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러 강세에 수출 비중 높은 기업들 수익성 개선
반면 수입 원재료 가격 상승으로 원가 부담도 커져
호실적 기업들 정부‧여론 가격 인하 압박 거세질까 우려
올 1분기 K푸드 수출에 힘입어 호실적을 기록한 식품업계의 셈법이 복잡해지고 있다.
수출 비중이 높은 기업은 고환율에 힘입어 수익성이 개선될 수 있지만, 반대로 내수 비중이 높은 기업은 원재료 부담이 커져 수익성이 악화되는 등 정반대의 상황에 놓일 수 있어서다.
14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올 1분기 국내 주요 식품기업들이 작년 같은 기간 대비 개선된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미 실적을 발표한 롯데웰푸드, 동원F&B은 영업이익이 작년과 비교해 각각 100.6%, 14.8% 늘었다.
CJ제일제당, 오리온, 삼양식품 등 전체 매출 중 해외비중이 50%가 넘는 기업의 경우에는 영업이익 증가율이 두 자리에서 세 자릿 수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호실적이 예상되는 식품기업 대부분은 수출 비중이 높다는 특징이 있다.
원재료 가격 인상을 이유로 소비자 가격을 올리면서 수익성이 개선된 데다 달러 강세에 힘입어 수출 비중이 높은 기업들이 혜택을 보고 있는 셈이다.
미국을 비롯해 전세계에서 불고 있는 K푸드 열풍에 라면, 간편식, 김치, 주류, 김 등 가공식품 전반에 대한 수출이 늘고 있다.
증가하는 수요에 대응해 해외 현지 생산시설 확보를 서두르고 있지만 여전히 국내에서 생산해 해외로 수출하는 비중이 높다 보니 환율에 따라 이익 폭이 달라지기 마련이다.
반면 내수 비중이 높은 식품기업의 경우에는 원재료 부담이 커질 수 있어 긴장하는 분위기다.
정부가 민생물가 안정에 드라이브를 걸면서 식품, 외식 가격 자제를 당부하고 있어 원재료 인상을 이유로 가격을 올리기도 쉽지 않기 때문이다.
최근 원‧달러 환율이 1370~1390원을 오르내리며 연일 강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달 16일에는 1393.5원까지 오르면서 1400원에 근접한 바 있다.
과거 원‧달러 환율이 1400원을 넘긴 것은 1997년(IMF 외환위기), 2008년(글로벌 금융위기), 2022년(레고랜드 사태+미국 금리인상)뿐이었다.
식품기업들은 짧게는 3개월에서 길게는 9개월 가량 밀, 대두유 같은 수입 원재료 재고를 비축해둔다.
하지만 올 들어 5개월째 달러 강세가 지속되면서 올 하반기부터는 환율 상승에 따른 원재료 비용 부담이 소비자 가격에도 전가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식품업계 한 관계자는 “환율 상승에 더해 식품기업들이 많이 사용하는 카카오, 커피 원두, 올리브유, 설탕 등 주요 원재료 가격이 계속 오르는 추세라 원가 부담이 커지는 상황”이라며 “오름세가 계속되면 소비자 가격도 올려야 하는데 정부나 소비자 여론이 부정적이라 눈치를 볼 수 밖에 없다. 일단 추이를 지켜보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수출 비중이 높은 식품기업들도 마냥 웃을 수 만은 없는 상황이다. 작년 대비 개선된 실적은 내놓은 만큼 정부와 여론의 가격 인하 압박을 더 강하게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고물가 현상이 장기화되면서 정부에서는 식품, 외식업계를 대상으로 가격 인상 자제 및 인하 요청을 거듭하고 있다.
특히 지난달 총선에서 패배하고 대통령 지지율도 하락하고 있는 만큼 국민의 관심도가 높은 식품가격 등 민생 사안에 더욱 드라이브를 걸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한 식품기업 관계자는 “고물가 현상이 계속되는 상황에서 식품기업이 크게 이익을 냈다는 소식이 알려지면 일반 소비자들은 판매 가격을 올려서 이익을 냈다고 생각하기 쉽다”며 “반대로 얘기하면 가격 인하 여력이 크다고 인식할 수 있다. 특히 올해는 환율이나 원재료 수급 상황에 대한 불확실성이 크기 때문에 1분기만 보고 상황을 판단하기는 어렵다”고 설명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