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은 290만8000원으로 1년 전보다 3.0% 증가했다. 국내외 여행 증가, 과일·채소 가격 상승 등의 영향으로 오락·문화(9.7%), 식료품(7.2%) 등에서 증가 폭이 컸다. 교통(-1.0%), 기타상품·서비스(-0.6%), 통신(-0.7%) 등 지출은 감소했다.
세금·이전지출 등 비소비지출은 107만6000원으로 1.2% 늘었다. 소득세·부가가치세 등 경상조세가 6.5% 감소했지만 이자비용(11.2%), 비영리단체로 이전지출(7.9%) 등은 늘었다.
소득에서 비소비지출을 뺀 월평균 처분가능소득은 1.4% 늘어난 404만6000원을 기록했다.
처분가능소득에서 소비지출을 뺀 흑자액은 113만8000원으로 2.6% 줄었고 처분가능소득 대비 흑자액을 뜻하는 흑자율은 28.1%였다.
처분가능소득 대비 소비지출인 평균소비성향은 71.9%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2%포인트(p) 상승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