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배출량 감축 위해 필요한 기후기술 기업 성장 지원
펀드로 투자 시 기후기술 보유 중소·벤처기업 투자 비율 의무화
혁신성장펀드·성장사다리펀드 이어 9조 원 투자방안 일환
“불확실성 크고 단기간 성과 어려운 기후기술분야 성장 지원”
6개 은행이 2023년까지 총 3조 원 규모의 기후기술펀드를 조성해 기후기술 분야에 투자하기로 했다. 상반기 중 모펀드를 결성하고 내년 초까지 자펀드 결성을 완료해 본격적으로 투자를 집행할 계획이다.
30일 금융위원회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기후기술펀드 조성 협약을 맺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식은 지난달 발표한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금융지원 확대방안’의 두 번째 후속조치다. 앞서 이달에는 해상풍력 등을 포함한 신재생에너지 설비 증설에 모험자본을 공급하는 미래에너지펀드 조성 협약식을 진행했다.
기후기술이란 온실가스 감축 및 기후변화 적응과 관련된 기술로, 기후기술 산업은 탄소중립 혁신기술 확보와 상용화를 선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는 기후기술을 에너지(클린)·탄소포집(카본)·환경(에코)·농식품(푸드)·기후적응(지오테크) 등 총 5개 분야로 분류해 제시한다. 기후기술 기업은 공공재적 성격을 갖고 있어 국가, 정책금융기관 등의 선도적 투자가 필요하다는 특징이 있다.
기후기술펀드는 기업은행과 5대 시중은행(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은행)의 출자를 기반으로 2030년까지 총 3조 원 규모로 조성된다. 기업은행이 2625억 원(25%), 5개 은행이 각 1575억 원(각 15%)을 출자해 5단계에 걸쳐 1조500억 원의 출자약정으로 모펀드를 조성한다. 한국성장금융이 모펀드 출자금액을 마중물 삼아 민간자금 1조9500억 원을 매칭해 총 3조 원을 자펀드로 조성한다. 이후 국내 기후기술 기업에 투자하는 방식으로 운용될 예정이다.
투자대상은 국내 기후기술분야가 초기 경제성 문제로 성장 초기 단계인 점을 고려해 최대한 넓게 인정할 방침이다. 과기부 등 주요 부처의 기후기술 기준을 폭넓게 수용하는 방식으로 주목적 투자대상으로 인정한다. 펀드는 기후기술 기업의 특성에 따라 초기 성장 기업, 스케일업 단계, 우수 기업 등 세 가지로 구분해 지원한다.
금융당국은 3조 원 규모 기후기술펀드를 비롯해 혁신성장펀드(5조 원), 성장사다리펀드(1조 원)로 2030년까지 총 9조 원 규모로 기후기술 분야 선점을 위해 투자할 계획이다.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기후기술은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이자 미래 먹거리”라며 “정부와 민간이 함께 기후기술펀드를 포함해 2030년까지 기후기술 분야에 총 9조 원을 투자하는 대응방안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이어 김 위원장은 “기후기술펀드가 적극적으로 투자처를 발굴해 불확실성이 크고 단기간에 성과를 내기 어려운 기후기술 분야의 성장을 돕는 인내자본의 역할을 수행해주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기후기술펀드는 상반기 중 모펀드 운용계획을 수립, 설정한 후 자펀드 운용사 선정을 통해 내년 초까지 자펀드 결성을 완료할 계획이다. 본격적인 투자는 2025년 3월부터 개시할 예정이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