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銀 전환으로 재도약 예고
첫 거점은 지방銀 없는 ‘원주’
中企·중신용자 대출 차별화
사명 ‘iM뱅크’…지역색 뺀다
시중은행으로 전환한 DGB대구은행이 은행권 과점 체제를 깰 ‘메기’로 부상할지 관심이 집중된다. 대구은행은 전통적 강점의 중소기업·중저신용자 대출 영업을 전국구로 확대하며 경쟁력을 끌어올리겠다는 계획이다. 기존 시중은행들이 보수적으로 바라봤던 틈새시장을 적극 공략해 대구은행만의 입지를 구축하겠다는 전략이다. 다만 대형 시중은행들과 체급 차이가 커 판도를 흔들긴 어려울 것이란 진단도 나온다.
17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전날 대구은행의 시중은행 전환을 위한 은행업 인가를 의결했다. 은행권에 시중은행이 생긴 것은 1992년 평화은행 이후 32년 만이다. 이로써 대구은행은 KB국민·신한·하나·우리·한국씨티·SC제일은행에 이어 7번째 시중은행이 됐다.
◆ ‘전국구’ 영업 시동…첫 거점 ‘원주’
대구은행은 1967년 10월 설립돼 대구·경북을 주 무대로 영업한 지방은행이다. 대구은행의 총자산은 올 1분기 말 기준 79조6291억원이다. 이중 대출채권이 71.5%(56조9491억원)를 차지하는데, 대구·경북에 공급한 여신만 24.3%(13조8386억원)에 달한다. 대구·경북에서 안정적 영업 기반을 갖춘 것으로 평가된다.
다만 대구은행은 거점 지역에 국한된 영업만으로는 성장 한계를 체감해 시중은행으로의 전환을 결정했다. 지방은행과 달리 시중은행은 전국 단위로 영업망을 구성할 수 있다. 대구은행은 현재 200개의 영업점을 보유하고 있는데 대구·경북에만 89.5%(179개)가 집중돼 있다. 4대 시중은행이 약 600~800개를 보유하고 있는 것과 비교하면 영업망이 약하다.
하지만 대부분의 금융 서비스가 온라인·비대면으로 제공되는 상황에서 영업점을 무리하게 늘릴 유인이 낮은 상황이다. 기존 시중은행들도 영업점을 꾸준히 통폐합하며 비용 효율성을 제고하는 방향의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에 대구은행은 전국 행정구역에 거점 점포를 세우되 부족한 영업망은 ‘기업금융 전문가(PRM)’를 활용한 아웃바운드 영업으로 보완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향후 3년간 수도권뿐 아니라 충청·강원·호남·제주 지역 등에 영업점 14개를 신설할 예정이다. 첫 거점은 원주 지역으로 결정됐다. 대구·경북과 수도권에 인접해 입지적으로 유리하다는 계산이 깔렸다. 특히 지방은행이 강원도와 충청권에만 없는 만큼, 지방은행에 요구되는 금융 수요를 잡겠다는 복안이다.
◆ 중소기업·중신용 대출로 차별화 전략
기존 시중은행들과 비교해 체급 측면의 열위는 극복해야 할 과제다. 대구은행의 자본총계는 지난 1분기 말 기준 4조8741억원으로 30조원대의 시중은행들과 비교해 크게 밀린다. 금융당국이 기대하는 은행권의 경쟁 촉진 효과가 제한적일 것이란 분석이 나오는 가장 큰 원인 중 하나다.
다만 대구은행은 창립 이래 57년간 축적한 관계형 금융 노하우를 활용해 중소기업과 중·저신용자 대출 영업에 주력하면서 차별화한 행보를 걷겠다는 계획이다. 시중은행 전환으로 자금 조달 비용이 줄어들면 중소기업과 중신용자에게 보다 유리한 조건으로 대출을 공급해 고객풀을 확장한다는 구상이다. 기존 시중은행들이 상대적으로 깐깐하게 취급한 틈새시장을 적극 공략하겠다는 것이다.
실제 지방은행은 시중은행과 신용등급이 ‘AAA’로 같지만, 채권 발행으로 자금을 조달할 때 선순위 0.02~0.04%포인트(p), 후순위와 신종자본증권은 0.15%p의 차이가 있다. 대구은행은 시중은행으로 전환된 만큼, 이 같은 차이가 메워질 것으로 예상한다.
대구은행이 상대적으로 신용 위험이 큰 중소기업과 중·저신용자 대출을 확대하면서 건전성이 악화할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이에 대구은행은 신용평가 모형을 고도화하고, 시스템화된 대출 심사 체계를 도입하는 등 여신 심사와 사후관리를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 ‘iM뱅크’로 지역색 빼고 비대면 강화
대구은행은 간판도 바꿔 달면서 지역색을 과감하게 뺀다. 대구은행이란 브랜드를 계속 사용할 경우 시중은행으로 전환해도 소비자들의 체감에 한계가 있을 것이란 우려가 컸다. 이에 대구은행은 사명을 ‘iM뱅크’로 변경한다는 계획이다.
다만 대구·경북에서는 대구은행 브랜드를 병기해 역사성을 이어간다. 대구·경북에서의 여·수신 점유율이 60%에 달하는 만큼, 충성 고객을 유지하기 위한 차원이다.
아울러 대구은행은 모바일뱅킹 ‘iM뱅크’를 고도화해 디지털 경쟁력을 강화한다. 핀테크와의 제휴 등 외부 플랫폼도 적극 활용해 비용을 절감하겠다는 구상이다. 이미 4대 시중은행들의 예·적금 가입도 80% 이상이 비대면으로 이뤄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신용대출도 80% 이상이 비대면 채널에서 공급되고 있다.
소매금융에서는 영업점보다 모바일뱅킹으로 무게중심이 옮겨가고 있는 셈이다. 일례로 지역 한계를 체감한 JB금융그룹도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핀테크와의 제휴를 확장하면서 비대면 채널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대구은행 관계자는 “디지털 접근성·비용 효율성과 같은 인터넷전문은행의 장점과 지방은행의 중소기업 금융 노하우 등을 함께 갖춘 새로운 은행의 모습을 강조하기 위해 ‘뉴 하이브리드 뱅크’를 내세우고자 한다”며 “시중은행 전환을 통해 브랜드 위상 강화 등 은행 전반의 경쟁력이 강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