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년 동기 대비 9500억↑
지연되는 금리 인하 시점
국내 5대 은행이 가계와 기업에 내준 대출에서 발생한 부실채권이 최근 한 해 동안에만 1조원 가까이 불어나면서 5조원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금리와 경기 침체 장기화로 대출자들의 빚 상환 여력이 갈수록 악화하는 형국이다. 앞으로도 높은 수준의 금리가 상당 기간 유지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부실에 대한 고민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1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은행이 실행한 대출에서 발생한 고정이하여신 잔액은 지난 1분기 말 기준 4조775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4.9%(9512억원) 늘었다.
은행은 대출채권 상태를 정상·요주의·고정·회수의문·추정손실로 구분한다. 이중 고정·회수의문·추정손실을 묶어 구분하는 부실채권은 3개월 이상 연체돼 사실상 떼인 돈으로 볼 수 있다.
은행별로 살펴보면 국민은행이 1조2549억원으로 53.6% 늘어나며 증가 폭이 가장 컸다. 이어 ▲농협은행(1조1633억원·34.2%) ▲우리은행(6750억원·22.1%) ▲하나은행(8150억원·19.6%) 등의 순으로 뒤를 이었다. 신한은행만 8670억원으로 4.3% 감소했다.
이처럼 부실채권이 급증한 배경엔 고금리 환경이 자리하고 있다. 앞서 한국은행은 지난 2021년 8월 0.50%였던 기준금리를 지난해 1월까지 10차례 인상해 3.50%로 급격히 끌어올렸다. 이후 같은 해 2월부터 10차례 연속 기준금리가 동결됐지만, 대출자들이 감당하기에는 여전히 높은 수준이 유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치솟은 금융비용과 경기 둔화에 따른 매출 감소로 대출자들의 채무 상환 여력은 갈수록 악화하고 있다.
특히 은행들은 부실채권을 장부에서 지워내며 건전성 관리에 나서고 있지만 새로운 부실이 더 빠르게 발생하고 있다. 실제 지난 1분기 5대 은행이 단행한 상·매각 규모는 1조6045억원으로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89.5% 증가했다. 은행은 회수 가능성이 낮은 부실채권을 장부에서 손실(상각) 처리하거나, 자산유동화전문회사 등에 헐값에 매각해 건전성을 관리한다.
앞으로도 은행의 대출채권에서 부실화가 계속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올해 들어 미국 물가가 강한 오름세를 보이고 있어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긴축이 시장의 예상보다 오래 지속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이에 미국과 보조를 맞춰야 하는 한은의 기준금리 인하 시점도 지연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현재 한·미 금리 차는 역대 최대인 2.0%포인트까지 벌어진 상태다. 한은이 미국보다 금리를 먼저 인하해서 외국인투자자의 자금 유출과 환율 변동성을 키울 이유가 없는 상황이다.
여기에 더해 올 1분기 우리나라 경제가 ‘깜짝 성장’을 하면서 현 강도의 긴축을 더 오래 유지할 여건이 조성되는 모습이다. 지난 1분기 국내총생산(GDP)은 전분기 대비 1.3% 상승했다. 이는 지난 2021년 4분기(1.4%) 이후 9분기 만에 최고치다. 수출 개선이 이어지고 부진했던 내수가 다소 회복된 영향으로 분석된다.
정성태 삼성증권 연구원은 “한은이 10월과 11월 두 차례 금리를 인하할 것으로 전망한다”며 “우리나라 성장이 전적으로 수출에서 비롯되며 소비와 투자는 부진하고, 미 연준의 첫 금리 인하 시점을 9월로 전망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