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이동훈의 골프史] 美 프로골프를 선도한 첫 英 골퍼

아주경제 조회수  

짐 반스 사진아주경제DB
짐 반스. [사진=아주경제DB]

남자골프 4대 메이저 대회(마스터스 토너먼트, PGA 챔피언십, US 오픈, 디 오픈 챔피언십) 중 각기 다른 3개 대회를 우승한 영국인은 총 3명이다.

북아일랜드의 로리 매킬로이, 스코틀랜드의 토미 아머, 잉글랜드의 짐 반스다.

세 선수 모두 그린 재킷(마스터스 우승 부상)을 입지 못했다.

아머는 1968년 71세의 나이로, 반스는 1966년 80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반스는 1934년 시작된 마스터스에 단 한 번도 출전하지 않았다.

1906년 프로로 전향한 반스는 초기 미국 프로골프를 선도했다.

미국프로골프(PGA) 투어에서 22승을 쌓았다. 첫 승은 1914년 웨스턴 오픈이다. 1916년에는 노스 앤드 사우스 오픈과 PGA 챔피언십 등에서 우승컵을 들었다.

올해로 106회를 맞이한 PGA 챔피언십은 1916년 처음 만들어졌다. 반스는 초대 우승자다.

1919년에는 두 번째 PGA 챔피언십, 1921년에는 US 오픈, 1925년에는 디 오픈 우승을 일궜다.

마스터스에서 우승하지 못했지만, 웨스턴 오픈과 노스 앤드 사우스 오픈에서 총 5승을 기록했다.

전설적인 골프 작가인 댄 젠킨스는 “당시 취재하던 작가들과 골퍼들은 웨스턴 오픈과 노스 앤드 사우스 오픈을 메이저급으로 불렀다”고 말했다.

1921년 US 오픈 당시 그는 9타 차로 우승했다. 이 기록은 2000년 타이거 우즈가 15타 차로 우승할 때까지 깨지지 않았다.

PGA 투어는 1916년 창설됐다. 반스는 처음 네 시즌 동안 가장 많이 우승한 선수로 이름을 날렸다.

그의 마지막 우승은 1937년 롱 아일랜드 오픈에서다. 1886년 4월 영국 잉글랜드 콘월주 릴란트에서 태어난 반스의 당시 나이는 51세다. PGA 투어에서 우승한 첫 50대 우승자로 기록됐다.

1940년 미국프로골프협회(PGA of America)는 명예의 전당을 만들었다. 반스는 처음 입성한 12명 중 한 명이다. 프란시스 위멧, 월터 헤이건, 보비 존스, 아머 등과 어깨를 나란히 했다.

세계 골프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것은 1989년이다.

키가 193㎝였던 그의 별명은 ‘롱 짐’이다. 은퇴 뒤에는 골프 기술 관련 책을 여러 권 집필했다. 유명을 달리한 장소는 미국 뉴저지주 이스트 오렌지다. 60년간 미국에서 거주했지만, 애국자인 그는 국적을 바꾸지 않았다.

아주경제
content@newsbell.co.kr

댓글0

300

댓글0

[경제] 랭킹 뉴스

  • 올림픽 맛있게 응원하자…집관족 취향저격 ‘올림픽 에디션’
  • 서울 아파트 낙찰가율 93.7%...1년 11개월 만에 최고점 찍었다
  • 질병청 '성인 패혈증 초기치료지침' 첫 발간
  • 불량 자재 탓에 에어컨 없이 폭염 견디는 송도 '송일국 아파트'
  • 불량 자재 탓에 에어컨 없이 폭염 견디는 송도 '송일국 아파트'
  • 8월 극장가 '재개봉 러시'…인생영화 다시 스크린으로

[경제] 공감 뉴스

  • 케이뱅크, MY체크카드 90만장 넘었다..."인뱅 유일 K 패스 기능 탑재"
  • 삼정KPMG “디지털 헬스케어 활성화에 슬립테크 부상”
  • ‘나는 솔로’ 21기 최종 선택 대반전…순자, 영철 직진에도 선택 포기
  • "‘용인 스마일 보이’ 우상혁이 웃었다"...이상일 용인특례시장, 높이뛰기 우상혁 선수 '응원'하고 '격려'
  • 삼성자산운용, 공식 유튜브 채널 정보 시리즈 인기몰이
  • NH농협은행, 농촌 학생들과 '초록사다리 여름캠프' 개최

당신을 위한 인기글

  • “방심하면 그대로 저승행” 올 겨울 정말 심한 빙판길 운전 주의보
  • “상사와의 어려운 술자리로 집유” 음주 뺑소니한 경찰관 논란
  • “20년 만에 돌아온 무쏘” 2천만원대 포터 가격에 살 수 있을까?
  • “120만 원으로 누리는 개방감” 액티언, 상품성 논란 이겨낼 초강수 옵션 도입
  • “신차 살 돈 없는 아빠들” 끝없이 비싸지는 신차 가격에 중고차로 눈돌려
  • “제네시스는 따라올 수 없는 품위” 렉서스 플래그십 하이브리드 SUV 출시임박!
  • “중국에 바짝 엎드린 일본!” 뭉쳐도 이기기 힘든데, 흩어질 위기 처한 상황
  • “일론 머스크가 비호감이라…” 테슬라, CEO때문에 망하게 생겼다?

함께 보면 좋은 뉴스

  • 1
    '콩콩밥밥' 이광수, 엑소 노래 몰랐다… 도경수 "이걸 모른다고?" [TV온에어]

    연예 

  • 2
    "골치만 아픈데 누가 더 투자하겠나"…속 터지는 엔젤투자자들

    뉴스 

  • 3
    이윤모 볼보자동차 대표 “EX30 연간 3천대 판매할 것”

    차·테크 

  • 4
    인증샷 찍다 “으악”… 480명 사망해도 식지 않는 '극한 셀카' 열풍

    뉴스 

  • 5
    車업계, 전기차 할인↑구매 부담↓… 수요 늘리기 총력

    차·테크 

[경제] 인기 뉴스

  • 올림픽 맛있게 응원하자…집관족 취향저격 ‘올림픽 에디션’
  • 서울 아파트 낙찰가율 93.7%...1년 11개월 만에 최고점 찍었다
  • 질병청 '성인 패혈증 초기치료지침' 첫 발간
  • 불량 자재 탓에 에어컨 없이 폭염 견디는 송도 '송일국 아파트'
  • 불량 자재 탓에 에어컨 없이 폭염 견디는 송도 '송일국 아파트'
  • 8월 극장가 '재개봉 러시'…인생영화 다시 스크린으로

지금 뜨는 뉴스

  • 1
    [인터뷰] 하은호 군포시장 "모든 세대 아우르는 교육 인프라 꼭 구성"

    뉴스 

  • 2
    그 천사들은 어디로 갔나…흔들리는 K-벤처생태계

    뉴스 

  • 3
    “‘디스플레이 초격차’로 中 따돌린다“… 산업부, 기술 R&D에 415억원 지원

    뉴스 

  • 4
    “오너 3·4세 등판 먹힐까”… 식품업계, 역대급 실적 릴레이 도전

    뉴스 

  • 5
    이정헌 의원 “AI 교육·AI 기술협력·AI 정부로 ICT 새판 짜자”

    뉴스 

[경제] 추천 뉴스

  • 케이뱅크, MY체크카드 90만장 넘었다..."인뱅 유일 K 패스 기능 탑재"
  • 삼정KPMG “디지털 헬스케어 활성화에 슬립테크 부상”
  • ‘나는 솔로’ 21기 최종 선택 대반전…순자, 영철 직진에도 선택 포기
  • "‘용인 스마일 보이’ 우상혁이 웃었다"...이상일 용인특례시장, 높이뛰기 우상혁 선수 '응원'하고 '격려'
  • 삼성자산운용, 공식 유튜브 채널 정보 시리즈 인기몰이
  • NH농협은행, 농촌 학생들과 '초록사다리 여름캠프' 개최

당신을 위한 인기글

  • “방심하면 그대로 저승행” 올 겨울 정말 심한 빙판길 운전 주의보
  • “상사와의 어려운 술자리로 집유” 음주 뺑소니한 경찰관 논란
  • “20년 만에 돌아온 무쏘” 2천만원대 포터 가격에 살 수 있을까?
  • “120만 원으로 누리는 개방감” 액티언, 상품성 논란 이겨낼 초강수 옵션 도입
  • “신차 살 돈 없는 아빠들” 끝없이 비싸지는 신차 가격에 중고차로 눈돌려
  • “제네시스는 따라올 수 없는 품위” 렉서스 플래그십 하이브리드 SUV 출시임박!
  • “중국에 바짝 엎드린 일본!” 뭉쳐도 이기기 힘든데, 흩어질 위기 처한 상황
  • “일론 머스크가 비호감이라…” 테슬라, CEO때문에 망하게 생겼다?

추천 뉴스

  • 1
    '콩콩밥밥' 이광수, 엑소 노래 몰랐다… 도경수 "이걸 모른다고?" [TV온에어]

    연예 

  • 2
    "골치만 아픈데 누가 더 투자하겠나"…속 터지는 엔젤투자자들

    뉴스 

  • 3
    이윤모 볼보자동차 대표 “EX30 연간 3천대 판매할 것”

    차·테크 

  • 4
    인증샷 찍다 “으악”… 480명 사망해도 식지 않는 '극한 셀카' 열풍

    뉴스 

  • 5
    車업계, 전기차 할인↑구매 부담↓… 수요 늘리기 총력

    차·테크 

지금 뜨는 뉴스

  • 1
    [인터뷰] 하은호 군포시장 "모든 세대 아우르는 교육 인프라 꼭 구성"

    뉴스 

  • 2
    그 천사들은 어디로 갔나…흔들리는 K-벤처생태계

    뉴스 

  • 3
    “‘디스플레이 초격차’로 中 따돌린다“… 산업부, 기술 R&D에 415억원 지원

    뉴스 

  • 4
    “오너 3·4세 등판 먹힐까”… 식품업계, 역대급 실적 릴레이 도전

    뉴스 

  • 5
    이정헌 의원 “AI 교육·AI 기술협력·AI 정부로 ICT 새판 짜자”

    뉴스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