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도서가 = 북에디터 정선영] “참… 늘 새롭네요.”
기타 선생님의 말이다. “어느 날은 좀 는 것 같다가, 또 어느 날은 원점으로 되돌아가고….”
정확히 내가 하고 싶은 말이다. 어느 날은 “오오, 나 좀 되는 거 같은데?!” 싶다가도 어느 날은 “아 왜 왜 왜 또…!” 울상을 짓는다. 분명히 수십 번(수백 번이라고까진 못 하겠다)은 연습한 코드와 코드 전환인데도 무시로 새롭다.
최근 몇 주, 기타 선생님은 툭하면 박자를 놓치는 내 코드 전환을 교정하려고 애썼다. 기타를 배운 지 1년 반이 다 되어가지만 여전히 코드 전환을 버벅대기 때문이다. 4마디 연주도 버겁다.
메트로놈을 켜고 그 박자에 최대한 귀기울여 보지만 손이 잽싸게 움직여주지 않는다. 이런 나를 두고 선생님은 “모기는 어떻게 잡냐”고 “여유가 충만하다”고 할 정도다.
멜로디 연주가 되려면 각 코드 사이 물 흐르듯 자연스러운 전환은 필수적이다. 그런데 손가락 움직임이 뻣뻣하고 잽싸지 못하니 연주가 될 리 만무하다.
사실 나는 성격이 급한 편이다. 그런 것에 비해 몸놀림은 잽싸지 않다. 순발력이 떨어지는 것은 물론 반사신경도 둔하다.
돌이켜보니 어릴 때부터 순발력과는 거리가 멀었다. 학창 시절 체력장이라도 하는 날에는 그게 더 두드러졌다. 미니 고깔을 양쪽에 두고 왕복 달리기를 하는 것으로 순발력을 측정할 때 좋은 기록을 받은 기억이 없다. 제때 발을 멈추고 방향을 전환하는 게 내겐 특히 어려운 일이었다.
따지고 보면, 기타 코드 전환만 어려운 건 아닌 듯하다. 북에디터 일이란 기획과 편집을 동시에 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 전환에 나는 시간이 좀 걸리는 편이다. 특히나 여러 원고를 동시에 편집하는 경우 한 가지 원고에 집중하다 다른 원고를 보면 예열 시간이 좀 필요하다. 각 원고가 가진 고유의 특성에 나를 동기화시키는 데 시간이 좀 걸려서다.
연차가 낮을 때는 급한 성격 탓에 발을 동동 굴렀다. 쉽사리 전환되지 않는 나를 보며 답답해하고 심할 땐 한심해하기도 했다. 그런데 그렇게 작업한 책은 그 결과물이 나 스스로도 만족스럽지 않을 때가 많았다.
그때는 잘 몰랐지만, 연차가 쌓일수록 일에 요령이 생긴다. 지금 생각해보면 꼬꼬마 에디터 시절 내게 필요한 것은 조급증을 버리고 마음의 여유를 갖고 과정 하나하나에 좀 더 정성을 기울이는 게 아니었을까 생각해본다.
그렇다. 내가 챙겨보는 유튜브 속 기타리스트도 순발력을 타고나 처음부터 잽싸게 코드 전환을 하고 물 흐르듯 연주하는 건 아닐 것이다. 연차가 쌓인 결과다.
나중에 결과가 만족스러우려면 지금 이 조급증을 버리고, 순발력이 없다고 울상을 짓는 대신 연습을 아주 많이 꾸준히 해야 한다. 그러다 보면 언젠가 여유가 충만하면서도 순발력 있는 연주가 되겠지. 그런 날을 고대해본다.
|정선영 북에디터. 마흔이 넘은 어느 날 취미로 기타를 시작했다. 환갑에 버스킹을 하는 게 목표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