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접근성이 좋은 경인지역을 중심으로 아파트 갭투자(매매가와 전세가 차이를 이용한 투자)가 성행하고 있다. 수도권 기준 아파트 전셋가는 지난해 6월 마지막 주부터 41주 연속 올라 가파른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전세가가 고공행진을 이어가자 이를 이용해 일부 지역에선 무(無) 갭투자까지 포착됐다.
14일 부동산 정보 플랫폼 ‘아파트실거래가’ 통계에 따르면 수도권(서울·경기·인천) 지역에서 최근 3개월(2월 1일 이후)간 갭투자가 몰린 지역 상위 10곳 가운데 서울은 한 곳도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갭투자가 가장 많은 곳은 경기 화성시로 총 52건의 갭투자가 이뤄졌다. 이어서 2위는 수원시 영통구 36건, 3위는 인천 서구 34건 등으로 집계됐다.
아울러 10위 권에는 시흥시(31건)와 남양주시(29건), 인천 연수구(26건), 하남시(25건), 안양 동안구(23건), 김포시(23건), 수원 권선구(21건) 등이 이름을 올렸다. 이들 지역은 서울과 가까우면서도 주거 환경이 우수한 신도시 지역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실제로 지난해 하반기 집값이 급락하면서 갭투자가 몰린 평택시는 최근 3개월 기준 집계에선 10위 권 밖으로 밀렸다.
이는 단순히 시세 차익을 노린 매수뿐 아니라, 실거주를 목적으로 집값이 더 오르기 전 내 집을 마련하려는 수요로 해석된다. 여기에 전세가가 빠르게 오르자 일단 전세를 안고 집을 사놓으려는 불안 심리도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시스템에 따르면 경기 화성시 ‘서동탄역파크자이2차’ 전용면적 84㎡형은 지난달 15일 5억3000만 원에 매매된 뒤 3억7000만 원에 전세 계약을 체결했다. 또 남양주시 ‘다산e편한세상자이’ 전용 84㎡형은 지난 2월 24일 8억5000만 원에 팔렸고, 사흘 뒤인 27일 전세 7억2500만 원에 신규 전세 계약서를 썼다. 인천 연수구 송도신도시에서도 지난 2월 ‘송도웰카운티1단지’ 전용 101㎡형이 전세 보증금 5억 원 계약서를 썼다. 갭은 1000만 원에 불과했다.
전세가가 치솟자 일부 지역에선 무갭투자도 확인됐다. 인천 서구 ‘우성’ 전용면적 84㎡형은 지난달 6일 2억5000만 원에 팔린 뒤, 같은 날 같은 값에 전세 계약을 맺었다. 또 시흥시 정왕동 ‘대림1단지’ 전용 59㎡형은 지난 2월 16일 2억4000만 원에 매매됐다. 이후 열흘 만에 매매가보다 1500만 원 비싼 전세 보증금 2억6000만 원에 계약서를 쓰면서 ‘마이너스 갭투자’가 발생했다.
최근 경인지역은 전세가율이 오르고 매매가는 정체하는 상황이 이어지면서 갭투자에 유리한 상황이 장기간 계속되고 있다. KB부동산 통계에 따르면 경기지역 아파트 전세가율은 지난달 기준 64.1%로 집계됐다. 인천 역시 64.9%로 두 지역 모두 지난해 1월 이후 최고 수준의 전세가율을 기록 중이다. 반면, 경기지역과 인천의 아파트 매매가격지수는 KB기준으로 2022년 9월 이후 줄곧 우하향하고 있다.
다만, 갭투자는 집값 상승기에 시세차익을 거두기 위한 매수법이므로, 집값 하락에 따른 보증금 반환 위험 등을 고려한 신중한 투자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온다.
고준석 연세대 경영대 상남경영원 교수는 “부동산 시장이 반등 기미를 보이자 서울 아파트 대비 초기 투자 금액이 덜 들어가는 경인지역 가운데 주거 환경이 좋은 곳에 최근 갭투자가 몰린 것”이라며 “하지만 집값이 상승하지 않을 경우 전세금 미반환 문제 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역세권이나 전·월세 수요가 많은 지역이 아니면 갭투자에 유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