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은행, 신용대출 평균 신용점수 924점
건전성 관리‧신용 인플레로 상승세 지속
대출 어려운 고신용자 저축은행으로 ‘풍선효과’
신용점수 900점 이상인 ‘고신용자’도 은행 돈 빌리기가 어려워지고 있다. 고금리 장기화 등으로 연체율 악화가 우려되면서 은행들이 건전성 관리에 나선 영향이다. 시중은행에서 퇴짜를 맞은 고신용자가 제2금융권으로 발길을 돌리면서 중·저신용자들의 ‘대출 절벽’현상은 더욱 심각해졌다. 더욱이 대규모 신용사면으로 차주들의 신용점수가 높아지는 ‘신용 인플레이션’이 심화되면서 대출 문턱은 더욱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15일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지난달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과 인터넷전문은행 3사(카카오·케이·토스뱅크)의 일반신용대출 신규취급액 기준 평균 신용점수는 924.2점으로 전월(919.5점)보다 4.7점 올랐다. 은행들의 평균 신용점수는 지난해 11월(896.8점)부터 상승세다.
특히, 인터넷은행의 신용점수 오름세가 가팔랐다. 인터넷은행 3사가 지난달 신규로 신용대출을 내준 차주들의 평균 신용점수는 921.6점으로 지난해 12월(866점)보다 55.6점이나 뛰었다. 케이뱅크의 평균 신용점수는 938점으로 KB국민은행(913점)과 신한은행(920점)보다 높았다.
신용평가사 코리아크레딧뷰로(KCB)는 신용점수 1등급 942~1000점 △2등급 891~941점 △3등급 832~890점 △4등급 768~831점으로 3등급까지 고신용자로 분류한다. 그러나 대출 문턱이 높아지면서 3등급 차주들도 시중은행에서 대출 받기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대출이 까다로워진 건 연체율 급등으로 건전성 관리의 필요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2월 말 기준 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금액 기준)은 0.51%로 4년9개월 만에 최고치를 찍었다. 주택담보대출을 제외한 가계대출(신용대출 등) 연체율은 전월보다 0.1%포인트(p) 오른 0.84%로, 주담대 연체율 상승률(0.02%p)보다 높았다.
은행권 관계자는 “정부의 가계대출 축소 기조에 맞춰 보수적으로 운용 중”이라면서 “금리가 높다 보니 비교적 이자 상환 능력이 낮은 중·저신용자들의 대출 수요가 줄어든 것도 원인 중 하나로 보인다”고 말했다.
전체적인 신용점수가 높아지는 이른바 ‘신용인플레이션’도 영향을 미쳤다. KCB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신용점수 950점 이상 고신용자는 1314만6532명으로 전체 차주(4953만3733명)의 4분의 1을 차지했다. 이는 2020년 말(989만 명) 대비 3년 만에 약 325만 명 늘어난 것이다.
은행 문턱을 넘지 못한 고신용자들은 저축은행 등 2금융권으로 발길을 돌리고 있다.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자산 규모 상위 5대 저축은행(SBI·OK·한국투자·웰컴·애큐온)의 신규 신용대출 중 800점대 이상 차주의 비중이 21%에 달했다. 은행권의 대출 문턱은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금융기관 대출행태 서베이 결과’에 따르면 국내 은행의 가계일반신용대출에 대한 대출태도지수는 올해 2분기 -3으로 조사됐다. 대출태도지수는 0을 기준으로 이보다 낮으면 은행의 대출 심사가 더 깐깐해진다는 의미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