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 11개 건설사의 책임준공 약정액이 61조 원에 달한다는 추산이 나왔다. 책임준공 약정액이 1년 만에 5%나 증가한 상황에서 공정지연 현장도 전체의 30%를 넘기면서 우발채무 현실화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나이스신용평가는 9일 ‘건설사 책임준공 의무, 가중되고 있는 책임의 무게’ 보고서에서 지난해 말 기준 주요 11개 건설사의 책임준공 약정액을 집계한 결과 2022년(약 58조 원) 대비 5% 증가한 약 61조 원에 달했다고 밝혔다. 집계 대상으로 삼은 주요 11개 건설사는 현대건설과 GS건설, 포스코이앤씨, 롯데건설, 대우건설, HDC현대산업개발, DL이앤씨, KCC건설, SK에코플랜트, 코오롱글로벌, HL디앤아이한라다. 나신평은 “부동산 경기침체가 장기화되면서 고위험군인 직접 프로젝트파이낸싱(PF) 보증에서 저위험군인 책임준공 약정으로까지 부정적인 영향이 확대되고 있는 만큼 책임준공 약정이 건설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전반적인 검토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나신평은 공정 지연으로 책임준공 약정 미이행 현장이 등장하는 점도 경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나신평이 취합한 11개 건설사의 책임준공 약정 현장 중 도급사업 현장의 32.3%가 공정지연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각종 파업과 코로나19, 금리인상 등으로 다수의 현장에서 공정이 늦춰지고 있는 가운데 최근 도급 증액 갈등까지 불거지면서 공정 지연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에만 HDC현대산업개발과 새천년종합건설, DL건설, 신세계건설, 남광토건 등이 책임준공 기한을 준수하지 못했다. 올해 들어서도 GS건설과 동양, 범양건영, 까뮤이앤씨, 금호건설 등에서 책임준공 미이행이 발생했다. 나신평은 “그동안 상대적으로 위험도가 낮은 것으로 분류됐던 건설사 책임준공 약정과 관련해 추가적인 자금 소요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은 건설업황에 부정적인 요인”이라며 “책임준공 리스크가 현실화할 경우 상대적으로 재무적 여력이 취약한 중소형 건설사는 심각한 자금 압박 상황에 직면할 수 있고 유동성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대형 건설사나 그룹 계열 건설사도 자금 부족 상황이 심화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