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호조에 수출 고공행진…소비ㆍ투자 등 내수 둔화 지속
환율 1350선으로 치솟아…고물가ㆍ고금리 유지 악재 요인
수출과 내수 간 경기 회복 온도차가 뚜렷해지고 있는 모습이다. 수출은 반도체 경기 호조로 고공행진하고 있지만 고금리 기조 지속 여파로 소비를 중심으로 한 내수 부진이 지속되고 있어서다.
우려스러운 점은 고금리·고물가 장기화 속에 최근 고환율(원화 가치 하락)까지 겹쳐 내수 부진이 더 심화할 수 있다는 점이다.
10일 관세청 및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수출액은 565억6000만 달러로 1년 전보다 3.1% 늘어 6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핵심 주력 품목인 반도체 수출은 전년보다 35.7% 늘어난 117억 달러로 2022년 6월 이후 21개월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5개월 연속 증가세다.
인공지능(AI) 서버 투자 확대 등 IT 전방 산업의 수요 확대 흐름 속에서 낸드를 중심으로 반도체 단가가 상승하고 수출 물량도 늘어난 것이 주효했다.
3일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간담회를 가진 거시경제 전문가들은 인공지능(AI) 확산으로 우리나라가 큰 강점을 가진 고대역폭메모리(HBM) 수요가 대폭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따라 반도체 가격이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우리나라의 수출·투자도 늘어나는 반도체 장기호황 시나리오도 가능하다는 분석이다.
이와 달리 내수 부진은 지속되고 있다. 2월 재화 소비동향을 보여주는 소매 판매는 전월보다 3.1% 줄어 3개월 만에 감소 전환했다. 3.1% 감소는 지난해 7월(-3.1%) 이후 7개월 만에 가장 큰 감소 폭이다.
고금리 장기화, 생산시설 공사, 조업일수 축소 등으로 승용차(-17.8%)와 통신기기 및 컴퓨터(-10.1%) 등은 대폭 줄었다.
서비스 소비도 전년대비 1.2% 증가하는 데 그쳤다. 특히 대면 서비스업인 숙박 및 음식점업(-4.5%), 예술·스포츠·여가관련 서비스업(-1.1%), 교육 서비스업(-1.3%)은 마이너스 성장했다.
2월 설비투자는 전월대비 10.3% 늘었지만 이는 변동성이 큰 선박 등 운송장비(23.8%)의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부진 완화의 신호로 해석하긴 어렵다는 분석이다. 전년대비로는 0.3% 감소했다.
2월 건설기성(불변)도 전월에 집중됐던 공사 마무리 작업의 영향이 축소되면서 전월대비 1.9% 감소했다. 향후 건설경기를 예고해주는 건설수주(경상)의 경우 민간부문(-30.7%)을 중심으로 전년대비 24.1% 줄어 큰 폭의 감소세를 지속했다. 향후 건설투자 둔화 흐름이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최근 발표한 4월 경제동향에서 “고금리 기조 지속으로 소비가 부진한 모습을 보이는 등 내수 회복이 지체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 같은 수출과 내수 간 경기회복 온도차는 더 심화할 우려가 커지고 있다. 최근 고금리·고물가·고환율이 동시에 나타나는 3고(高) 현상이 대두돼 내수 경기 불확실성을 키우고 있어서다.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하가 늦어지는 시나리오가 힘을 받는 데다, 중동발 정세 불안 속에 브렌트유 기준 국제유가는 배럴당 90달러대에 안착하면서 100달러를 눈앞에 두고 있다.
고금리와 고물가 장기화 흐름 속에 고환율까지 고착할 조짐이다. 최근 원·달러 환율은 중동 지역의 지정학적 리스크로 인한 달러(안전 자산) 선호 여파로 1350원선까지 치솟았다.
고환율은 수입물가 상승으로 이어져 소비자 물가 상승 압력을 키울 수 있다. 이는 물가 상승 억제를 위한 고금리 장기화로 이어지고, 이로 인해 자금조달 여건이 악화돼 소비와 투자가 위축될 수 밖에 없다.
- 삼성전자, 지난해 미국 생활가전 시장 점유율 1위 쾌거
- 삼성전자, 삼성월렛 누적 전환율 70% 돌파
- “내년 8000명 함께 수업은 막아야”…학생 없는 의대 수업 속속 재개
- 점유권 넘겼는데 전세보증금 안 준 임대인…대법 “사기죄 아냐”
- 22대 총선, 오전 6시부터 전국서 실시…지정 투표소에서만 투표 가능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