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주주 반발에…기대 못미친 락앤락 공개매수 [시그널]

서울경제 조회수  

주주 반발에…기대 못미친 락앤락 공개매수 [시그널]

락앤락(115390) 최대주주인 홍콩계 사모펀드 어피너티에쿼티파트너스(69.64%)가 잔여 지분(30.33%)에 대한 공개매수를 14일 마감한 가운데 시장에서는 어피너티가 2차 공개매수에 나설지 예의 주시하고 있다. 약 3주 동안의 공개매수 기간 주식 거래량을 봤을 때 최총 청약률은 어피너티의 목표치 대비 다소 낮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어서다. 공개매수 가격이 락앤락의 실제 자산 가치 대비 낮다며 반발했던 소액주주들 사이에서는 어피너티가 제시가를 높여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어 그 실현 가능성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날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어피너티가 락앤락 지분 공개매수에 돌입한 지난달 18일부터 이달 10일까지 기관의 주식 순매수량은 약 430만 주에 그친 것으로 집계됐다. 어피너티가 밝혔던 목표 매수 예정 수량(1314만 주)의 약 30%다. 같은 기간 전체 주식 거래량은 866만여 주, 매수 예정 수량의 약 66%로 기록됐다.

보통 공개매수가 시작되면 헤지펀드 등 기관들은 장내에서 지분을 저가에 매집한 뒤 청약에 응해 단기 차익을 거둬들인다. 주식 입고일을 고려한 기관들은 대부분 2영업일 전인 이달 10일까지 장내에서 주식 매수를 마쳤다.

주주 반발에…기대 못미친 락앤락 공개매수 [시그널]

투자은행(IB) 업계의 한 관계자는 “최근 다른 사모펀드의 공개매수와 비교하면 기관들의 순매수량은 많은 편이 아니었다”며 “개인 주주들까지 포함한 최종 청약률을 봐야겠으나 어피너티의 목표치를 100% 달성했다고 보기 힘들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공개매수 주관사 NH투자증권(005940) 관계자는 “현재 최종 청약률을 집계하고 있으며 결과는 16일 공시될 것”이라며 “2차 공개매수를 논하기에는 이른 시점”이라고 설명했다. 어피너티도 이와 관련해 “현재 확정된 바가 없다”는 입장이다.

시장에서 어피너티의 대응에 주목하는 것은 이번 공개매수와 관련해 주주들의 반발이 심했기 때문이다. 어피너티가 제시한 공개매수 가격(8750원)을 지난 연말 락앤락 주당순자산(5015억 원)과 비교하면 주가순자산비율(PBR)은 0.76배에 그친다. 지난해부터 진행돼온 다른 사모펀드들의 공개매수와 비교해도 이번 락앤락 PBR은 낮은 것으로 평가됐다.

실제 소액주주들은 최근 온라인을 중심으로 공개매수 반대 캠페인을 벌여 왔다. 이달 초에는 어피너티의 한국 사무실까지 찾아 항의성 집회도 열었다. 일부 주주 사이에서는 청약에 응하지 않고 오히려 장내에서 지분을 더 사들이는 등 공개매수 저지에 힘을 보태려는 움직임도 포착됐다. 이런 분위기가 확산하자 헤지펀드들의 추가 장내 매수 의지가 꺾였다는 평가도 있다. 어피너티가 총 95% 이상 지분을 확보하지 못하면 당초 목표했던 상장폐지가 무위에 그쳐 2차 공개매수 전략이 가동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기 때문이다.

과거 1차 공개매수에서 목표치를 모으지 못한 국내 다른 사모펀드들이 2차 공개매수에 나선 사례도 많다. 지난해 MBK파트너스·UCK파트너스는 오스템임플란트 공개매수를 두 차례 진행한 끝에 상장폐지를 이뤄냈다. 한앤컴퍼니도 루트로닉 공개매수를 두 차례 진행한 바 있다.

다만 어피너티 입장에서는 2차 공개매수를 통해 제시 가격을 높이는 게 쉽지 않다는 지적도 나온다. 시장의 한 관계자는 “만약 공개매수 가격을 올리면 1차 청약에 응한 주주들과의 형평성 논란을 극복해야 한다”며 “다른 사모펀드들도 2차 공개매수 가격은 1차 때와 같았다”고 지적했다.

서울경제
content@newsbell.co.kr

댓글0

300

댓글0

[경제] 랭킹 뉴스

  • 올림픽 맛있게 응원하자…집관족 취향저격 ‘올림픽 에디션’
  • 서울 아파트 낙찰가율 93.7%...1년 11개월 만에 최고점 찍었다
  • 질병청 '성인 패혈증 초기치료지침' 첫 발간
  • 불량 자재 탓에 에어컨 없이 폭염 견디는 송도 '송일국 아파트'
  • 불량 자재 탓에 에어컨 없이 폭염 견디는 송도 '송일국 아파트'
  • 8월 극장가 '재개봉 러시'…인생영화 다시 스크린으로

[경제] 공감 뉴스

  • 케이뱅크, MY체크카드 90만장 넘었다..."인뱅 유일 K 패스 기능 탑재"
  • 삼정KPMG “디지털 헬스케어 활성화에 슬립테크 부상”
  • ‘나는 솔로’ 21기 최종 선택 대반전…순자, 영철 직진에도 선택 포기
  • "‘용인 스마일 보이’ 우상혁이 웃었다"...이상일 용인특례시장, 높이뛰기 우상혁 선수 '응원'하고 '격려'
  • 삼성자산운용, 공식 유튜브 채널 정보 시리즈 인기몰이
  • 삼성자산운용, 공식 유튜브 채널 정보 시리즈 인기몰이

당신을 위한 인기글

  • “이러니 현대차 안팔리지” 2천만원대 BYD 야심작 또 나온다!
  • “방심하면 그대로 저승행” 올 겨울 정말 심한 빙판길 운전 주의보
  • “상사와의 어려운 술자리로 집유” 음주 뺑소니한 경찰관 논란
  • “20년 만에 돌아온 무쏘” 2천만원대 포터 가격에 살 수 있을까?
  • “120만 원으로 누리는 개방감” 액티언, 상품성 논란 이겨낼 초강수 옵션 도입
  • “신차 살 돈 없는 아빠들” 끝없이 비싸지는 신차 가격에 중고차로 눈돌려
  • “제네시스는 따라올 수 없는 품위” 렉서스 플래그십 하이브리드 SUV 출시임박!
  • “중국에 바짝 엎드린 일본!” 뭉쳐도 이기기 힘든데, 흩어질 위기 처한 상황

함께 보면 좋은 뉴스

  • 1
    Z세대 86% ‘조직문화’ 중시…최악의 문화 1위는?

    뉴스 

  • 2
    1억 깎아 줘도 “안 산다”.. 눈물의 가격 인하에도 ‘찬바람’ 쌩쌩부는 ‘이 도시’

    뉴스 

  • 3
    “김하성 단기적으로 완벽, 어깨수술 최악의 시기에 했어” FA 1300만달러 재수계약 좋은데…이것은 걱정

    스포츠 

  • 4
    [손태규의 직설] 대학 동아리 출신 여자 마라토너의 국제대회 1위에 일본이 ‘열광’한 이유→“고정관념 무너뜨렸다”

    스포츠 

  • 5
    '17년 만의 우승 도전' 토트넘, 리버풀에 0-4 참패…카라바오컵 결승 진출 실패

    스포츠 

[경제] 인기 뉴스

  • 올림픽 맛있게 응원하자…집관족 취향저격 ‘올림픽 에디션’
  • 서울 아파트 낙찰가율 93.7%...1년 11개월 만에 최고점 찍었다
  • 질병청 '성인 패혈증 초기치료지침' 첫 발간
  • 불량 자재 탓에 에어컨 없이 폭염 견디는 송도 '송일국 아파트'
  • 불량 자재 탓에 에어컨 없이 폭염 견디는 송도 '송일국 아파트'
  • 8월 극장가 '재개봉 러시'…인생영화 다시 스크린으로

지금 뜨는 뉴스

  • 1
    “‘인원’이란 말 써본 적 없다”는 尹…취재진도 웃음 터져

    뉴스 

  • 2
    삼성전자 시총 5배? 물거품 된 ‘대왕고래’에 동아 “사기극 수준”

    뉴스 

  • 3
    [심층분석]“부정선거 제대로 밝혀라”...‘尹부정선거 감정신청’불허에 난리난 헌재홈페이지

    뉴스 

  • 4
    4년만에 돌아온 LG 스탠바이미2 뭐가 달라졌을까? 디자인 스펙 가격 (사전예약구매)

    차·테크 

  • 5
    “AI 그래픽 렌더링 시대 개막” 엔비디아 지포스 RTX 5090 FE ①기능편 [리뷰]

    차·테크 

[경제] 추천 뉴스

  • 케이뱅크, MY체크카드 90만장 넘었다..."인뱅 유일 K 패스 기능 탑재"
  • 삼정KPMG “디지털 헬스케어 활성화에 슬립테크 부상”
  • ‘나는 솔로’ 21기 최종 선택 대반전…순자, 영철 직진에도 선택 포기
  • "‘용인 스마일 보이’ 우상혁이 웃었다"...이상일 용인특례시장, 높이뛰기 우상혁 선수 '응원'하고 '격려'
  • 삼성자산운용, 공식 유튜브 채널 정보 시리즈 인기몰이
  • 삼성자산운용, 공식 유튜브 채널 정보 시리즈 인기몰이

당신을 위한 인기글

  • “이러니 현대차 안팔리지” 2천만원대 BYD 야심작 또 나온다!
  • “방심하면 그대로 저승행” 올 겨울 정말 심한 빙판길 운전 주의보
  • “상사와의 어려운 술자리로 집유” 음주 뺑소니한 경찰관 논란
  • “20년 만에 돌아온 무쏘” 2천만원대 포터 가격에 살 수 있을까?
  • “120만 원으로 누리는 개방감” 액티언, 상품성 논란 이겨낼 초강수 옵션 도입
  • “신차 살 돈 없는 아빠들” 끝없이 비싸지는 신차 가격에 중고차로 눈돌려
  • “제네시스는 따라올 수 없는 품위” 렉서스 플래그십 하이브리드 SUV 출시임박!
  • “중국에 바짝 엎드린 일본!” 뭉쳐도 이기기 힘든데, 흩어질 위기 처한 상황

추천 뉴스

  • 1
    Z세대 86% ‘조직문화’ 중시…최악의 문화 1위는?

    뉴스 

  • 2
    1억 깎아 줘도 “안 산다”.. 눈물의 가격 인하에도 ‘찬바람’ 쌩쌩부는 ‘이 도시’

    뉴스 

  • 3
    “김하성 단기적으로 완벽, 어깨수술 최악의 시기에 했어” FA 1300만달러 재수계약 좋은데…이것은 걱정

    스포츠 

  • 4
    [손태규의 직설] 대학 동아리 출신 여자 마라토너의 국제대회 1위에 일본이 ‘열광’한 이유→“고정관념 무너뜨렸다”

    스포츠 

  • 5
    '17년 만의 우승 도전' 토트넘, 리버풀에 0-4 참패…카라바오컵 결승 진출 실패

    스포츠 

지금 뜨는 뉴스

  • 1
    “‘인원’이란 말 써본 적 없다”는 尹…취재진도 웃음 터져

    뉴스 

  • 2
    삼성전자 시총 5배? 물거품 된 ‘대왕고래’에 동아 “사기극 수준”

    뉴스 

  • 3
    [심층분석]“부정선거 제대로 밝혀라”...‘尹부정선거 감정신청’불허에 난리난 헌재홈페이지

    뉴스 

  • 4
    4년만에 돌아온 LG 스탠바이미2 뭐가 달라졌을까? 디자인 스펙 가격 (사전예약구매)

    차·테크 

  • 5
    “AI 그래픽 렌더링 시대 개막” 엔비디아 지포스 RTX 5090 FE ①기능편 [리뷰]

    차·테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