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곳곳에서 지정학적 위험이 불거지면서 해운업계가 특수를 누리고 있다. 수에즈 운하의 통항은 사실상 불가능하고 파나마 운하의 통항량도 회복이 더뎌 해상 운임이 오르고 있다. 코로나19로 호황을 누리던 때 발주한 선박이 투입되고 있음에도 공급이 여전히 수요에 못 미쳐 운임 상승세는 당분간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글로벌 해상운송 항로의 운임 지표인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는 지난 16일 기준 2520.76으로 전주보다 214.97포인트 올랐다. 3월 29일(1730.98) 이후 5주 연속 상승세로 2500선을 돌파한 것은 2022년 9월 9일(2562.12) 이후 처음이다.
SCFI는 지난해 12월 예멘 후티 반군이 홍해를 지나는 선박을 공격하기 시작한 이후 급등했다. 위험이 커지자 글로벌 해운사들은 유럽으로 향하는 지름길인 수에즈 운하를 포기하고 희망봉으로 우회해 왔다. SCFI는 2월 초 잠시 안정화되는 모습을 보였으나 최근 이란과 이스라엘이 상호 공격을 벌인 후 수에즈 운하 봉쇄가 장기화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면서 반등했다.
한국형 컨테이너 운임지수(KCCI)는 지난 20일 3158로 지난주 2717보다 16.23% 올랐다. KCCI는 한국해양진흥공사가 2022년부터 자체 개발해 운영하는 컨테이너선 운임지수다. 부산항에서 출발해 북미, 유럽 등 권역별 대표 항만으로 향하는 13개 항로별 운임을 종합해 산출한다. KCCI는 모든 항로에서 5주 연속 상승세를 보이면서 집계를 시작한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특히 미 동안(東岸·동쪽 바닷가) 운임이 464(8.3%) 상승했는데, 파나마 운하 통항이 원활하지 못한 것이 원인으로 꼽힌다. 예년 평균 하루 36척 수준이던 파나마 운하의 통항 규모는 역대급 가뭄으로 지난해 11월 이후 하루 22~24척 수준으로 줄었다. 이번 달 해당 지역이 우기에 접어들면서 기존 통항량을 회복할 것으로 전망됐지만, 기대만큼 늘지 않았다.
해운업계 관계자는 “파나마 운하를 지나는 선박은 수에즈 운하를 통과하는 선박보다 규모가 작다”며 “파나마 운하가 어려우면 수에즈 운하를 지나 미 동안으로 갔는데, 중동 사태로 이마저도 어려워져 엎친 데 덮친 격이 됐다”고 말했다.
업계에서는 운임이 당분간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본다. 올해 아시아-유럽 주요 항로에 114만TEU(1TEU는 6m 길이 컨테이너 1개) 규모의 선박이 인도됐음에도 희망봉을 우회하느라 운항 거리가 늘면서 공급이 부족해지는 결과가 됐기 때문이다. 한국해양진흥공사는 3대 주요 해운동맹 선사의 25개 아시아-유럽 노선에 투입 선박이 약 36척 부족한 것으로 분석했다.
해운사 실적은 좋아지지만, 해외에 제품을 수출해야 하는 기업들은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자동차 부품을 수출하는 A업체 관계자는 “중동 사태가 예상보다 길어지고 있어 비용이 많이 늘었다. 운임 상승이 제품 가격 상승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고 말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