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기업부채가 지난해에만 120조원 가까이 불어나면서 2700조원을 훌쩍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시장 활황기에 비은행권을 중심으로 대출 공급이 크게 늘어난 영향으로 분석된다. 다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가파르게 치솟은 금리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부실이 확대되고 있는 만큼, 구조조정을 통한 디레버리징(부채 축소)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0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우리나라 기업부채 현황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기업부채 잔액은 지난해 말 기준 2734조원으로 전년 대비 117조원(4.5%) 늘었다.
최근 5년간의 추이를 살펴보면 ▲2018년(1814조원) ▲2019년(1949조원) ▲2020년(2132조원) ▲2021년(2376조원) ▲2022년(2617조원) 등으로 집계됐다. 연평균 8.3%의 증가세로 명목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3.4%를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명목 GDP 대비 기업부채 레버리지 비율은 2017년 말 92.5%에서 지난해 말 122.3%로 29.8%포인트 뛰었다.
부동산 시장 활황기인 2010년대 중반 이후 비은행권 중심으로 부동산업에 대한 대출 공급이 확대되면서 기업부채가 불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또 코로나19의 직격탄을 맞은 개인사업자 등에 대한 정부의 금융지원 조치가 지속된 것도 일부 영향을 줬다는 설명이다.
실제 개인사업자 대출의 지난 2017~2019년 연평균 증가 규모는 24조원에서 코로나19 피해 기업에 대한 금융지원이 이뤄진 2020~2022년에는 54조원으로 확대됐다.
부동산과 개입사업자를 제외한 일반기업의 경우 2020년 이후 대기업 중심의 대출 공급이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 침체에 따른 업황 부진으로 대기업들의 자금 수요가 늘어나면서 기업부채가 증가했다는 설명이다.
문제는 상대적으로 생산성이 높지 않은 부동산 부문에서 기업부채가 크게 확대됐다는 점이다. 국가 경제의 자원 배분 효율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실제 업종별 GDP 대비 대출 공급 비중을 나타내는 대출집중도를 보면 그동안 기업부채가 크게 증가한 부동산업의 대출집중도가 다른 업종을 크게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부동산업의 대출집중도는 3.67로 모든 산업 중 가장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대출집중도가 1보다 높을수록 해당 업종의 GPD 대비 대출 비중이 과도함을 의미한다. 부동산업의 뒤를 잇고 있는 섬유및가죽(1.94), 도소매(1.94), 숙박및음식점(1.75) 등과 비교해 차이가 크다.
류창훈 한은 금융시장국 시장총괄팀 과장은 “부동산업의 경우 GDP 대비 부채 비중이 주요국과 비교했을 때 상당히 높은 편”이라며 “그런 부분들이 PF 연체율로 나타나고 있는 만큼, 부동산 부문에 대한 점진적 디레버리징 정책이 꾸준히 추진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또 일반기업의 부채에서 한계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확대돼 기업부채의 질이 저하되고 있는 점도 우려를 가중하는 대목이다. 일반기업 차입부채에서 한계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 2021년 말 14.7%에서 2022년 말 17.1%로 2.4%p 상승했다.
한은은 보고서에서 “향후 기업부채는 총량 지표 등을 통해 경직적으로 관리하기보다 부문별로 관련 리스크를 줄여나가는 데 초점을 두고 대응할 필요가 있다”며 “기업신용이 전체 국가 경제 관점에서 생산적인 부문으로 적절히 공급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진단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