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금융연구원이 연간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2.5%로 상향했다.
12일 한국금융연구원이 발표한 ‘2024년 수정 경제전망’에 따르면, 올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2.5%로 전망했다. 지난해 11월 전망치보다 0.4%포인트 상승한 수치다. 연구원은 “고금리·고물가 영향으로 민간 소비 회복이 완만하고, 건설투자가 부진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도 “반도체 위주로 수출 실적이 크게 개선되고 관련 설비투자가 증가하면서 실질 GDP 회복세가 나타날 것”이라고 했다.
연구원은 총수출 증가율이 5.3%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지난해 11월 전망치(2.6%)의 2배 이상이다. 연구원은 세계 교역이 완만히 회복하고 반도체 수요가 늘면서 수출이 개선될 것으로 분석했다.
총수집 증가율 전망치도 지난해 11월 전망치보다 1.3%포인트 상승한 3.7%로 내다봤다. 수출 관련 재화 수입 수요가 증가하고, 여행 서비스를 중심으로 서비스 수입이 늘어날 것이란 게 연구원 설명이다.
반면 민간 소비 증가율은 지난해 11월 전망치(2%)보다 낮춰 잡은 1.7%로 전망했다. 올 1분기 민간 소비가 전기보다 0.8% 증가했지만, 고물가·고금리 장기화로 소비 여력이 제약될 것으로 예상됐다. 경제 여건에 대한 불확실성도 소비 심리 회복을 지연시키는 요인으로 꼽았다.
설비투자와 건설투자 증가율은 각각 3.7%, -2.4%로 예상했다. 설비투자는 지난해 11월 전망치보다 상향됐지만, 건설투자는 하향 조정됐다. 반도체 관련 설비 투자가 반등할 것이지만, 건설투자의 경우 급격한 금리 인상과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화, 역전세, 주택시장 조정 등 부정적 요인이 크다고 봤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 상반기 2.9%, 하반기 2.4%로 점차 둔화될 것으로 전망됐다.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하반기 하락세를 나타냈다. 하지만 중동지역의 지정학적 위험이 확대되면서 원자재 가격이 불안정해지고 신선식품 가격이 급등해 올해 다시 3% 내외로 올라섰다.
국고채 3년물 연평균 금리 전망치는 3.4%였다. 미국의 근원 소비자물가지수가 안정될 때까지 3% 중반대를 유지하다가, 하반기 미국 연방주비제도(Fed·연준)의 정책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가 강화되면서 국내 금리도 하향 안정될 것이라고 예상됐다.
올해 경상수지 흑자 규모는 576억달러로 확대되고, 연평균 원·달러 환율은 1355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