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가족돌봄휴가 ‘반차’로 나눠쓴다…정부, 일·가정양립 고삐

서울경제 조회수  

가족돌봄휴가 '반차'로 나눠쓴다…정부, 일·가정양립 고삐
2월 5일 서울 한 초등학교에서 학생들이 돌봄교실에 참여하기 위해 들어서고 있다. 연합뉴스

연간 최장 10일 사용할 수 있는 가족돌봄휴가를 반나절 단위로 나눠쓸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정부가 검토하고 있다. 가족돌봄휴가가 도입됐던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한 번에 1~2주일의 돌봄 기간이 필요했던 것과 달리 일반적인 긴급 돌봄 수요는 간헐적으로 발생한다는 점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이외에도 정부는 출산휴가·육아휴직·유연근무 등을 활성화해 일·가정이 양립하는 근로문화를 만드는 데 저출생 정책 역량을 집중할 것으로 알려졌다.

8일 서울경제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와 고용노동부 등은 가족돌봄휴가를 근로자가 원하는 대로 나눠 쓸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양립에 관한 법률’의 관련 규정상 일 단위로 사용할 수 있다는 조항을 바꿔 반차나 반반차가 가능하도록 세분화하는 방식이다. 가족을 장기간 돌봐야 할 때는 최장 90일을 쓸 수 있는 가족돌봄휴직이 있어 간헐적으로 생기는 응급 상황에는 가족돌봄휴가를 쪼개서 쓰는 게 낫다는 요구를 반영한 결과다.

김나영 육아정책연구소 연구위원은 “아이를 키우다 보면 예방접종을 맞추거나 갑자기 아픈 것처럼 긴급히 대응할 일이 많다”며 “장기간 자리를 비우는 휴직과 달리 이런 상황은 몇 시간만 내면 해결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런 형태의 휴가가 사업에 지장을 초래한다고 보긴 어렵지 않겠느냐”며 “부모의 긴급 돌봄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가족돌봄휴가 사용을 유연화하는 것 외에도 △출산휴가 △육아휴직 △육아기 단축근무 △출퇴근 시차제 등 다양한 제도의 실효성을 높일 방침이다. 일·가정 양립이 출산율을 높이는 데 가장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주형환 저고위 부위원장은 최근 아빠 출산휴가를 현행 10일에서 20일로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주말까지 고려하면 사실상 한 달 가까이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셈이다. 정부는 또 현행 월 150만 원인 육아휴직 급여 상한액을 상당 수준 인상할 것으로 알려졌다. 육아휴직 사용이 쉽지 않은 중소기업에 대해서는 연말까지 맞춤형 ‘워라밸 정책 모델’을 개발해 근로자들의 일·가정 양립을 지원할 계획이다.

전문가들은 현장의 일하는 문화가 함께 바뀌어야 이 같은 제도 변경이 효력을 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일·가정 양립 제도를 갖춰도 사업체와 근로자가 이를 인식하지 못하거나 업무 여건상 눈치를 보며 쓰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실제로 통계청이 사업체 5000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전체의 44.4%는 가족돌봄휴가 제도에 대해 “잘 모른다”고 응답했다. 홍석철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는 “중소기업의 경우 영세해서 혹은 여건이 안 돼서 육아휴직·돌봄휴가 등을 원활히 제공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그는 또 “이러한 업체들도 유연한 근무 제도를 택하도록 인센티브를 제공해야 한다”며 “법인세 감면과 같은 파격적인 혜택을 줘야 근로 문화가 바뀔 것”이라고 조언했다.

서울경제
content@newsbell.co.kr

댓글0

300

댓글0

[경제] 랭킹 뉴스

  • 올림픽 맛있게 응원하자…집관족 취향저격 ‘올림픽 에디션’
  • 서울 아파트 낙찰가율 93.7%...1년 11개월 만에 최고점 찍었다
  • 질병청 '성인 패혈증 초기치료지침' 첫 발간
  • 불량 자재 탓에 에어컨 없이 폭염 견디는 송도 '송일국 아파트'
  • 불량 자재 탓에 에어컨 없이 폭염 견디는 송도 '송일국 아파트'
  • 8월 극장가 '재개봉 러시'…인생영화 다시 스크린으로

[경제] 공감 뉴스

  • 케이뱅크, MY체크카드 90만장 넘었다..."인뱅 유일 K 패스 기능 탑재"
  • 삼정KPMG “디지털 헬스케어 활성화에 슬립테크 부상”
  • ‘나는 솔로’ 21기 최종 선택 대반전…순자, 영철 직진에도 선택 포기
  • "‘용인 스마일 보이’ 우상혁이 웃었다"...이상일 용인특례시장, 높이뛰기 우상혁 선수 '응원'하고 '격려'
  • 삼성자산운용, 공식 유튜브 채널 정보 시리즈 인기몰이
  • NH농협은행, 농촌 학생들과 '초록사다리 여름캠프' 개최

당신을 위한 인기글

  • “캐스퍼 차주들 오열” 이 차 나오면 무조건 바꾼다 선언!
  • “오토바이 싹 다 난리” 정부, 이제 오토바이 제대로 잡겠다 선언!
  • “쉐보레 스파크가 돌아왔다!” 전기 SUV로 변모한 스파크의 근황
  • “포터·봉고 발등에 불 떨어졌다” 르노, 볼보와 합작 전기 화물차로 정면승부
  • “현대차그룹이 진짜로 월클?” 글로벌 자동차 시장 빅3된 현대차그룹
  • “고속도로에서 다들 이런 거야?” 연휴 노린 귀향길의 얌체족들
  • “주유소에서 멧돼지 바베큐 할 뻔” 운전자들, 하다 하다 주유소도 조심해야 하나
  • “이젠 비트코인도 압류?” 과태료 체납자, 돈 숨겨도 다 털릴 예정!

함께 보면 좋은 뉴스

  • 1
    유물이 된 쓰레기…미래 향한 경고문

    뉴스 

  • 2
    ‘이은형♥’ 강재준 붕어빵아들 안타까운 근황, “많이 힘들어 보이네”

    연예 

  • 3
    '동화 우승→813억에 첼시 이적→유리몸 전락' 완전히 잊혀진 DF 결국 떠난다…런던 라이벌이 노린다

    스포츠 

  • 4
    '서밍' 논란 후 KO 펀치 허용→UFC 전 미들급 챔피언 아데산야 또 졌다! '충격의 3연패'

    스포츠 

  • 5
    권성동 ‘말바꾸기’이재명에 “악어의 눈물…野 삭감예산 원상복구가 시작”

    뉴스 

[경제] 인기 뉴스

  • 올림픽 맛있게 응원하자…집관족 취향저격 ‘올림픽 에디션’
  • 서울 아파트 낙찰가율 93.7%...1년 11개월 만에 최고점 찍었다
  • 질병청 '성인 패혈증 초기치료지침' 첫 발간
  • 불량 자재 탓에 에어컨 없이 폭염 견디는 송도 '송일국 아파트'
  • 불량 자재 탓에 에어컨 없이 폭염 견디는 송도 '송일국 아파트'
  • 8월 극장가 '재개봉 러시'…인생영화 다시 스크린으로

지금 뜨는 뉴스

  • 1
    [ET시론] 한국형 AI 정책은 진지 구축이 먼저다

    차·테크 

  • 2
    폭스바겐 ID.4, 수입 전기차 최대 보조금…“3000만원 후반대부터”

    차·테크 

  • 3
    [문화 인터뷰] 인천 피아노 미래들 “기억되는 연주자 될래요”

    뉴스 

  • 4
    LG 정우영, 새 훈련법과 등번호로 재기 노린다

    스포츠 

  • 5
    최가온, 클로이 김과의 치열한 경쟁 속에 은빛 메달

    스포츠 

[경제] 추천 뉴스

  • 케이뱅크, MY체크카드 90만장 넘었다..."인뱅 유일 K 패스 기능 탑재"
  • 삼정KPMG “디지털 헬스케어 활성화에 슬립테크 부상”
  • ‘나는 솔로’ 21기 최종 선택 대반전…순자, 영철 직진에도 선택 포기
  • "‘용인 스마일 보이’ 우상혁이 웃었다"...이상일 용인특례시장, 높이뛰기 우상혁 선수 '응원'하고 '격려'
  • 삼성자산운용, 공식 유튜브 채널 정보 시리즈 인기몰이
  • NH농협은행, 농촌 학생들과 '초록사다리 여름캠프' 개최

당신을 위한 인기글

  • “캐스퍼 차주들 오열” 이 차 나오면 무조건 바꾼다 선언!
  • “오토바이 싹 다 난리” 정부, 이제 오토바이 제대로 잡겠다 선언!
  • “쉐보레 스파크가 돌아왔다!” 전기 SUV로 변모한 스파크의 근황
  • “포터·봉고 발등에 불 떨어졌다” 르노, 볼보와 합작 전기 화물차로 정면승부
  • “현대차그룹이 진짜로 월클?” 글로벌 자동차 시장 빅3된 현대차그룹
  • “고속도로에서 다들 이런 거야?” 연휴 노린 귀향길의 얌체족들
  • “주유소에서 멧돼지 바베큐 할 뻔” 운전자들, 하다 하다 주유소도 조심해야 하나
  • “이젠 비트코인도 압류?” 과태료 체납자, 돈 숨겨도 다 털릴 예정!

추천 뉴스

  • 1
    유물이 된 쓰레기…미래 향한 경고문

    뉴스 

  • 2
    ‘이은형♥’ 강재준 붕어빵아들 안타까운 근황, “많이 힘들어 보이네”

    연예 

  • 3
    '동화 우승→813억에 첼시 이적→유리몸 전락' 완전히 잊혀진 DF 결국 떠난다…런던 라이벌이 노린다

    스포츠 

  • 4
    '서밍' 논란 후 KO 펀치 허용→UFC 전 미들급 챔피언 아데산야 또 졌다! '충격의 3연패'

    스포츠 

  • 5
    권성동 ‘말바꾸기’이재명에 “악어의 눈물…野 삭감예산 원상복구가 시작”

    뉴스 

지금 뜨는 뉴스

  • 1
    [ET시론] 한국형 AI 정책은 진지 구축이 먼저다

    차·테크 

  • 2
    폭스바겐 ID.4, 수입 전기차 최대 보조금…“3000만원 후반대부터”

    차·테크 

  • 3
    [문화 인터뷰] 인천 피아노 미래들 “기억되는 연주자 될래요”

    뉴스 

  • 4
    LG 정우영, 새 훈련법과 등번호로 재기 노린다

    스포츠 

  • 5
    최가온, 클로이 김과의 치열한 경쟁 속에 은빛 메달

    스포츠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