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한 전통시장에 진열된 사과. 연합뉴스 |
|
과일 등 먹거리 물가가 고공 행진하는 가운데 국내 스타트업이 한국에 처음으로 캄보디아산 바나나를 수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과 값이 치솟으면서 바나나 등 대체 과일 수요가 커지면서다. 못난이 농산물을 전문적으로 유통하는 스타트업도 소비자 물가 부담 완화에 일정 부분 기여하고 있다. 농업과 첨단기술의 합성어인 애그테크(Ag-tech) 산업에 뛰어든 스타트업들이 기후위기로 불확실성이 커진 농산물 시장에 인공지능(AI) 등 신(新) 기술을 도입해 고질적인 문제를 해결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6일 업계에 따르면 트릿지는 지난달 11일부터 캄보디아에서 바나나를 국내에 수입 중이다. 한 주에 평균 33톤 규모로 국내 유통 대기업들의 요청을 받아 수입을 시작했다. 필리핀산 바나나가 장악했던 국내 시장에 캄보디아산이 들어온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사과값이 폭등하면서 대체 과일이 필요한 학교 등지에서 과일 조달 문제에 숨통이 트이게 됐다. 트릿지 관계자는 “품질이 우수한 캄보디아산 바나나는 기본 가격이 저렴한 데다 할당관세까지 적용받을 수 있어 상당한 가격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고 전했다.
|
트릿지 무역 플랫폼에 올라 있는 바나나 관련 데이터 |
|
트릿지가 캄보디아산 바나나를 발굴할 수 있었던 비결은 AI 기반 농·축·수산품 무역 거래 플랫폼에 있다. 이 회사는 AI를 활용해 전 세계에서 발표하는 각종 농업 데이터를 토대로 현재 1800여 품목의 농·수산물에 대한 128억건에 달하는 가격 데이터를 쌓았다. 이를 기반으로 바나나 외 그리스산 키위·브라질산 망고·캄보디아산 후추 등을 직접 트레이딩했다. 트릿지는 자체 데이터와 현지 무역전문가를 통해 해외에서 수입할 만한 물량이 충분한지 검증을 거친 후 바로 농산물을 조달한다. 유통·식품 회사들이 필요로 하는 방대한 데이터를 축적한 덕에 지난해 3조6000억 원의 기업가치를 인정받아 국내 첫 농식품 분야 유니콘(기업가치 1조 원 이상 비상장 기업) 스타트업으로 등극한 바 있다.
|
신호식 트릿지 대표. 사진제공=트릿지 |
|
고물가에 신음하는 요식업 사장님 사이에서 인기가 높아진 플랫폼도 있다. 스타트업 마켓보로가 운영하는 식자재 전용 오픈마켓 ‘식봄’에 입점한 셀러들이 보다 저렴하게 채소를 판매한다는 입소문이 타면서다. 실제로 10㎏짜리 국산대파 평균 가격은 2월 5만2556원에서 3월 4만2883원으로 22.6% 내려갔다. 덕분에 식봄에서 판매하는 전체 채소 부문 3월 매출은 2월 대비 30% 이상 증가했다. 임사성 마켓보로 대표는 “식자재를 전문으로 유통하는 셀러들이 품질이 좋으면서도 저렴한 채소를 전국 각지에서 찾아냈다”고 강조했다.
|
임사성 마켓보로 대표가 포즈를 취하고 있다. 사진제공=마켓보로 |
|
스타트업 캐비지는 못난이 농산물을 전문으로 배송하는 서비스 ‘어글리어스’를 실시한다. 못난이 농산물은 모양·크기·중량 등 시장 기준에 미달하지만 합리적인 가격으로 구매가 가능하다. 국내 전체 농업 생산량의 10% 이상이 못난이로 분류돼 버려져 왔지만 캐비지는 질 좋은 못난이 농산물을 유통하는 틈새 시장을 개척했다. 어글리어스의 1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30% 늘었고 사용자 수는 같은 기간 169% 증가했다.
계절에 상관없이 균일한 가격으로 농산물을 유통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팜 분야에서도 스타트업이 맹활약 중이다. 넥스트온은 지난해 강원도 태백에 건축면적 4521㎡(약 1400평) 규모의 세계 최초 딸기 실내 농장을 준공했다. 식물의 종류에 따라 맞춤형 가시광선을 발산하는 광합성용 고효율 LED를 개발해 생육 기간을 단축하는 기술도 개발했다. 수확 기간은 6개월로 제철이 아닌 한여름에도 딸기를 딸 수 있다. 영농인구가 감소하는 데다 농지면적이 적은 한국 농업 시장에서 스마트팜의 영향력은 점차 커질 수밖에 없다.
|
넥스트온이 강원도 태백시에 준공한 딸기 전용 수직농장 내부 모습. 사진제공=넥스트온 |
|
이상기후 현상이 농산물 물가 상승을 더욱 부추기면서 이를 해결할 신 기술의 도입 중요성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국내 농산물 물가 상승률(전년 동월 대비 기준)은 올해 2월 20.9%, 3월 20.5%에 달했다. 특히 3월 사과 값은 88.2% 폭등하며 역대 최대 상승률을 찍었다. 지난해 봄에는 이상저온, 여름에는 일조량 감소를 겪으면서 지난해 사과 생산량이 30% 줄어든 탓이다.
농산물 가격이 급등하는 애그플레이션은 전 세계적으로 지속되는 현상인 만큼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애그테크의 입지는 갈수록 넓어질 것으로 관측된다. 코로나19 대유행에 이어 2022년 발발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식량 위기가 심화하면서다. 해외 시장조사기관 스태티스타에 따르면 글로벌 애그테크 시장 규모는 2023년 148억7000만 달러에서 2025년 225억7000만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댓글0