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6월→7월→편입’ 채권 전문가가 보는 9월 편입 가능성은 [WGBI, 환율 방파제③]

이투데이 조회수  

시장선 9월 ‘WGBI’ 편입 기대…일각 “빨라야 내년 3월 가능성”

출처=자본시장연구원

‘6월 국제예탁결제기구(ICSD) 유로클리어·클리어스트림와 국채통합계좌 시작 → 7월 외환시장 개방 → 9월 WGBI 편입.’

시장 전문가들이 한국의 9월 세계채권지수(WGBI) 편입이 가능하다고 보는 최상의 시나리오다. 국채통합계좌와 외환시장 개방을 발판으로 외국인 투자 접근성을 대폭 낮추면, 9월 편입까지 매끄럽게 진행될 수 있다는 계획이다.

한국은 2022년 9월 FTSE 러셀의 WGBI 편입을 위한 관찰대상국 지위에 올랐다. FTSE 러셀은 매년 3월과 9월이면 관찰대상국을 대상으로 WGBI 편입 여부를 결정한다. 편입 관찰대상국에 등록된 이후 한국은 2023년 3월과 9월, 올해 3월까지 조기편입이 3차례 불발된 바 있다.

해외 사례를 보면 통상 관찰대상국 등재 이후 편입까지 2년 내외가 걸린다. 9월이면 한국은 관찰대상국에 오른 지 딱 2년을 채운다. 그동안 한국은 WGBI 편입이 불발될 때마다 다음 평가로 기대감이 옮겨갔지만, 이제 더는 미룰 수 없다. 고강도 긴축과 중동의 지정학적 위험이 고조되자 원화 약세가 가속화하고 있어서다.

WGBI의 편입을 위해서는 국채 발행 잔액, 국가 신용등급, 시장 접근성 3가지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 한국은 발행잔액 액면가 기준 500억 달러 이상, 신용등급이 S&P 기준 A- 이상으로 정량조건 2가지는 충족했지만, 정성조건인 시장접근성에서 미흡하다고 판단된다.

정성조건은 ‘시장접근성 레벨2’지만, 현재 한국은 레벨1에 머물고 있다. 이는 FTSE러셀이 외국인들의 한국 투자에 불편함이 있는지 주관적 요소로 평가한다. FTSE 러셀은 “한국이 국채 시장 접근성 제고를 위해 건설적인 소통을 나누고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라고 했다.

우리나라는 외국인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해 지난해부터 외국인 국채 투자소득에 비과세를 시행하고 있다. 지난해 6월에는 자본시장법 시행령을 개정해 외국인투자자 등록제(IRC)를 폐지했다.

오는 6월에는 국채통합계좌를 시행할 예정이다. 한국예탁결제원은 지난해 8월 국제예탁결제기구(ICSD)인 유로클리어·클리어스트림과 국채통합계좌 시스템 계약을 체결하고 오는 6월부터 시스템을 개시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국채통합계좌가 열리면 외국인투자자들은 개별 투자등록이나 증권투자 전용계좌를 개설하지 않고도 ICSD 통합계좌를 이용해 한국채 거래를 자유롭게 할 수 있다. 그동안 외국인 투자의 장애요인이었던 번거로운 과정을 해소하는 것이다.

정부의 의지도 강력하다. 지난달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은 5대 시중은행장들과 만나 7월부터 외환시장 운영 시간이 새벽 2시까지 연장되는 것과 관련해 초기 시장 조성과 외국 금융기관 참여 촉진을 위해 힘써달라고 요청했다.

조용구 신영증권 연구원은 “외국을 보면 통상 2년 정도 걸리는 게 중론인데, 우리나라는 2022년 9월 처음으로 관찰대상국으로 등재돼 이 부분도 충족한다”며 “기재부가 지난 2월부터 일본, 홍콩, 런던 등에서 열심히 세일즈하는 걸로 봐서 정부의 9월 목표는 분명해 보인다”고 했다.

제도 개선이 계획대로 진행되더라도 내년 3월로 다시 밀릴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임재균 KB증권 연구원은 “한국의 WGBI 편입은 빨라야 내년 3월”이라며 “한국의 국제예탁결제 시스템 부재와 폐쇄적인 환율 시스템을 고려하면 즉시 조건 충족은 어렵고 국채통합계좌의 실제 활용도에 따라 더 지연될 수도 있다”고 했다.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선임 연구위원은 “국채통합계좌와 외환거래시간 연장 효과를 충분히 지켜본 뒤 유의미한 변화가 있다고 판단될 때 지수 편입이 결정될 가능성이 더 높다”며 “이를 위해 9월은 빠듯하고, 내년 3월 편입이 좀더 우세해 보인다”고 전망했다.

이투데이
content@newsbell.co.kr

댓글0

300

댓글0

[경제] 랭킹 뉴스

  • “역대 정부와 동일하다고?” 尹부친 묘지 CCTV 설치되자 국민들 반응 ‘깜짝’
  • 30여 년 한 우물 파더니 “마침내 날개 달았다”…시대적 흐름에 ‘방긋’
  • “등록금보다 월세가 더 무서워요” 학부모들 곡소리 나오고 있다는 지역
  • 서울 아닌데도 연예인 100명이 거주하고 있다는 지역, 바로…
  • 한동안 방송서 안 보이던 ‘전설의 조동아리’ 멤버…이렇게 살고 있죠
  • “전국 760만명?”, “1인 100만원 상당?”…단비 같은 지원금 소식, 기대감 ‘활짝’

[경제] 공감 뉴스

  • 틈새시장 파고 들더니 “중국이 이럴 수가”…삼성·LG ‘초비상’
  • “100년을 버텨낸…” 두산이 재계의 최고 생존자로 불리는 진짜 이유
  • “독점 우려된다”…랜드마크 잃어버려 지역 반발 심각한 업계 현황
  • 경상수지 7개월째 흑자…역대 최저는 사실 ‘이때’였다고?
  • 서민 위해 할인했더니 “이럴 줄은 몰랐다”…편법이 판치자 ‘발칵’
  • 외할아버지 가르침? “27년 간 이어졌다”…회장님 ‘깜짝’ 등장, 대체 무슨 일?

당신을 위한 인기글

  • “군산서 중국차 생산 확정!” 택배차 싹 바뀔 다마스급 상용차
  • “한 달 주차료가 41만 원?” 미친 비용이지만 박수 받는 아파트 개정안
  • “렉스턴 결국 단종되나” 대신 ‘무쏘’ 이름 바꿔 달고 돌아올 가능성 제기
  • “스포티지 구매 후회 막심” 토레스 하이브리드, 스포티지보다 이게 더 좋다고?
  • “기아차 그대로 베꼈네” EV3 똑 닮은 중국 전기차 출시
  • “비싸도 어차피 사줄거잖아” 대안 없는 팰리세이드, 하이브리드 양산 임박
  • “하이브리드 무서워서 못 사겠네!” 스포티지 HEV, 주차 중 자체 발화
  • “그랜저 괜히 샀네” 신형 혼다 어코드, 더 날렵해진 디자인 공개

함께 보면 좋은 뉴스

  • 1
    2PM 이준호, '2025 팬콘' 타이베이 전석매진 성황리 성료

    연예 

  • 2
    '해외 팬덤 강세' 하이브 VS '국내 비중 높은' SM…'2024 케이팝 세계지도' 공개

    연예 

  • 3
    셰브론(CVX.N), 전면적인 구조 개편 추진

    뉴스 

  • 4
    스타벅스(SBUX.O), 사상 최대 규모 구조조정...관리직 1100명 감원

    뉴스 

  • 5
    하츠투하츠, 전세계 팬들과 첫 만남…공식 팬덤명 'S2U'(하츄) 발표

    연예 

[경제] 인기 뉴스

  • “역대 정부와 동일하다고?” 尹부친 묘지 CCTV 설치되자 국민들 반응 ‘깜짝’
  • 30여 년 한 우물 파더니 “마침내 날개 달았다”…시대적 흐름에 ‘방긋’
  • “등록금보다 월세가 더 무서워요” 학부모들 곡소리 나오고 있다는 지역
  • 서울 아닌데도 연예인 100명이 거주하고 있다는 지역, 바로…
  • 한동안 방송서 안 보이던 ‘전설의 조동아리’ 멤버…이렇게 살고 있죠
  • “전국 760만명?”, “1인 100만원 상당?”…단비 같은 지원금 소식, 기대감 ‘활짝’

지금 뜨는 뉴스

  • 1
    "제 손이 뚫려도 막아야죠"…선수가 돌진하면 자동으로 모서리를 감싼다 [곽경훈의 현장]

    스포츠 

  • 2
    보이넥스트도어, 첫 日 투어 성료 "열심히 준비해서 새 앨범으로 찾아오겠다"

    연예 

  • 3
    텐 하흐, 맨유 경질 이후 처음으로 속마음 밝히다…"그리운 곳? 바로 OT지"

    스포츠 

  • 4
    화이트데이 벚꽃 데이트를 위한 서울 근교 벚꽃 명소 베스트 4

    여행맛집 

  • 5
    의창구, 2025년 1월1일 기준 개별주택가격 검증 시작

    뉴스 

[경제] 추천 뉴스

  • 틈새시장 파고 들더니 “중국이 이럴 수가”…삼성·LG ‘초비상’
  • “100년을 버텨낸…” 두산이 재계의 최고 생존자로 불리는 진짜 이유
  • “독점 우려된다”…랜드마크 잃어버려 지역 반발 심각한 업계 현황
  • 경상수지 7개월째 흑자…역대 최저는 사실 ‘이때’였다고?
  • 서민 위해 할인했더니 “이럴 줄은 몰랐다”…편법이 판치자 ‘발칵’
  • 외할아버지 가르침? “27년 간 이어졌다”…회장님 ‘깜짝’ 등장, 대체 무슨 일?

당신을 위한 인기글

  • “군산서 중국차 생산 확정!” 택배차 싹 바뀔 다마스급 상용차
  • “한 달 주차료가 41만 원?” 미친 비용이지만 박수 받는 아파트 개정안
  • “렉스턴 결국 단종되나” 대신 ‘무쏘’ 이름 바꿔 달고 돌아올 가능성 제기
  • “스포티지 구매 후회 막심” 토레스 하이브리드, 스포티지보다 이게 더 좋다고?
  • “기아차 그대로 베꼈네” EV3 똑 닮은 중국 전기차 출시
  • “비싸도 어차피 사줄거잖아” 대안 없는 팰리세이드, 하이브리드 양산 임박
  • “하이브리드 무서워서 못 사겠네!” 스포티지 HEV, 주차 중 자체 발화
  • “그랜저 괜히 샀네” 신형 혼다 어코드, 더 날렵해진 디자인 공개

추천 뉴스

  • 1
    2PM 이준호, '2025 팬콘' 타이베이 전석매진 성황리 성료

    연예 

  • 2
    '해외 팬덤 강세' 하이브 VS '국내 비중 높은' SM…'2024 케이팝 세계지도' 공개

    연예 

  • 3
    셰브론(CVX.N), 전면적인 구조 개편 추진

    뉴스 

  • 4
    스타벅스(SBUX.O), 사상 최대 규모 구조조정...관리직 1100명 감원

    뉴스 

  • 5
    하츠투하츠, 전세계 팬들과 첫 만남…공식 팬덤명 'S2U'(하츄) 발표

    연예 

지금 뜨는 뉴스

  • 1
    "제 손이 뚫려도 막아야죠"…선수가 돌진하면 자동으로 모서리를 감싼다 [곽경훈의 현장]

    스포츠 

  • 2
    보이넥스트도어, 첫 日 투어 성료 "열심히 준비해서 새 앨범으로 찾아오겠다"

    연예 

  • 3
    텐 하흐, 맨유 경질 이후 처음으로 속마음 밝히다…"그리운 곳? 바로 OT지"

    스포츠 

  • 4
    화이트데이 벚꽃 데이트를 위한 서울 근교 벚꽃 명소 베스트 4

    여행맛집 

  • 5
    의창구, 2025년 1월1일 기준 개별주택가격 검증 시작

    뉴스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