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형 인공지능(AI) 시장 규모가 급성장하면서 기업들이 올해부터 생성형 AI 기반의 비즈니스 모델 구축과 더불어 수익화 전략에 본격적으로 돌입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산업별로는 금융업과 헬스케어 분야의 AI 도입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수익화에 이미 성공한 해외 주요 기업들과는 달리 국내는 AI 활용 수준이 낮아 가시적 성과가 미미하다는 분석이다.
삼일PwC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생성형 AI를 활용한 비즈니스의 현주소’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14일 밝혔다. 이 보고서는 산업별로 AI가 어떻게 활용되며 비즈니스 성과를 내고 있는지 국내외 사례를 통해 알아보고 기업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작성됐다. 보고서는 생성형 AI 생태계 구조를 △AI 모델 및 AI 서비스 기업 △클라우드 기업 △AI 수요 기업 등 세 곳의 참여자로 구분했다. 각자의 비용 감축 또는 매출 극대화라는 공통된 목적을 바탕으로 차별화된 비즈니스 전략을 갖기 때문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기업 경영자의 60% 이상이 생성형 AI를 도입할 의향을 보였지만, 오직 9%만이 AI를 완전히 채택한 것으로 조사됐다. 약 60~75% 기업은 파일럿 테스트 또는 초기 검증 단계라는 설명이다. 삼일PwC는 “글로벌 800여 개 기업의 주요 의사결정권자 가운데 75%가 생성형 AI를 비즈니스 경쟁 우위와 직결되는 요소로 판단해 높은 투자의향을 보였다”며 “지난해에는 기업들이 생성형 AI 개발 및 안정화에 집중했다면, 올해부터는 생성형 AI의 대중적 보급과 본격 도입에 따른 생산성 향상 및 수익 창출에 초점을 둬 사업을 전개할 것”으로 내다봤다.
주요 산업 중에서는 금융과 헬스케어 산업이 상대적으로 AI 도입률이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예컨대 글로벌 투자은행인 JP 모건은 내부 조직뿐만 아니라 수익화 채널과 고객 접점 채널에 AI를 도입해 수익성을 이뤄냈다.
또 마이크로소프트 등 외부 파트너십을 통해 생성형 AI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개발 중이다. 이 밖에도 글로벌 제약사인 로슈(Roche), 화학 기업 바스프(BASF), 물류 기업 DHL 등이 AI를 활용한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한 것으로 소개됐다.
반면 국내의 AI 활용 수준은 해외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라고 지적했다. 인력, 공유 데이터, 플랫폼 인프라, 투자, 정책적 지원 등이 부족해 산업 내 AI 활성화가 더디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삼일PwC는 “특히 제조업에서는 국내 제조업의 보수적 특성과 전문 인력에 대한 높은 의존도로 인해 AI 활용도가 낮다”고 강조했다.
정재국 삼일PwC IT산업 리더는 “아직까지 산업 전반적으로 AI 도입 및 활용 수준이 낮아 향후 AI를 통해 산업별 매출 및 이익 기여도를 높이고 기술 측면에서도 더 성장할 수 있는 여지가 많다”며 “한국은 기업의 노력 뿐만 아니라 정부 차원의 정책 및 인프라에 대한 적극적인 역할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