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ㆍAMRO, 올해 물가 상승률 2.5~2.6%ㆍ내년 2.0% 제시
물가 안정화 시 통화당국 금리인하 가능성 커…소비ㆍ투자엔 긍정적
기후이상ㆍ중동위기ㆍ고환율 등 물가 상승 불확실성 요인 여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등 주요 경제 기관들이 올해를 기점으로 한국의 물가 안정화를 예상하면서 내수 회복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물가 안정 목표치인 2.0%에 근접하는 수준으로 물가 상승률이 하항세를 보인다면 고물가로 억눌린 고금리 기조가 완화돼 소비 등의 내수 경기가 진작될 수 있어서다.
7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OECD는 2일 ‘5월 세계경제전망’ 발표를 통해 우리나라의 올해 연간 물가 상승률 전망치로 2.6%를 제시했다.
이는 올해 2월 제시된 종전 전망치(2.7%)보다 0.1%포인트(p) 하향조정된 것이며 올해 주요 20개국(G20) 물가 상승률 전망치(5.9%)보다 크게 낮은 수치다.
특히 OECD는 내년 한국 물가 상승률이 올해보다 낮은 2.0%를 기록할 것으로 예측했다.
이에 대해 기획재정부는 “내년에는 물가 안정 목표치인 2.0%로 회귀할 것을 전망한 것“이라며 ”물가 안정기조가 확고히 안착될 것임을 시사한다”고 밝혔다.
아세안+3(한중일) 거시경제조사기구(AMRO)는 OECD보다 낮은 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제시했다.
AMRO는 지난달 26일 한국 연례협의 보고서를 통해 “올해 한국의 물가 상승률이 단기 인플레이션 기대치의 점진적인 하락 등에 따라 작년(3.6%)보다 1.1%p 감소한 2.5%로 완화될 것”이라고 밝혔다. 내년에는 물가상승률이 2.0%로 확 떨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정부 역시 올해를 기점으로 물가 안정화가 본격화할 것으로 보고 있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달 “올해 물가 상승률이 상반기 3% 안팎에 머물러 있다가 하반기에 2%대 초중반으로 하향 안정화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를 반영하듯 작황 부진에 따른 농산물 가격 강세와 국제유가 상승세로 3%대를 지속해온 물가상승률이 지난달에는 3개월 만에 2%대(2.9%)로 내려갔다. 추세적인 물가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농산물 및 석유류 지수 제외) 상승률은 이보다는 낮은 2.2%를 기록했다.
올해 물가 안정화가 가시화하면 수출과 달리 부진한 흐름을 보이고 있는 소비 등 내수 경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물가가 하향세를 지속하면 통화당국이 금리인하 카드를 꺼낼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금리 인하는 시장의 자금조달 여건을 제고해 소비, 투자 확대로 이어질 수 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최근 현안 분석 보고서를 통해 “연내 중 수출 회복이 예상보다 빠르게 진행되거나 올해 하반기에 정책금리 인하가 단행된다면 이에 따른 내수 회복세가 가시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했다.
다만 물가 불확실성은 여전하다. 지난해 사과 등 농산물 가격 강세를 키운 이상기후가 올해에도 나타나고, 국제유가 변동성 확대 요인인 중동 위기가 다시 고조되면 물가가 다시 뛸 수 있어서다. 고환율(원화대비 달러 강세) 기조도 물가 상승 요인으로 꼽힌다.
김정식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는 “고환율, 고유가가 유지되면 3%로 다시 높아진다고 봐야 한다”며 “11월 미국 대선이 있기 때문에 중동 사태가 소강으로 접어들 수 있지만 전쟁은 알 수 없다. 대외 요인에 따른 국내 충격을 최소화하는 정책을 써야 한다. 관세를 낮추고 공공요금 인상을 환율 안정까지 미루는 방안이 있다”고 말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