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계가 아날로그에서 벗어나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인공지능(AI) 기술을 적용한 ‘스마트홈’이 적용된 아파트 시공에 공을 들이고 있다. 주거 공간에 대한 수요자들의 다양한 요구를 반영하고 편의성을 향상시켜 상품성을 강화하기 위한 행보로 풀이된다.
28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건설사들이 자사 시공 아파트에 스마트홈 기술을 적극 도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홈은 AI 등 빅데이터 기반의 플랫폼을 아파트 내 주거 공간에 연동해 주거 편의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켜주는 기술이다. 최근 소비자들의 니즈와 선호가 높아지면서 건설사들이 상품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흐름이다.
먼저 삼성물산 건설부문은 스마트 홈플랫폼 ‘홈닉’을 출시했다. 홈닉은 디지털 스마트홈 서비스∙커뮤니티 시설 예약∙문화 생활∙건강 관리 등 주거생활의 모든 서비스를 하나의 앱으로 이용할 수 있는 홈플랫폼이다. 최근에는 국내 주택관리 업체인 우리관리와 업무협약을 체결하는 등 서비스 확대를 추진 중이다.
현대건설은 SK텔레콤과 협약을 맺고 스마트홈 플랫폼 ‘하이오티(Hi-oT)’를 개발했다. 최근에는 국내 전기차와 충전기 보급 확대 기조에 발맞춰 공동주택 내 전기차 충전용 전력 인프라를 자유로이 확충할 수 있는 통합 솔루션도 구축했다. 또 공동주택 준공·입주 후에도 전기차 충전기 증설에 어려움이 없도록 선제적인 대응안을 마련해 설계에 반영·시공키로 했다.
포스코이앤씨는 노인과 장애인을 위한 특화 스마트홈 서비스를 개발했다. 기존 스마트홈 서비스가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나 장애인이 쓰기엔 어려움이 있다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 AI와 IoT를 활용해 공동주택 안에서 자립적인 일상생활이 가능하도록 돕고, 응급상황시 가족과 지인에게 정보를 자동 전달하는 ‘AiQ스마트케어’ 서비스도 제공한다.
또 시각 능력에 어려움을 겪는 입주자 상황에 맞게 음성지원과 점자전용 화면·패드를 적용했다. 청각 능력이 약한 경우에도 방마다 설치된 스마트 스위치가 방문자 호출이나 비상상황을 알린다.
공공 영역에선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LH는 올해부터 입주하는 모든 신축 공공임대주택에 스마트 홈 서비스를 전면 적용하기로 결정했다. 기존 분양 물량에만 적용하던 서비스 대상을 공공임대 물량까지 확대하면서 상대적으로 떨어지던 주거 편의성을 끌어올릴 것으로 기대된다. 입주자는 지난해 12월부터 서비스를 시작한 ‘홈즈’ 앱을 설치하면 38가지 스마트 홈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특히 눈에 띄는 건 ‘고독사 방지’ 기능이다. 홈즈 앱은 가구별 수도·전기·가스 사용횟수와 사용량을 분석해 고독사 징후가 있는 가구가 있을 경우 통제실에 알림을 보낸다. 65세 이상 고령 1인가구의 임대주택 거주 비율이 16.7%에 달하는 점을 고려해 LH가 도입한 서비스다.
한 대형건설사 관계자는 “스마트홈은 더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라며 “건설사마다 상품성 강화를 위해 기술개발에 공을 들이고 있다. 향후 관련 시장이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다양한 협업을 통한 주거 편의성 강화 트렌드는 지속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 의협, 강성 회장 휘하 재정비…“의대 증원 백지화 전까지 타협 없다”
- 세븐일레븐, 잠실 9개 점포 ‘포켓몬’으로 꾸민다
- 생물작용제 독소 보안관리 책임 구체화…산업부, 지침 제정
- ‘SNL’도 떨게 한 기안84…담배 불붙인 장면, 연기가 아니었다?
- 하마스, 남성 인질 2명 영상 추가 공개…“휴전·인질 협상 타결 희망”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